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6720.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586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이 처음 접하는 공교육기관인 학교에서 성공적인 발달단계의 과업을 성취하고, 사회집단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되는 학교적응을 높이 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보고되는 학생 개인과 가정 변인과 함께 교사 변인을 투입하여 이들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 자료를 바 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과 학업수행 능력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이며 학업수행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았다. 둘째, 가정 변인 중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 정도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이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도는 높았다. 셋째, 교사의 연령과 교사의 업무스트레스는 부적으로, 교수효능감과 교직만족도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연령이 어리고 교사가 지각하는 업무 스트레스가 적으며, 교수효능감과 교직 만족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은 높았다. 넷째, 학교적응 하위 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조금씩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학업수행능력, 부모의 학교생활 관 심 정도, 교사 연령은 모든 하위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특성과 교사의 근무조건을 고려하여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first grade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aims to draw the implications for encouraging successful elementary students early adjustment to school where they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social adjust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tudents personal factors, household factors and teachers characteristic factors, specifically focusing on impact of teachers characteristic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factors. Girls display higher school adjustment than boys an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Second, among household factors, only parents school involvement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factor on school adjustment while the other variables like the social or economic backgrounds were not. Third, teacher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work stress,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The younger teachers are, the better students adjust to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 factor while work stress negatively influences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intensive care consid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teachers work condition.

l.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