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지방교육제도는 교육 행정적 가치와 교육 자치적 가치가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 헌법과 지방자치법,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은 개별 가치를 구현하고 있으므로 현실상 중앙과 지방, 지방행정과 교육행정은 피할 수 없는 갈등을 겪게 된다. 본고는 교육에 관하여 중앙과 지방의 갈등의 근본적 원인을 고찰하고자 미국의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교육에 관하여 전적으로 주정부에 맡겨 두었던 미국 연방정부는 최근 부시 행정부의 낙오학생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Act)과 오바마 행정부의 모든학생성공법(Every Student Succeeds Act)을 통하여 적극적인 개입정책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동 법안들은 지역 별 학업수준 및 교육재정 격차 뿐만 아니라 각 주의 고유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한편, 전국 주지사협의회와 주교육감위원회에서 제안한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ndards)은 2010년 자율규약의 형태로 제안되어 각 주정부에서 채택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연방의회 중 하원은 공통핵심기준을 채택한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서 명시적으로 동 기준 채택여부를 기준으로 재정적 인센티브를 부여하거나 강제할 수 없다고 규정하여 각 교육주체의 자율성을 존중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2010년 이후 각 주정부는 개별 주정부의 상황에 적합한 방식으로 자율적으로 공통핵심기준을 활용하게 되었고 현재 약 45개 주에서 동 기준을 활용하고 있다. 연방의 정책추진에 있어서 자치에 근본적 가치를 두되 자율협약의 형태로 정책을 추진한 사례는 우리나라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중앙과 지방의 권한배분을 전제하여 중앙의 교육내용에 대한 개입은 원칙적으로 완화하되 가치의 충돌이 있는 경우에도 중앙 중심의 수단(재정적 인센티브, 강제정책)이 아닌 분권적 선택을 존중하는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지방교육자치, 지방자치, 분권, 공통핵심기준, 자율규약

참고문헌(29)open

  1. [단행본] 류지태 / 2016 / 행정법신론 / 박영사

  2. [단행본] 박균성 / 2015 / 행정법강의 / 박영사

  3. [단행본] 홍정선 / 2015 / 행정법특강(제14판) / 박영사

  4. [학술지] 김경회 / 2012 / 무상급식을 둘러싼 서울특별시장과 교육감 간의 갈등 분석 / 교육정치학연구 19 (1) : 1 ~ 28

  5. [학술지] 김경회 / 2011 / 지방교육자치 권한에 대한 시·도지사와 교육감의 인식차이분석 / 한국행정연구 20 (3) : 201 ~ 230

  6. [학술지] 김종서 / 2012 / 학교폭력에 관한 교육과학기술부 지침의 위헌성 / 공법연구 41 (2) : 289 ~ 315

  7. [학술지] 김재선 / 2016 / 미국 의무교육법상 국가의 의무교육 제공과 부모의 교육선택권에 관한 고찰 - 최근 미국 의무교육법상 쟁점을 중심으로 - / 행정법연구 (46) : 275 ~ 303

  8. [보고서] 김흥주 / 2013 / 중앙과 지방 간 교육정책 갈등 해소 방안 연구

  9. [학술지] 안주열 / 2015 / 교육감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교육부장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 국가법연구 11 (1) : 75 ~ 95

  10. [학술지] 이인회 / 2014 / 한국과 미국의 지방교육자치 구조의 비교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 (4) : 148 ~ 159

  11. [학술지] 정순원 / 2011 / 학생인권조례의 현황과 공법적 쟁점 / 교육법학연구 23 (2) : 193 ~ 212

  12. [단행본] 정재훈 / 2013 / 해외의 지방교육자치: 사례와 동향 / 월간 자치발전

  13. [학술지] 정원희 / 2013 /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경기도의 무상급식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 분쟁해결연구 11 (1) : 39 ~ 66

  14. [학술지] 최진혁 / 2011 / 분권형 국가운영체제를 위한 교육선거의 개선방안: 교육자치의 적정단위와 행정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 (3) : 69 ~ 100

  15. [학술지] 표시열 / 2010 / 지방교육자치의 기본가치와 주요쟁점 / 교육법학연구 22 (1) : 145 ~ 167

  16. [보고서] 황준성 / 2014 / 지방교육자치법규 입법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17. [보고서]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 2014 / Common Core State Standards Systems Implementation Plan for California

  18. [보고서] Center on Education Policy / 2013 / Year 3 Implementing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State Education Agencies’ View on the Federal Role

  19. [학술지] Diane Kern / 2014 / Common Core-less?: A Critical Review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Research / New England Reading Association Journal 50 : 1

  20. [보고서] Eric A. Hanushek / 2012 / Achievement Growth: International and U.S. State Trends in Student Performance

  21. [단행본] Horace Mann / 1868 / Twelfth annual report to the Massachusetts State Board of Education, 1848

  22. [학술지] Kathleen Porter-Magee / 2013 / Why are prominent conservatives criticizing a set of rigorous educational standards? / The Truth about Common Core, National Review

  23. [보고서] Margaret A. Jorgensen / 2003 / History of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

  24. [보고서] / 2015 / New York Common Core Task Force Final Report

  25. [기타] / 1819 / McCulloch v. Maryland, 17 U.S. 316

  26. [기타] / 1954 / Brown v. Board of Education, 347 U.S. 483

  27. [기타] / 1968 / Epperson v. Arkansas, 393 U.S. 98

  28. [기타] / 1972 / Wisconsin v. Yoder, 406 U.S. 205

  29. [기타] / 1975 / Goss v. Lopez, 419 U.S.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