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의문사유가족 아카이브 작업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과거청산의 책임을 국가에만 물을 수 없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시민사회 주도의 과거청산을 상상하고, 모색하려는 것이다. 2018년은 의문사진상규명운동이 시작된 지 30주년을 맞는 해다. 의문사유가족은 가족의 죽음이 민주화운동과 관련이 없는 경우에도 ‘민주화운동유가족’의 일원이 되어 진상규명운동을 전개하였는데, 그 이유는 시민사회가 의문사 문제에 대해 방관하였거나 침묵하였기 때문이다. 문제는 의문사 사건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1980년대는 물론이고, 현재까지도 피해자인 유가족이 나서지 않으면 누구도 국가폭력 문제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는 데 있다. 시민사회의 관심과 지지를 받지 못하는 유가족들만의 고립된 싸움의 결과는 의문사 진상규명운동 사례가 보여주듯이, 법과 국가기구의 설립에는 성공하더라도 진실규명과 명예회복, 사건의 재발을 막는 후속조치들을 이끌어내는 데는 실패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 의문사진상규명운동 30주년은 국가 주도 과거청산의 한계를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 시민사회 주도의 과거청산을 상상하고 모색하는 전환점으로서 의미가 있다. 의문사유가족 디지털 아카이브를 만들고 있는 이내창기념사업회의 사례는 국가폭력 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다음세대에 의해서도 ‘애도의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고, 의문사 문제가 시민사회의 과제로 상속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Starting from awareness that transitional justice cannot be an issue liable only for the government, this article is to imagine and seek civil society-initiated transitional justice. This year marks the 30th year of suspicious death clarification movement. Suspicious death bereaved family has been active in truth clarification movement as a member of ‘pro-democracy movement bereaved family’ even when the family’s death is irrelevant to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t is because civil society has ignored or kept silent about the suspicious death issue. The problem lies that no one takes responsibility for state violence unless the victim, bereaved family, comes out to solve even today as well as in 1980s when suspicious death affairs predominantly occurred. The result of bereaved family’s lonely battle without civil society’s attention and support, as shown in the case of suspicious death clarification movement, could possibly have succeeded in establishing legal system and state organization but it is doomed to fail to promote follow-up measures for truth clar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r preventive actions for recurrence of such affairs. The 30th year of suspicious death clarification movement should be a turning point to imagine and seek civil society-initiated transitional justice not to repeat the limitations of state-initiated transitional justice any more. Building digital archives for suspicious death bereaved family, Lee Naechang Memorial Association demonstrates the potential that ‘community of mourning’ can be formed also by the next generation that does not have direct experience of state violence cases and that suspicious death issue can be inherited as the task of civil society.

목차

국문초록
1. 의문사진상규명운동 30주년의 의미
2. 의문사유가족은 왜 민주화운동 유가족이 되었나
3. 다음세대에 의한 과거청산
4. 애도의 공동체: 의문사유가족 아카이브 작업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