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paper article aims to introduce Dokseubilhancheokdok, and as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we briefly show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s and internal composition. In chapter 2, the authors summerized the author’s bibliography and bibli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3 editions of Dokseubilhancheokdok. In chapter 3 we summarized the table of contents,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of Dokseubilhancheokdok could be classified firstly into 17 types, secondly into 55 sub-types. In Chapter 4, based on the classifications summarized in Chapter 3, the selection of ritual phrases in the text and the translation patterns of Chinese texts are discussed. In Chapter 5,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op column’of Dokseubilhancheokdok were identified. It can be seen that while the original Japanese text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e author did not just transfer the ritual phrases suggested in the original Japanese text as it is, but went through a certain selection. It also revealed that phrases with Chinese grammar characteristics, including four-character idiom and phrases expressed in “返り点” that appeared in the original Japanese language, tend to be broken up into Chinese-Korean mixed tex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p column’ of the existing readings, the ‘top column’ of Dokseubilhancheokdok not only has the function of a ‘Japanese-Korean dictionary’, but also shows the inflow process of vocabulary borrowed from Japanes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t is a vocabulary, also a thesaurus that can be replaced with synonymous words when writing sentences.

키워드

독습일한척독, 근대계몽기의 일한 대역, 한문구의 해체, 난상 자료

참고문헌(24)open

  1. [학술지] 김남경 / 2001 / 《언간독》과 《증보언간독》비교 연구 / 민족문화논총 24 : 29 ~ 56

  2. [학위논문] 김봉좌 / 2004 / 조선시대 방각본 언간독 연구

  3. [학술지] 김성수 / 2009 / 근대적 글쓰기로서의 서간(書簡)양식 연구(1) 근대 서간의 형성과 양식적 특징 / 민족문학사연구 (39) : 57 ~ 89

  4. [학술지] 김성수 / 2009 / 근대적 글쓰기로서의 서간(書簡)양식 연구(2) -근대 서간텍스트의 역사적 변천과 문학사적 의미 - / 현대소설연구 (42) : 137 ~ 163

  5. [학술지] 김성수 / 2010 / 근대 서간(書簡)의 매체별 존재양상과 기능 / 현대문학의 연구 (42) : 85 ~ 121

  6. [학술지] 김성수 / 2010 / 근대 초기의 서간(書簡)과 글쓰기교육 -독본ㆍ척독ㆍ서간집 텍스트를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연구 (21) : 161 ~ 190

  7. [학술지] 김종철 / 2015 / <언간독> 연구 - 작문 교재의 관점에서 - / 국어교육연구 (35) : 237 ~ 281

  8. [학술지] 김효경 / 2003 / 18세기 간찰교본 『簡式類編』 연구 / 장서각 9 : 133 ~ 154

  9. [학술지] 류준경 / 2009 / 坊刻本 簡札敎本 硏究 / 漢文古典硏究 18 (1) : 257 ~ 291

  10. [학술지] 박기영 / 2012 / 일제 식민지 시기의 한국어 회화서 『日鮮 遞信會話』와『朝鮮語遞信會話』에 한 일고찰 / 인문연구 (64) : 1 ~ 24

  11. [학위논문] 박은경 / 2013 / 문범과 시문으로서의 근대 척독 연구

  12. [학술지] 박해남 / 2012 / 근대 척독자료집 『척독완편(尺牘完編)』의 출판 현황과 배경 / 반교어문연구 (32) : 233 ~ 258

  13. [학술지] 박해남 / 2014 / 척독 교본을 통해 본 근대적 글쓰기의 성격 재고 / 반교어문연구 (36) : 181 ~ 200

  14. [학위논문] 소여원 / 2015 / 편지 쓰기 교육의 변천 과정 연구

  15. [학술지] 이기현 / 2007 / 19세기 중?후반의 척독집 수용과 편찬 / 漢文敎育硏究 28 (1) : 407 ~ 431

  16. [학술지] 임미정 / 2009 / 20세기 초 여훈서(女訓書)의 존재 양상과 의미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9) : 337 ~ 360

  17. [단행본] 정운복 / 1909 / 독습일한척독 / 일한서방

  18. [학술지] 허재영 / 2005 / 한글 편지에 쓰인 어휘 변천에 대한 연구 / 한글 (268) : 87 ~ 121

  19. [학술지] 홍은진 / 1999 / 근대 언간 규범서 ‘징보언간독’에 대하여 / 숙명語文論集 2 : 133 ~ 158

  20. [학술지] 홍인숙 / 2010 / 근대 척독집 연구 -김우균의 『척독완편(尺牘完編)』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연구 19 : 61 ~ 84

  21. [학술지] 홍인숙 / 2011 / 근대 척독집 간행 현황과 시대별 변화 양상 -1900~1950년대 간행된 척독집을 중심으로- / 韓國古典硏究 (24) : 325 ~ 358

  22. [학술지] 홍인숙 / 2013 / 1920~30년대 ‘편지예문집류 척독집’의 양상과 그 특징 / 동양고전연구 (51) : 119 ~ 160

  23. [학술지] 홍인숙 / 2013 / 1930년대 개별 척독집 연구 - 이종국(李鍾國)의 『무쌍주해 보통신식척독』(1930)의 특징 및 의의 / 韓國古典硏究 (28) : 367 ~ 404

  24. [학술지] 홍인숙 / 2014 / 근대 척독집 성행의 문화적 의미와 근대 한문학사적 위상- 근대 척독의 이중적 효용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韓國古典硏究 (30) : 319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