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Fam Pract 2022; 12(4): 223-229  https://doi.org/10.21215/kjfp.2022.12.4.223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and Alcohol Hangover in University Students
Min-Sun Kim, Kwan-Woo Park, Hea-Jin Lee, Keun-Young Ryu, Song-Yi Baek, Woo-Joo Park, Mi-Kyeong Oh*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Gangneung Asan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Gangneung, Korea
Mi-Kyeong Oh
Tel: +82-33-610-3325, Fax: +82-33-641-8130
E-mail: omk@gnah.co.kr
ORCID: https://orcid.org/0000-0003-3602-9588
Received: August 13, 2020; Revised: June 16, 2022; Accepted: August 16, 2022; Published online: September 20, 2022.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The drinking rate among college students is increasing, which increases the incidence of hangover. However, research is lacking on college students’ hangover experiences and the associated psychological issues.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gover experienc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hangove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sleep problems.
Methods: A total of 1,188 students at 4 universities located in Gangneung were surveyed.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hangover experience and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sleep problems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The male students with hangover reported experiencing insomnia (odds ratio [OR], 1.9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7–3.523), depressive tendencies (OR, 2.260; 95% CI, 1.533–3.332), anxious tendencies (OR, 1.826; 95% CI, 1.220–2.733), and stress risk (OR, 1.931; 95% CI, 1.161–3.231). The female students with hangover reported experiencing insomnia (OR, 2.839; 95% CI, 1.409–5.722), depressive tendencies (OR, 3.000; 95% CI, 1.817–4.954), and anxious tendencies (OR, 1.728; 95% CI, 1.059–2.819).
Conclusion: More female than male students in this study had experienced a hangover.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hangover reported experiencing insomnia, depressive tendencies, and anxious tendencie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hangover and stress ris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male students only.
Keywords: Alcohol Drinking; Hangover; Insomnia; Depression; Anxiety; Psychological Stress
서 론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월간 음주율(월 1회 이상의 음주여부)은 약 75%이며, 여성의 경우에도 2005년 37%에서 2017년 50.5%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음주율의 경우 19–29세 음주율이 남성에서는 2005년 13%에서 17%로 증가하였고 여성에서도 6.1%에서 11.1%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파르게 증가하였다.1) 이 연령대에는 대학생의 비율이 높은데 2018년도 보건복지부에서 진행한 대학생의 음주행태 조사에서, 국내 대학생의 연간 음주율은 91.9%, 월간 음주율은 75.4%로 보고된 바 있다.2)

대학생들의 과도한 음주 이후에는 숙취를 경험하게 되는데 숙취(alcohol hangover)는 과도한 음주 후 알코올이 분해되면서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의 농도가 높아서 발생하며, 혈중 알코올 농도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머리와 신체 기관에 영향을 주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느끼는 불쾌한 경험을 의미한다.3) 숙취의 증상에는 피로, 갈증, 두통, 구역, 구토, 위장장애, 어지럼증, 학업 저하, 직업 활동의 장애 등이 있다.3) 숙취와 관련된 요인으로 과도한 음주량이 관련이 있으며4) 음주 후 부족한 수면시간이 숙취를 더 심하게 느낀다는 연구가 있다.5) 또한 숙취가 기분변화와, 복합적 과제 수행 시 부정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있고6) 숙취의 빈도가 높을수록 추후 알코올 사용장애로 진단받는 경향을 보인 연구결과도 있었다.7) 이처럼 음주 후에 발생하는 숙취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부정적인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학생의 숙취와 연관된 연구가 진행된 바가 없으며, 숙취의 경험에 따른 정신 심리문제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상태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숙취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고 숙취와 관련된 음주 습관과 알코올 사용장애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올바른 음주문화를 교육하고 음주로 인한 숙취 경험과 정신 심리적인 문제 등을 파악하여 음주와 관련된 심리 상담을 할 때 도움이 되는 자료로 사용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9년도 강릉에 소재한 4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1,3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숙취와 관련된 설문에 충실히 이행하지 않은 137명을 제외한 1,188명을 연구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강릉아산병원 윤리 심의위원회(IRB No. 2020-03-022-003)의 승인을 취득한 후 시행하였다.

2. 연구내용

1)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숙취 경험

연구 대상자의 성별, 연령, 학년, 종교를 조사하였고, 술을 마시는 횟수와, 음주량, 폭음, 음주 후 숙취증상(두통, 메슥거림, 구토 등)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술 1잔은 미국 국립 알코올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가 제정한 알코올 14 g으로 하였고 폭음의 기준은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의 기준에 따라 1회 음주당 알코올 60 g 이상의 음주를 기준으로 하였다.8) 숙취군은 평균 6–10번 이내의 음주 횟수에서 숙취를 반드시 느낀다고 응답한 군으로 정의하였다.

2) 알코올 사용 장애

1989년 WHO에서 10문항짜리 자가 보고용 설문 도구인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9)를 개발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도에 Lee 등10)이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를 시행한 후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K)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UDIT-K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알코올 사용장애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V에 근거한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기준인 남자 9점 초과, 여자 6점 초과를 기준으로 정하였다.11)

3) 불면증 심각 척도

연구 대상자들의 불면증의 심각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2001년도에 Bastien 등12)이 개발한 불면증 도구(Insomnia Severity Index)를 Cho 등13)이 2003년도에 한국어로 번역된 것을 사용하였다. 7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총 점수가 높을수록, 불면증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15점 이하일 경우 가벼운 수준의 임상적 불면증과 중증도로 구별되는데 본 연구에서도 15점을 기준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4) 우울 성향

연구 대상자들의 우울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도에 Spitzer 등14)이 개발한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 중에서, DSM-IV15)의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기준에 대응한 9가지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PHQ-9의 한국어판을 사용하였다. 각 항목당 0점에서 3점까지 선택을 하여 총 점수를 구하게 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한다. 5점 이상인 경우에는 우울 성향이 있음을 의심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도 5점을 기준으로 우울 성향으로 구분하였다.

5) 불안 정도

연구 대상자들의 불안 정도를 진단하기 위해 1988년도에 Goldberg 등16)이 개발한 Goldberg’s Short Screening Scale for Anxiety의 한국어판 Goldberg anxiety scale을 사용하였다. 주 증상 4문항과 부 증상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 정도가 심각함을 의미한다. Lim 등17)의 연구로 구성된 표준화된 문항으로 평가하였으며 2점 이상을 불안 성향으로 평가하였다.

6) 스트레스 정도 평가

연구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1988년도에 Frank와 Zyzanski18)가 개발한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BEPSI)를 바탕으로 1996년도에 Yim 등19)에 의해서 개발된 한국어판 BEPSI-K를 사용하였다. 총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0점에서 4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Kim 등20)의 연구에서 표준화된 평가방법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스트레스 정도를 2.8점 이상을 고 스트레스군, 1.8점 이상 2.8점 미만을 중등도 스트레스군, 1.8점 미만을 저 스트레스군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저 스트레스군일 경우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미미하다고 보고 1.8점을 기준으로 스트레스를 느끼는 군과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3. 자료분석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성별을 기준으로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시행하여 숙취 경험 유무와 일반적 특성, 정신 심리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속형 변수의 경우 평균±표준오차로 표기하였고 범주형 변수의 경우 빈도와 퍼센트로 제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숙취를 느끼는 군과 숙취를 느끼지 않는 군으로 나누어서 음주 횟수, 음주량, 폭음, 알코올 사용장애와의 관계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의 나이, 학년, 음주 횟수, 음주량을 보정하고 숙취 경험에 따른 수면, 우울성향, 불안,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4.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고, P-value는 0.05 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 중 남학생은 747명(63%), 여학생은 441명(37%)이었으며, 남학생 23.13세, 여학생 22.04세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성별에 따른 학년별 분포의 경우 3학년의 비율이 높았지만 학년과 성별과의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고(P=0.233) 음주 횟수(P=0.009), 음주량(P<0.001), 폭음(P<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성을 보였다. 숙취 경험은 남학생인 경우 18.5%, 여학생은 24.0%로 여학생이 더 많은 경험을 했다(P=0.026). 성별에 따른 알코올 사용장애 유무와의 관련성을 비교하면 유의한 관련성이 보였고(P<0.001) 여학생이 알코올 사용장애의 비율이 높았다. 성별에 따른 수면문제와의 관련성은 보이지 않지만(P<0.683) 우울 성향(P<0.001), 불안 성향(P<0.001), 스트레스(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을 보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Table 1).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ns by sex

VariableCategoryMale (n=747)Female (n=441)P-value
Age (y)Range 18–3323.13±2.1622.04±1.60<0.001a
GradeFreshman159 (21.3)86 (19.5)0.233b
Sophomore170 (22.8)104 (23.6)
Junior271 (36.3)144 (32.7)
Senior147 (19.7)107 (24.3)
ReligionProtestant121 (16.7)71 (16.3)0.184b
Catholic58 (8.0)50 (11.5)
Buddhism51 (7.0)36 (8.3)
None495 (68.3)279 (64.0)
Alcohol frequencyLess than monthly167 (22.4)121 (27.4)0.009b
2–4 times/mo376 (50.3)217 (49.2)
≥2 time/wk204 (27.3)103 (23.4)
Alcohol amounts≤6 drinks/wk524 (70.1)333 (75.5)<0.001b
7–13 drinks/wk106 (14.2)74 (16.8)
14 drinks/wk117 (15.7)34 (7.7)
Alcohol binge drinking<60 g/1 time288 (38.6)228 (51.7)<0.001b
≥60 g/1 time459 (61.4)213 (48.3)
Alcohol hangoverNo609 (81.5)335 (76.0)0.026b
Yes138 (18.5)106 (24.0)
Alcohol use disordercNo431 (57.7)185 (42.0)<0.001b
Yes316 (42.3)256 (58.0)
Sleep problemdNo678 (90.8)397 (90.0)0.683b
Yes69 (9.2)44 (10.0)
Depressive moodeNo508 (68.0)250 (56.7)<0.001b
Yes239 (32.0)191 (43.3)
Anxious disorderfNo540 (72.3)211 (47.8)<0.001b
Suspicion207 (27.7)230 (52.2)
Stress degreegNo421 (56.4)204 (46.3)<0.001b
Yes326 (43.6)237 (53.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unweighted number (weighted %).

AUDIT-K,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ISI, Insomnia Severity Index; PHQ-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GAS, Goldberg anxiety scale; BEPSI-K,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n version.

aP-value by Student t-test. bP-value by chi-square test. cNo: AUDIT-K score ≤9 in male or 6 in female, Yes: AUDIT-K score >9 in male or 6 in female. dNo: ISI score <15, Yes: ISI score ≥15. eNo: PHQ-9 score <5, Yes: PHQ-9 score ≥5. fNo: GAS score <2, Suspicion: GAS score ≥2. gNo: BEPSI-K score <1.8, Yes: BEPSI-K score ≥1.8.



2. 대학생들의 숙취경험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 및 정신 심리상태와의 연관성

대학생들을 성별에 따라 분류한 후 숙취 경험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정신 심리상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을 때 남학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숙취를 느끼는 그룹의 비율이 높았고(P=0.042) 숙취를 느끼는 군은 불면증(P=0.050), 우울 성향(P<0.001), 불안 성향(P= 0.004), 스트레스(P=0.003)와 연관성이 높았다. 여학생인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숙취 경험이 있었으며(P=0.020), 숙취를 느끼는 군은 불면증(P<0.001), 우울 성향(P<0.001), 불안 성향과 연관성이 있었다(P=0.034) (Table 2).

Table 2

Relationship of alcohol hangove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symptom by sex

VariableCategoryMale (n=747)Female (n=441)
No hangover (n=609)Hangover
(n=138)
P-valueNo hangover (n=335)Hangover
(n=106)
P-value
Age (y)Range 18–3323.07±2.2123.39±1.940.112a21.94±1.5822.36±1.640.020a
GradeFreshman140 (23.0)19 (13.8)0.042b74 (22.1)12 (11.3)0.058b
Sophomore134 (22.0)36 (26.1)79 (23.6)25 (23.6)
Junior223 (36.6)48 (34.8)101 (30.1)43 (40.6)
Senior112 (18.4)35 (25.4)81 (24.2)26 (24.5)
ReligionProtestant95 (16.0)26 (19.7)0.144b54 (16.3)17 (16.2)0.538b
Catholic42 (7.1)16 (12.1)40 (12.1)10 (9.5)
Buddhism43 (7.3)8 (6.1)24 (7.3)12 (11.4)
None413 (69.6)82 (62.1)213 (64.4)66 (62.9)
Sleep problemcNo559 (91.8)119 (86.2)0.050b312 (93.1)85 (80.2)<0.001b
Yes50 (8.2)19 (13.8)23 (6.9)21 (19.8)
Depressive mooddNo436 (71.6)72 (52.2)<0.001b209 (62.4)41 (38.7)<0.001b
Yes173 (28.4)66 (47.8)126 (37.6)65 (61.3)
Anxiety disordereNo454 (74.5)86 (62.3)0.004b170 (50.7)41 (38.7)0.034b
Suspicion155 (25.5)52 (37.7)165 (49.3)65 (61.3)
Stress degreefNo359 (58.9)62 (44.9)0.003b163 (48.7)41 (38.7)0.075b
Yes250 (41.1)76 (55.1)172 (51.3)65 (61.3)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unweighted number (weighted %).

ISI, Insomnia Severity Index; PHQ-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GAS, Goldberg anxiety scale; BEPSI-K,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n version.

aP-value by student t-test. bP-value by chi-square test. cNo: ISI score <15, Yes: ISI score ≥15. dNo: PHQ-9 score <5, Yes: PHQ-9 score ≥5. eNo: GAS score <2, Suspicious: GAS score ≥2. fNo: BEPSI-K score <1.8, Yes: BEPSI-K score ≥1.8.



3. 대학생들의 숙취 경험과 음주 습관과의 관계

대학생들의 음주량과 음주 횟수, 폭음, 알코올 사용장애와 숙취 경험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숙취를 경험한 남녀 대학생들 모두 음주 횟수, 폭음이 많았고 알코올 사용장애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P<0.001). 또한 남녀 대학생 모두 음주량도 많았다(P<0.05) (Table 3).

Table 3

Relationship of alcohol hangover and drinking habits

VariableCategoryMale (n=747)Female (n=441)
No hangover (n=609)Hangover
(n=138)
P-valueNo hangover (n=335)Hangover
(n=106)
P-value
Alcohol frequencyLess than monthly154 (25.3)13 (9.4)<0.001110 (32.8)11 (10.4)<0.001
2–4 times/mo305 (50.1)71 (51.4)169 (50.4)48 (45.3)
≥2 times/wk150 (24.6)54 (39.1)56 (16.7)47 (44.3)
Alcohol amounts≤6 drinks/wk444 (72.9)80 (58.0)0.002275 (82.1)58 (54.7)<0.001
7–13 drinks/wk80 (13.1)26 (18.8)45 (13.4)29 (27.4)
14 drinks/wk85 (14.0)32 (23.2)15 (4.5)19 (17.9)
Alcohol binge drinking<60 g/1 time253 (41.5)35 (25.4)<0.001194 (57.9)34 (32.1)<0.001
≥60 g/1 time356 (58.5)103 (74.6)141 (42.1)72 (67.9)
Alcohol use disorderaNo388 (63.7)43 (31.2)<0.001169 (50.4)16 (15.1)<0.001
Yes221 (36.3)95 (68.8)166 (49.6)90 (84.9)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AUDIT-K,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No: AUDIT-K score ≤9 in male or 6 in female, Yes: AUDIT-K score >9 in male or 6 in female.

P-value by chi-square test.



4. 대학생들의 숙취경험과 정신 심리상태와의 연관성

대상자를 남녀로 구분하여 알코올 섭취 후 숙취 경험에 따른 불면증,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의 나이, 학년, 음주 횟수, 음주량을 보정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남학생 그룹에서 숙취를 느끼는 그룹이 숙취를 느끼지 않는 그룹에 비해 수면문제의 위험도가 2배 높았으며(odds ratio [OR], 1.9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7–3.523; P=0.025), 우울 성향은 2.3배(OR, 2.260; 95% CI, 1.533–3.332; P<0.001), 불안 성향은 1.8배(OR, 1.826; 95% CI, 1.220–2.733; P=0.003), 스트레스 위험도는 1.9배(OR, 1.931; 95% CI, 1.161–3.231; P=0.001) 높았다. 여학생 그룹에서는 숙취를 느끼는 그룹이 숙취를 느끼지 않는 그룹에 비해 수면문제의 위험도가 2.8배(OR, 2.839; 95% CI, 1.409–5.722; P=0.004), 우울 성향은 3배(OR, 3.000; 95% CI, 1.817–4.954; P<0.001), 불안 성향은 1.7배(OR, 1.728; 95% CI, 1.059–2.819; P=0.028) 높았다(Table 4).

Table 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alcohol hangover and psychology problem

SexVariableSleep problemDepressive moodAnxious moodStress degree
OR (95% CI)P-valueOR (95% CI)P-valueOR (95% CI)P-valueOR (95% CI)P-value
Male
(n=747)
Experience of
hangover
1.957
(1.087–3.523)
0.0252.260
(1.533–3.332)
<0.0011.826
(1.220–2.733)
0.0031.931
(1.161–3.231)
0.001
Female
(n=441)
2.839
(1.409–5.722)
0.0043.000
(1.817–4.954)
<0.0011.728
(1.059–2.819)
0.0281.496
(0.826–2.711)
0.184

Adjusted by age, grade, alcohol frequency, and alcohol amounts.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P-values were obtained by logistic regression.


고 찰

본 연구는 숙취 경험과 관련된 조사대상자의 특징과, 음주 횟수, 음주량, 폭음, 알코올 사용장애, 그리고 숙취 경험에 따른 정신 심리문제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숙취를 경험한 남학생은 18.5%, 여학생은 24.0%로 여학생이 더 많은 경험을 했고, 숙취를 경험한 남녀 대학생들이 모두에서 음주 횟수, 음주량, 폭음, 알코올 사용장애와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P<0.05). 남학생인 경우 숙취를 경험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숙취를 경험한 그룹이 불면증(OR, 1.957), 우울 성향(OR, 2.260), 불안 성향(OR, 1.826), 스트레스 위험도(OR, 1.931)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여학생인 경우에는 불면증(OR, 2.839), 우울 성향(OR, 3.000), 불안 성향(OR, 1.728)이 숙취를 경험하는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숙취와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국내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나 외국에서는 연구가 시행된 바 있다. Hogewoning 등21)이 진행한 연구에서 소수의 표본인 36명의 성인 음주자를 숙취 유무에 따라 분류하여 전체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Karolinska Sleepiness Scal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취가 있는 그룹이 전체 수면시간이 줄어들었으며 수면의 질도 떨어진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도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숙취를 경험한 그룹의 불면증 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숙취와 우울 성향에 대한 연구도 외국에서 시행되었는데 Paljärvi 등22)은 핀란드 성인을 대상으로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여 알코올 섭취 후 숙취 빈도가 높은 것은 우울증상의 강력한 예측인자임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도 숙취를 느끼는 군이 우울 성향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 번째로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 진행되어 학생들의 숙취와 정신 심리문제와의 관계를 장기간 관찰하기 어려웠으므로 선후 관계의 인과성을 배제할 수 없어 분석에 제한점이 있다. 두 번째는 숙취의 경험이 개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을 기반으로 설문지에 기입된 것으로 숙취의 정확한 빈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숙취를 느끼는 정도에 대해서도 개인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숙취의 횟수와 더불어 그 정도에 대한 조사도 함께 이루어졌다면 정신건강에 대한 분석 또한 유의한 의미를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세 번째는 대상자들의 음주행태에 영향을 주는 다른 여러 변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아리 활동, 흡연경험 등도 음주 횟수, 숙취의 빈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며, 그로 인한 정신 심리적인 문제와의 연관 가능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숙취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음주 횟수, 음주량, 폭음, 알코올 사용장애가 있으며, 남학생인 경우에는 숙취를 느끼는 그룹에서 우울 성향, 불안 성향, 스트레스, 수면문제의 위험도가 높았으며, 여학생인 경우에는 숙취를 느끼는 그룹에서 우울 성향, 불안 성향, 수면문제의 위험도가 높았다. 대학생들이 음주 후 느끼는 숙취가 심리적인 문제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교육하여 올바른 음주습관을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Korean social trends 2019. Daejeon: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2019. p. 114-5.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llege students survey for alcohol behavior and problem.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p. 12.
  3. Swift R, Davidson D. Alcohol hangover: mechanisms and mediators. Alcohol Health Res World 1998; 22: 54-60.
    Pubmed KoreaMed
  4. Penning R, McKinney A, Verster JC. Alcohol hangover symptom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overall hangover severity. Alcohol Alcohol 2012; 47: 248-52.
    Pubmed CrossRef
  5. van Schrojenstein Lantman M, Mackus M, Roth T, Verster JC. Total sleep time, alcohol consumption, and the duration and severity of alcohol hangover. Nat Sci Sleep 2017; 9: 181-6.
    Pubmed KoreaMed CrossRef
  6. Benson S, Ayre E, Garrisson H, Wetherell MA, Verster JC, Scholey A. Alcohol hangover and multitasking: effects on mood, cognitive performance, stress reactivity, and perceived effort. J Clin Med 2020; 9: 1154.
    Pubmed KoreaMed CrossRef
  7. Piasecki TM, Sher KJ, Slutske WS, Jackson KM. Hangover frequency and risk for alcohol use disorder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high-risk study. J Abnorm Psychol 2005; 114: 223-34.
    Pubmed CrossRef
  8. Rolland B, Chazeron I, Carpentier F, Moustafa F, Viallon A, Jacob X, et al. Comparison between the WHO and NIAAA criteria for binge drinking on drinking features and alcohol-related aftermaths: results from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eight emergency wards in France. Drug Alcohol Depend 2017; 175: 92-8.
    Pubmed CrossRef
  9. Babor TF, De La Fuente J, Saunders J, Grant M. The alcohol use disorders test: guidelines of use in primary health car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9.
    CrossRef
  10. Lee B, Lee C, Lee P, Choi M, Namkoong 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J Korean Acad Addict Psychiatry 2000; 4: 83-92.
  11. Kim SJ, Kim JS, Kim SS, Jung JK, Yoon SJ, Lee JY, et al. Usefulness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Korean revised version in screening fo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alcohol use disorder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Fam Med 2018; 39: 333-9.
    Pubmed KoreaMed CrossRef
  12. Bastien CH, Vallières A,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 2001; 2: 297-307.
    Pubmed CrossRef
  13. Cho YW, Lee H, Lee JH, Han SY, Lee MY. Sleep disorders in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J Korean Neurol Assoc 2003; 21: 492-7.
  14.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1999; 282: 1737-44.
    Pubmed CrossRef
  15. Williams JB.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Internet]. Oxford: Encyclopedia of Social Work; 2013 [cited 2020 Jul 29].
    CrossRef
  16. Goldberg D, Bridges K, Duncan-Jones P, Grayson D. Detect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general medical settings. BMJ 1988; 297: 897-9.
    Pubmed KoreaMed CrossRef
  17. Lim JY, Lee SH, Cha YS, Park HS, Sunwoo 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xiety screening scale. J Korean Acad Fam Med 2001; 22: 1224-32.
  18. Frank SH, Zyzanski SJ.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1988; 26: 533-9.
    Pubmed
  19. Yim J, Bae J, Choi S, Kim S, Hwang H, Huh B.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translated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1996; 17: 42-53.
  20. Kim KN, Park JY, Shin TS, Jun KJ, Choi EY, Kim HJ, et al. Degree of stress and stress-related factors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BEPSI. J Korean Acad Fam Med 1998; 19: 559-70.
  21. Hogewoning A, Mackus M, Raasveld SJ, De Zeeuw R, Bosma ER, et al; Van de Loo A. Characteristics of social drinkers with and without a hangover after heavy alcohol consumption. Subst Abuse Rehabil 2016; 7: 161-7.
    Pubmed KoreaMed CrossRef
  22. Paljärvi T, Koskenvuo M, Poikolainen K, Kauhanen J, Sillanmäki L, Mäkelä P. Binge drinking and depressive symptoms: a 5-year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Addiction 2009; 104: 1168-78.
    Pubmed CrossRef


This Article

e-submission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