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37.89
18.224.37.89
close menu
KCI 등재
학령기 아동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인구학적 요인,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of School-age Children: Focus on Demographic Factors, Self-Esteem,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류금란 ( Ryu Geum Ran ) , 최은실 ( Choi Eun Sil )
아동과 권리 21권 2호 157-176(20pages)
DOI 10.21459/kccr.2017.21.2.157
UCI I410-ECN-151-24-02-08911118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구학적 요인,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285명이었다. 아동들은 사회인구학적 요인,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에 관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이를 SPSS 22.0을 사용하여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년이 낮을수록, 부모의 학력이 고졸보다는 대졸 이상일수록, 아동이 지각하는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학령기 아동의 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관계는 학령기 아동의 탄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학령기 아동의 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부모자녀관계가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 방안과 부모교육에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demographic factors, self-esteem,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influenced school-age children's resilience. The participants were 285 children in the 4th to 6th grad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The children answe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n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elf-esteem,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Using SPSS 22.0, we conducted a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lower the grade level,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 level above high school; it also showed ha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perceived by the child, the higher the resilience of the child. In addition, the child's self-esteem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s resilience.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esteem played an influential role in predicting children's resilience, followed by parent-child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a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school-age children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