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의 본래성에 특징적인 ‘각자성’ 은 종종 현존재 개념에 대한 유아론적 오해를 야기한다. 이와 관련해 최근 H. B. 슈미트(Schmid)는 본래성의 각자성을 ‘공동성’으로 재해석하려는 흥미로운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래성/비본래성의 통상적인 구분을 유지하는 그의 대안은 비본래적인 존재방식을 ‘깨진 우리’, 즉 공동성이 결핍된 존재방식으로 치부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이때 우리는 현존재의 각자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는 H. 아렌트의 비판적 관점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녀의 관점은 본래성의 각자성을 단순히 공동성으로 대체하려 하지 않고, 본래성의 가능한 추상성을주제화함으로써 본래성의 공동성과 현실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슈미트의 재해석과 아렌트의 날카로운비판은 결국 본래성의 각자성을 현실적인 삶의 지평에서 재해석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런데 존재와 시간 이전에 주제화되었던 ‘현사실성’ 개념이 바로 이러한 재해석을 위해 유의미하게 고려될 수 있는 것처럼보인다. 왜냐하면 하이데거의 현사실성 개념은 원칙적으로 구체적인 ‘세계’와 ‘타인’을 현존재의 유일한 지평, 즉 자기근거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점에서 현사실성 개념은 최근 슈미트의 시도를 심화시킬 수 있는대안으로 다시금 주제화될 필요가 있다.

키워드

현존재, 본래성, 각자성, 공동성, 하이데거, 아렌트

참고문헌(14)open

  1. [단행본] 아우구스티누스 / 2016 / 고백록 / 경세원

  2. [단행본] 한나 아렌트 / 2012 / 이해의 에세이 1930~1954 / 텍스트

  3. [단행본] 한나 아렌트 / 2015 / 사랑개념과 성 아우구스티누스 / 텍스트

  4. [단행본] Adorno, Theodor W / 1966 / Negative Dialektik

  5. [단행본] Arendt, H / 1929 / Der Liebesbegriff bei Augustin

  6. [단행본] Arendt, H / 1948 / Was ist Existenz-Philosophie?

  7. [단행본] Arendt, H / 1973 /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8. [단행본] Heidegger, M / 1967 / Sein und Zeit

  9. [단행본] Heidegger, M / 1992 /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Welt-Endlichkeit-Einsamkeit

  10. [단행본] Heidegger, M / 1995 / Ontologie. Hermeneutik der Faktizität

  11. [단행본] Heidegger, M / 1998 / Logk als die Frage nach dem Wesen der Sprache

  12. [단행본] Schmid, H. B / 2008 / Die Natur der Gesellschaft

  13. [단행본] Schmid, H. B / 2012 / Wir-Intentionalität: Kritik des ontologischen Individualismus und Rekonstruktion der Gemeinschaft

  14. [단행본] Schmid, H. B / 2009 / Kollektive Intentionalität: Eine Debatte über die Grundlagen des Sozial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