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2.169
18.219.22.169
close menu
KCI 등재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활용한 학교사회복지론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PBL) Method to a School Social Work Class
홍순혜 ( Soon-hae Hong ) , 최수은 ( Soo-eun Choi )
학교사회복지 33권 25-51(27pages)
UCI I410-ECN-0102-2016-330-000682402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론 수업에 PBL 방법론을 적용한 후, 학생들이 학교사회복지론 PBL 수업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 어떻게 다르다고 인식하는지, 이 수업 방식이 학생들의 학교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의 전반적이해에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그리고 이 수업의 어려운 점은 무엇이며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개선해야할 점은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학교사회복지론 PBL 수업은 2014년도 2학기에 15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1명의 사회복지학과 3-4학년 학생들이 3개 집단을 구성하여 학교사회복지 초등학교, 교육복지 남녀공학 중학교, 교육복지 여자중학교에서 각각 PBL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교수자(연구자)는 학생들에게 ‘선정한 학교 학생들의 욕구/문제를 파악하라’는 1단계 학습문제와 ‘선정한 학교 학생들의 욕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제시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라’는 2단계 학습문제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한 학기의 PBL 수업 종료 후, 학생들이 제출한 개인성찰보고서, 수업평가회, 각 집단이 작성한 프로젝트 평가서, 학교에서 주관한 인터넷 무기명 주관식 강의평가 등의 자료를 연구 문제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주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사회복지론 PBL 수업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에 비해 현장감 있으며, 학생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사회복지 실무자들의 활동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 프로그램 기획력 및 학교와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학교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구체적 이해에 기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복지현장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형성 방법, 아동청소년 대상 복지서비스에 대한 폭넓은 이해, 사회복지사로서의 자신의 역량 파악 및 점검,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 취득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수업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포함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사회복지론과 기타 사회복지 교과목에 원활하게 PBL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by applying PBL method to a school social work class, analyzes how students perceive a PBL class different from a preexisting lecture class, what benefits the PBL class provided to an overall understanding of school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what difficulties they had faced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smooth progress of the class. The school social work PBL course was held for 15weeks in the 2nd semester of 2014. Eleven class students in their junior and senior yea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ran a PBL project in each school. The professor/researcher proposed two learning problems to the students in steps. The task of the first learning problem was ‘finding needs/problems students have in each of their selected schools’, and the second was ‘suggesting intervention plan to resolve the students’ needs and problems, execute the plan and evaluate it’. After the semester-long PBL course, the material/data from the reflection reports filled by PBL class students, a class assessment meeting, the project evaluations filled by each group, and the online class evalu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s to extract core themes. The class students perceived the PBL class provided live field experiences, in comparison to a standard lecture class, positioned students as prime movers and led to take creative approach. The students evaluated that the PBL class provides clearer understanding on the actual tasks of school social workers, elevates the ability to design programs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school, and contributes to provide constructive understanding on capabilities needed to school social workers. Additionally, the evaluation reported PBL’s positive aid to build relationships with various social work related parties, a broad understanding on social services for child and youth, self-examination on their competencies, and the elevation of self-esteem as a social worker. Based on the results, including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las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suggested by PBL class student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PBL to school social work classes and other social welfare classes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학교사회복지론 PBL 수업 운영 계획
Ⅳ. 조사방법
Ⅴ. 결 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