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소비자가 인지하는 검색 대응형 네이티브 광고의 가치와 재사용 의도: 파워콘텐츠 상품을 중심으로

The Value and Reuse Intent of Native Advertising Corresponding to Consumers’ Keyword Search Behaviors: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ived Value of Naver’s Power Content

광고PR실학연구
약어 : -
2018 vol.11, no.2, pp.9 - 29
DOI : 10.21331/jprapr.2018.11.2.001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연구분야 : 신문방송학
Copyright © 한국광고PR실학회
154 회 열람

본 연구는 최근 업계와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인 파워콘텐츠(Power Content)를 대상으로 소비자가 인지하는 파워콘텐츠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보성을 자세하게 구분하여 정보의 일치성 정보의 유용성, 그리고 다른 두 요인으로 파워콘텐츠의 오락성과 기만성을 요인으로 설정하여 가치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 인지된 가치의 파워콘텐츠 재사용 의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의 결과는 정보의 일치성과 정보의 유용성을 소비자가 구분하고 소비자가 평가하는 파워콘텐츠의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오락성과 기만성은 반대로 유의미한 요인은 아니었다. 파워콘텐츠 재사용 의도는 종합적으로 평가된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성을 세밀하게 구분하여 새로운 광고 유형인 네이티브 광고 상품의 가치에 대한 영향을 조사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검색 대응형 네이티브 광고를 운영하거나 운영 예정인 광고주와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ived value of Naver’s Power Content, which is newly developed as a form of native advertising.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categoried the concept of informatinvess into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and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urrent effort added entertainment and deceitfulness in order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ived value of Power Content as a native advertisement and examined the impact of the perceived value on consumers’ reuse inten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and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perceived value of Power Content while entertainment and deceitfulness are not significant factors. Further,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and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indirectly have an influence on consumers’ reuse intentions through the perceived value. This research provides advertisers and advertising practitioners with insights into how to construct native advertisements focusing on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광고의 가치, 네이티브 광고, 정보성, 정보의 일치성, 정보의 유용성
advertising value, native advertising, informativeness, information usefulness, information relevance

  • 1. [보고서] 닐슨 코리안클릭 / 2016 / 제37차 인터넷 사용자 실태 조사보고서
  • 2. [학술지] 서상희 / 2010 / 광고메시지에 숨겨진 상업적 의도에 대한 접근성이 설득의도 추론 및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설득지식모델을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 21 (1) : 163 ~ 1 kci
  • 3. [학술지] 안순태 / 2014 /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 광고 리터러시와 광고 표식 효과 / 한국언론학보 / 58 (2) : 246 ~ 2 kci
  • 4. [학술지] 이종혁 / 2015 / 마케팅PR의 실존적 개념 및 역할 탐색 / 광고PR실학연구 / 8 (2) : 140 ~ 2 kci
  • 5. [인터넷자료] 제일기획 / 제일기획, 대한민국 총 광고비 결산 및 전망 발표
  • 6. [인터넷자료] Benton, J. / Like it or not, native advertising is squarely inside the big news tent / Nieman lab
  • 7. [단행본] Bruner, G. C. / 2001 / Marketing scales handbook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 8. [인터넷자료] Chaffey D. / US, Europe and Worldwide display ad clickthrough rates statistics summary
  • 9. [인터넷자료] eMarketer / How native ad campaigns are shaping up
  • 10. [학술지] Gao, Y. / 2006 / Perceptual antecedents of user attitude in electronic commerce / ACM SIGMIS Database / 37 (2-3) : 42 ~ 2-3
  • 11. [학술대회] Haghirian, P. / 2005 / Consumer attitude toward advertising via mobile devic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among Austrian users / presented at the European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 12. [인터넷자료] IAB / Native advertising playbook
  • 13. [학술지] Nelson, P. / 1974 / Advertising as information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82 (4) : 729 ~ 4
  • 14. [단행본] MacQuail, D. / 1983 / Mass communication theory : An introduction / Sage
  • 15. [학술지] MacKenzie, S. B. / 1989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 Journal of Marketing / 53 (2) : 48 ~ 2
  • 16. [인터넷자료] Page Fair / The 2015 ad blocking report
  • 17. [학술지] Rutz, O. J. / 2011 / Modeling indirect effects of paid search advertising : Which keywords lead to more future visits? / Marketing Science / 30 (4) : 646 ~ 4
  • 18. [학술지] Schlosser, A. E. / 1999 / Survey of Internet users’ attitudes toward Internet advertising /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 13 (3) : 34 ~ 3
  • 19. [단행본] Solomon, M. R. / 2005 / 소비자 행동론 / 브레인 코리아
  • 20. [인터넷자료] Wegert, T. / Can native save mobile advertising?
  • 21. [학술지] Tsang, M. M. / 2004 /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 An empirical study /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 8 (3) : 65 ~ 3
  • 22. [학술지] Wojdynski, B. W. / 2015 / Going native : Effects of disclosure position and language o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online native advertising / Journal of Advertising / 45 (2) : 157 ~ 2
  • 23. [학술지] Zhang, J. / 2008 / Understanding the acceptance of mobile SMS advertising among young Chinese consumers / Psychology & Marketing / 25 (8) : 787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