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신종교의 창조성과 중층성에 대한 연구-수운교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eativity and Complexity of Korean New Religions -Focusing on Suungyo-

신종교연구
약어 : JNR
2013 vol.28, no.28, pp.79 - 108
DOI : 10.22245/jkanr.2013.28.28.79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연구분야 : 종교학
Copyright © 한국신종교학회
249 회 열람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의 창조성과 중층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체적 사례로서수운교의 세계관을 분석한 글이다. 민족종교로도 알려진 수운교는 대전에 위치한 대표적인 신종교로서 유불선 삼교뿐만 아니라 단군신앙 및 민간신앙 나아가 기독교신앙에 대한 관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혼합주의에 기초한 수운교의 세계관을 크게 다문화, 다인종, 다종교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수운교는 유교의 획일화된 가치관에 불교와 도교의 세계관을 접목시켰다는 점에서 다문화의 열린 세계를 소개한다. 둘째로 대전에 마련된 지상천국으로서 삼단은 세계의 중심으로 간주되며 모든 인종을 아우를 수 있는 수도의 도량이며 이상세계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셋째로, 수운교의 독특성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이 있지만 보다 더 주목해야 할 점은 수운교가 기독교와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아시아종교를 넘어 세계종교를 포용하려는 다종교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수운교의 특징들은 다른 한국의신종교들에서도 일부 발견되고 있다. 1980년대에 국방사업에 의하여 교세가 크게위축된 수운교는 21세기를 맞아 제2의 도약을 위한 발판의 마련을 모색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worldview of Suungyo as a case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creativity and complexity of Korean new religions(KNRs). Of course, Suungyo cannot represent all KNRs, but it has many common characteristics which KNRs share with one another. After the founding of Eastern Learning, there are main sub-branches including Cheodogyo and Suungyo. Unlike Cheondogyo,Suungyo argues that Suun didn’t die in 1864. Rather its followers believe that Suun hided himself and founded a new religion “Suungyo”in 1923. They have unique doctrine, ritual, and community. First, Suungyo created the multi-cultural syncretism of Confucianism,Buddhism, and Taoism, and criticized the deterioration of Western form of Christianity. Claiming the original form of heavenly way,Suungyo explains the authentic transmission of revelation from Amita Buddha to Suun. It should be noted that Suungyo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from the exclusive Confucian value to the inclusive Korean ethos. Second, Suungyo built the Heavenly Altar as the center of the world, which all races gathered and live together peacefully. This altar symbolizes the heaven on the earth and the unity of religious truth in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Dangungyo. Suungyo dreams a dream of unification of divided society. Korean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viting all races of the world to this earthly heaven under the teaching of Suun. Third, Suungyo doesn’t remain within the boundaries of Asian religions. Emphasizing its relation with Christian imagination, it opens the door to large audience. Suungyo connects the East with the West for the harmony and peace in the world. In conclusion, Suungyo has common grounds with other KNRs,but its differences are clear. The syncretism of Asian religions and Christianity is so strong that it helps people to embrace its worldview. Korean government is partially responsible of the recent shrink of its community.

한국신종교, 수운교, 혼합주의, 다문화, 다인종, 다종교
Korean new Religion, Suungyo, Syncretism, Multi-culture,Multi-race, Multi-religion

  • 1. [학술지] 강돈구 / 2006 / 수운교의 특징과 전개 / 종교연구 / 42 : 1 ~ kci
  • 2. [단행본] 김홍철 / 1996 / 한국 신종교의 이해, In 현대 신종교의 이해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3. [단행본] 노길명 / 2003 / 한국민족종교운동사 / 한국민족종교협의회
  • 4. [단행본] 대순진리회 / 1984 / 대순지침 / 대순진리회출판부
  • 5. [단행본] 로이 롭슨 / 2013 / 세계종교산책 / 시그마프레스
  • 6. [단행본] 무라야마 지준 / 1991 / 현대 신종교의 이해 / 계명대학교출판부
  • 7. [학술지] 변문호 / 2000 / 수운교의 연혁 및 교리개관 / 신종교연구 / 3
  • 8. [단행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 2006 / 원리강론 / 성화출판사
  • 9. [단행본] 수운교교리연구원 / 1999 / 수운교진리 / 수운교출판부
  • 10. [단행본] 수운교교리연구원 / 2001 / 수운교경전 3판 / 수운교출판부
  • 11. [단행본] 수운교본부 / 2008 / 수운교요람 / 수운교출판부
  • 12. [단행본] 원불교중앙총부 / 2005 / 원불교전서 / 원불교출판부
  • 13. [단행본] 윤이흠 / 2011 / 한국민족종교의 원류와 미래 / 사단법인 한국민족종교협의회
  • 14. [단행본] 이길용 / 2004 / 대화를 넘어 서로 배움으로-종교 간의 만남을 위하여 / 맑은울림
  • 15. [학술지] 이찬구 / 2004 / 수운교의 미륵관 연구 / 신종교연구 / 11
  • 16. [학술지] 이찬구 / 2005 / 수운교의 생명사상과 해원상생의 정신 / 신종교연구 / 12
  • 17. [학술지] 이찬구 / 2007 / 공자의 인과 최수운의 덕에 대한 고찰 / 신종교연구 / 16
  • 18. [학술지] 이찬구 / 2007 / 수운교 경전성립과정 고찰 / 신종교연구 / 17
  • 19. [단행본] 천도교중앙총부 / 1981 / 천도교경전 /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 20. [단행본] 최종성 / 2009 / 동학의 테오프락시 / 민속원
  • 21. [단행본] 최준식 / 1998 /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2: 도교, 신종교, 동학 / 사계절
  • 22. [단행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1969 / 제2차 바티칸 공의회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23. [단행본] 황선명 / 1985 / 조선조 종교사회사연구 / 일지사
  • 24. [기타] / 2004 / ≪불교신문≫ 2004.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