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에게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두 개의 초등학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2017년 9월말부터 11월까지 총 8회기의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검사에 대해 paired t-test를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긍정심리프로그램은 지적, 정의적, 신체적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사춘기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학령기 후기 아동들에게 자아탄력성을 향상 시키고,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for improving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in late school-age children.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modified based on mental fitness program for adolescents of Young-Gun Go, Jin-Young Gim(2009).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 students in G city (experimental group=21, control group=22).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provided for 4 weeks (8 sessions, 2 times / week).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were measured with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is study collected data between September 28 and November 7, 2017.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test was done to know if they are homogeneous group in the subordinate measure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the change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aired t-test was used in pre-post test.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of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enhanced further study of posi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lanning ability potentials and strengths for late school-age childr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