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 자판입력속도, 손의 기민성과 눈-손 협응 능력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자판을 사용하여 손 기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와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 Adolescent를 평가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 협응력과 시각-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산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협응력과 시각-운동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Purdue Pegboard Test 중 우세손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13, p<.05). 또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K-DTVP-A의 항목 중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Form Constancy(r=-.341, p<.05)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스마트폰 양손 조작을 활용한 손 기능 증진과 시각-운동에 관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인 실험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조작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and functional training programs using a keyboard to se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the Dexterity of the hand and the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 and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Adolescent were evaluated for 40 university students Provin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ion using both han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arson correlation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used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han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or. As a result,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dominant hand in the Purdue Pegboard Test (r=-.313, p<.05). In addition, the input speed of the smartphone keyboard is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and Form Constancy (r=-.341, p<.05) in the item of K-DTVP-A.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will be proven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al studies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691-00147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