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4.13 총선은 여성 후보 당선이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할 만큼 여풍이 강력했다. 이 중 주목을 끈 선거구는 이번 총선을 통해 처음 여성 의원을 배출한 강남 을과 병 지역구이다. 특히 강남 을은 여당 현역 국회의원을 상대로 야당 여성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난 곳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남성 의원이 당선되어온 이 지역에서 어떻게 여성 후보인 새누리당 이은재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후보가 공천을 받아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었는지를 참여관찰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두 후보의 당선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지만 이 후보의 당선에는 정당효과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 반면, 전 후보의 당선은 선거구 조정 효과 및 세곡동 변수, 그리고 여당과 현역의원 심판론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정당과 지역이 다른 두 여성 후보의 승리 요인은 이처럼 차별성이 존재하지만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존재했다. 먼저 두 후보 모두 전직 의원 출신으로 능력과 경력 면에서 남성 후보와 견주어 손색이 없는 준비된 후보라는 인식을 유권자들에게 심어주기에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었다. 또한 두 후보 모두 여성으로서 본인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며 지역 주민들과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측면에서 부드럽게 소통하며 세심한 부분까지 배려한 반면, 지역 문제와 관련된 사안에 있어서는 철저히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공약을 내세워 지역 주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했다.

키워드

여성, 여성 후보, 선거, 총선, 참여관찰

참고문헌(29)open

  1. [기타] 강남구 / 2015 / 제 30회 강남통계연보

  2. [보고서] 강남구 / 2015 / 강남구 사회조사보고서

  3. [기타] 강현영 / 2016 / 더민주, 전현희 전 의원 험지 서울 강남에 야권 깃발 꽂겠다 / 아시아경제

  4. [인터넷자료] / 국제의원연맹

  5. [학술지] 김경희 / 2012 / 19대 총선을 통해 본 여성 정치할당제의 지속가능성과 여성 정치세력화 / 경제와 사회 (94) : 118 ~ 147

  6. [기타] 김동하 / 2016 / 여 강남공천 이은재 도덕성 논란 확산 / 문화일보

  7. [기타] 김명환 / 2016 / 총선 격전지를 가다. 서울 강남을 더 이상 부자동네 아냐 / MK 뉴스

  8. [학술지] 김민정 / 2014 /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여성할당제의 효과 / 페미니즘연구 14 (2) : 203 ~ 241

  9. [보고서] 김원홍 / 1998 / 선거구조 개혁과 여성의 대표성 확보방안

  10. [학술지] 김원홍 / 2007 / 여성의원이 국회를 변화시키는가?: 17대 국회의원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정당학회보 6 (1) : 27 ~ 54

  11. [학술지] 김현희 / 2010 / 여성정치할당 10년의 성과와 한계 / 동향과 전망 (79) : 140 ~ 182

  12. [기타] 문재현 / 2016 / 강남분구 출마 윤창번 창조경제 제대로 구현할 것 / 데일리안

  13. [학술지] 박숙자 / 1999 / 여성정책에 관한 남녀 국회의원의 관심 및 기여도 비교분석: 제15대 국회 1년간 회의록을 중심으로 / 의정연구 (8) : 194 ~ 218

  14. [기타] 박주연 / 2016 / 전현희 강남을 당선 하늘나라에 남편도 기뻐해줄 것 소감 / 한국경제

  15. [학술지] 유숙란 / 2006 / ‘크리티칼 매스’와 성평등 구조 구축 과정- 한국의 민주화 이후 정치적 대표성을 중심으로 / 국제정치논총 46 (1) : 123 ~ 142

  16. [기타] 정수희 / 2016 / 강남을 잡으려면 세곡동을 공략하라 / 오마이뉴스

  17. [인터넷자료]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18. [인터넷자료] / 중앙선거여론조사 공정심의의원회

  19. [기타] 이하나 / 2016 / 류지영 의원, 강남 병에 출사표 할 말 꼭 하는 의원 되겠다 / 여성신문

  20. [기타] 이하나 / 2016 / 새누리당 이은재 당선인 지방세법 개정해 강남구 재산세 되찾겠다 / 여성신문

  21. [기타] 최동희 / 2016 / 새누리 강남을 ‘권문용, 김종훈, 원희목’ 치열한 경쟁, 승자는 / 국제뉴스

  22. [기타] 홍미은 / 2016 / 20대 총선에 도전하는 여성들/서울 강남병 이은재 국가안보와 경제 활성화 위해 뛰겠다 / 여성신문

  23. [학술지] 황아란 / 2002 / 국회의원후보의 당선경쟁력에 대한 성차(性差) 연구 / 한국정치학회보 36 (1) : 203 ~ 222

  24. [기타] 황진우 / 2016 / 총선 여성 후보 10.4% 당선권에도 소수 / KBS뉴스

  25. [학술지] Bratton, Kathleen A. / 2002 / Descriptive Representation, Policy Outcomes and Municipal Day-Care Coverage in Norway /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6 (2) : 428 ~ 437

  26. [단행본] Burrell, Barbara C. / 1996 / A Woman’s Place in the House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7. [학술지] Celis, Kren / 1979 / Substantive Representation of Women: The Representation of Women’s Interests and the Impact of Descriptive Representation in the Belgian Parliament 1900-1979 / Journal of Women, Politics, and Policy 28 (2) : 85 ~ 114

  28. [학술지] Reingold, Beth / 1992 / Concepts of Representation among Female and Male State Legislators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17 (4) : 509 ~ 537

  29. [학술지] Thomas, Sue / 1991 / The Impact of Women on State Legislative Policies / The Journal of Politics 53 (4) : 958 ~ 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