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일제강점기에 충남도청을 유치한 대전은 인구가 증가하고 읍에서 ‘부’로 승격하면서 각종 기관을 유치하여 명실상부한 충남의 행정중심지가 되었다. 그런데 시가지 건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토목사업이 대부분 일본인에 낙찰되었고 대다수 조선인들은 대전의 발전과정에서 소외되었다. 조선인들은 민족차별을 실감했으며 일부 조선인 부회의 원들마저 이러한 상황을 비판했다. 중일전쟁 이후에 대전에서는 선전선동을 위한 각종 행사가 이어졌고 조선인의 삶은 피폐해졌다. 대전에서도 유언비어가 횡행하고 대규모 노동운동이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범죄’가 늘자 일제당국은 대책마련에 고심했으나 크게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이는 소수의 조선인을 제외하고는 대다수 일본인이 수익을 차지한 ‘식민도시’ 대전의 ‘발전’이 지닌 한계 때문이다.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government office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was relocated to Daejeon. Daejeon’s administrative status was also elevated to the ‘bu’ level, and the Daejeon-bu Council (Dae Jeon Bu Hoe) was created. As a result, Daejeon rose 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However, civil engineering projects, closely related to urban construction, were mostly awarded to Japanese companies, and Koreans were excluded from the development of Daejeon. Many Koreans felt discriminated in the process, compelling some of the Korean members of the bu Council to come forward to criticize the inequity. Ironically, the rise of Daejeon as the administrative hub left Koreans increasingly destitute as propaganda activities and events took pla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Rumors were rampant in Daejeon, and Koreans continued in their efforts to engage in covert resistance activities. The authorities sought to come up with counter measures, but only in vain. It was largely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evelopment’ of Daejeon, the ‘colonial city’ where those who profited from the urban development were mostly Japanese and only a small number of them were Korean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대전의 ‘부’ 승격과 각종 기관의 집중
3. 중일전쟁 이후 동원을 위한 선전선동과 ‘저항’
4.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911-000486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