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비용이 재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내에서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장기요양등급 1∼4등급 수급 노인 22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 노인의 장기요양 평균 총비용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는 심리적 건강과 사회관계 및 경제 수준에서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물리적 환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가 노인의 생활비가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관계 및 경제 수준 그리고 물리적 환경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가 노인의 요양인건비는 노인의 심리적 영역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신체적 건강, 사회관계 및 경제 수준과 물리적 환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장기요양비용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개입 기제임을 확인하였고, 생활비와 요양인건비가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재가 서비스로의 확대정책에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기요양제도의 개선 및 보완에 필요한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long-term care costs for the elder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t home. To research and analyze, 220 senior citizens with long-term care grades from 1 to 4 who are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with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average total cost of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at home affects the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economic levels were influenced, and physical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the sub-area of quality of life were not affected.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st of living for the elderly at home affects all the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economic level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Third, it was found that while the medical personnel expenses of the elder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area of the elderly, it did not affect the physical health, social relations, economic level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care cost is the intervention mechanism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at living expenses and medical care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reas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mpirical basic data to be needed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expansionary polic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