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15.131
18.191.215.131
close menu
KCI 등재
조세희 작품에서 과학의 이중적 위상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위상수학적 테제를 중심으로 ―
The Dual-status of science in Cho Se-hee’s works ― Focused on the topological thesis after the adaptation of Dwarf... ―
양정현 ( Yang Jeong-hyeon )
현대문학이론연구 92권 233-257(25pages)
DOI 10.22273/SMLT.92.9
UCI I410-ECN-151-24-02-088667434

이 논문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등장하는 위상수학적 테제를 과학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조세희의 작품에서 과학-지식은 양가적으로 제시된다. 대표적으로 수량화는 현실인식의 척도로서, 과학기술은 민주화의 수단으로서 인식된다. 그러나 과학-지식은 체계적 맹목 때문에 현실을 부인하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난장이와 거인의 대립은 구조적으로 완전해 보이는데, 이는 두 계급의 운명적 일체성에 대한 과학-지식의 체계적 맹목 때문이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는 이러한 체계적 맹목을 추론할 수 있는 서술적 단서가 두 가지 있다. 하나는 클라인 씨의 병 에 나타난 메타렙시스이고, 다른 하나는 2000년 이성과힘 개정판에서 수정된 법정 장면의 서술이다. 조세희 작품에서 과학의 이중적 위상과 그 해결적 인식론으로서 위상수학적 테제의 순환성은, 개정 이전의 판본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The paper examines Cho Se-hee’s A Small Ball Shot by a Dwarf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topological thesis. Cho Se-hee’s work presents science-knowledge in a complex manner, acknowledging its value in recognizing posing classes of ‘the dwarfs’ and ‘the giants’ appears to be structurally perfect precisely because of science-knowledge’s systematic blindness, despite of the fateful unity of ‘the dwarfs’ and ‘the giants’. In “A small ball launched by a dwarf,” two narratological clues indicate the novel’s systematic and blind inference: the metalepsis in “Klein bottle” and the modified court scene in the 2000 revision. Cho Se-hee’s work emphasizes the dual-status of science-knowledge and the circularity of the topological thesis as a solution epistemology, which is more prominent in the earlier version of the novel. Overall, the paper interprets the novel’s depiction of science-knowledge as a complex and multifaceted issue tha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and analysis.

1. 통합 혹은 해체: 조세희의 위상수학적 테제
2. 수량화: 과학적 표상과 과학적 방법의 양가성
3. 체계적 맹목: 과학-지식의 허구
4. 지식의 구조적 완전성 대 서술의 순환성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