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에서 ‘유토피아’의 개념은 20세기 초반 형성되었다. 유토피아가 문헌에 등장하기 전 『해저여행기담』이나 『철세계』와 같은 근대 초기 번안 소설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세상에는 없지만 좋은’ 세계는 과학을 이용해 찾아낼 수 있는 곳, 과학으로 실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곳이었다. 여기에는 과학을 통해 부국강병을 이룩하려는 조선 지식인들의 근대에 대한 희망적인 기대가 담겨 있었다. 진보적 역사관에 기반한 사회주의 운동이 활개를 치던 1920년대 조선의 독서 대중들에게 “유토피아”라는 개념은 사회주의의 전사로서 서구 유럽의 사회개혁 운동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현실 사회주의의 합목적적 과학성을 설명하는 데에 유토피아가 동원되면서 유토피아는 공상적 의미의 이상세계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현실 사회주의가 합목적적인 과학으로 실현된 이상세계라면 유토피아는 과학적 사회주의의 전사로서 실행할 수는 없으나 공상되었던 공산주의의 과거 사례로 규정된 것이다. 한편 『개벽』이 사회주의 사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유토피아의 사회개혁적 맥락에 집중하여 논의하는 것과 다르게 『동광』은 사적 소유의 철폐를 통해 유토피아를 실현하겠다는 사회주의적 급진론보다는 과학과 예술의 진보, 개인의 개성과 국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점진적 개혁안에 바탕을 둔 근대 문명을 유토피아로 상정하였다. 또한 같은 시기에 과학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유토피아에 대한 관심은 과학으로 상상하는 미래 세계를 주제로 한 과학소설과 희곡 작품으로도 확장되었다. 웰즈의 『팔십만년 후의 사회』나 박영희가 번역한 『인조노동자』 같은 작품은 바로 유토피아를 꿈꾸는 미래의 과학세계가 사실은 인류가 겪게 될 인간 멸망의 암울한 디스토피아임을 암시하고 있는 작품이지만, 디스토피아적 비전의 원형들은 이상향을 향한 비전의 반대급부로 형성된 것으로서 유토피아의 의지가 내포된 것이라 할 것이다.

키워드

유토피아, 과학, 박영희, 사회주의, H. G. 웰즈

참고문헌(16)open

  1. [단행본] 김교봉 / 2000 /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2. [학술지] 김종방 / 2011 / 1920년대 과학소설의 국내 수용양상 연구 -<80만년 후의 사회>와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의 연구 (44) : 117 ~ 146

  3. [학술지] 김종욱 / 2008 / 쥘 베른 소설의 한국 수용과정 연구 / 한국문학논총 (49) : 55 ~ 82

  4. [단행본] 김지영 / 2016 / 매혹의 근대, 일상의 모험 / 돌베개

  5. [단행본] 김창식 / 2000 /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6. [학술지] 김형국 / 1999 / 1919-1921년 한국 지식인들의 개조론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대하여 / 충남사학 11

  7. [단행본] 나인호 / 2011 / 개념사란 무엇인가 / 역사비평사

  8. [단행본] 문강형준 / 2011 / 파국의 지형학 / 자음과모음

  9. [단행본] 박근갑 / 2015 / 개념사의 지평과 전망 / 소화

  10. [단행본] 이경구 / 2012 / 개념의 번역과 창조 / 돌베개

  11. [학술지] 이상혁 / 2014 / 근대 한국(조선)의 서양 외래어 유입과 그 역사적 맥락 / 언어와 정보 사회 23 : 159 ~ 187

  12. [단행본] 이정옥 / 2000 /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13. [학술지] 이종은 / 1996 / 한국문학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 연구 / 동아시아문화연구 28

  14. [학술지] 장노현 / 2013 / 인종과 위생 ―<철세계>의 계몽의 논리에 대한 재고 / 국제어문 (58) : 533 ~ 557

  15. [학술지] 한민주 / 2012 / 인조인간의 출현과 근대SF문학의 테크노크라시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연구 (25) : 417 ~ 449

  16. [학술지] 허혜정 / 2017 / 논쟁적 대화 : H.G 웰즈의 근대유토피아론과 조선 사회주의 문예운동 / 비평문학 (63) : 227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