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잠자리 수채와 잠자리 관찰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3회 한국학생 과학탐구올림픽 자연관찰탐구대회에 참가한 48개팀(2인 1조)의 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관찰 방법과 대상은 시각관찰(97%), 단순관찰(93%), 정성관찰(63%), 부분관찰(88%), 단수관찰(96%), 정적관찰(87%)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다양한 관찰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교사가 대상의 특성에 따라 가능한 모든 관찰 유형을 추출하여 자세히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의 부족한 관찰유형을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둘째, 절대관찰력지수가 다양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절대적 관찰력지수 산출식은 다양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의 관찰을 우수한 관찰로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관찰 자체의 수와 관찰의 다양도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많은 수의 관찰을 한다고 해서 다양한 형태의 관찰을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셋째, 가설생성능력지수와 잠자리관찰을 통해 발견한 과학적사실의 수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가설생성능력지수와 수채관찰을 통해 발견한 과학적사실의 수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관찰 경험의 기회가 많았던 잠자리에 관한 배경지식이 풍부했고 더 적극적인 관찰을 했음을 의미하며, 배경지식과 관찰을 통해 획득한과학적 사실을 가설생성의 설명자로 적극 활용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설생성 학습을 실시할 때는 학생들에게 친숙하여 배경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며 관찰을 통해 보다 많은 과학적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 대상을 선정해야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또한 과학수업의 교수를 위해 학생관찰의 특성에 관한 발견의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키워드

잠자리, 수채, 관찰력지수, 가설생성력지수, 다양도

참고문헌(23)open

  1. [학술지] 권용주 / 2005 /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3) : 431 ~ 439

  2. [학술지] 권용주 / 2003 /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 458 ~ 469

  3. [학술지] 권용주 / 2007 / 기공과 새우 과제에서 초중등 교사들이 생성한 관찰의 분석 및 관찰력 지수의 개발 / 중등교육연구 55 (3) : 83 ~ 111

  4. [학술지] 김영신 / 2006 /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와 일반 학생의 관찰 방법과 행동 비교 연구 / 생물교육 34 (4) : 432 ~ 438

  5. [학술지] 김예람 / 2015 / 과학적 사고전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관찰, 분류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 한국초등교육 26 (2) : 195 ~ 214

  6. [학술지] 문병찬 / 2013 / 과학적 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화강암 관찰결과의 특징과 타당성 연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 (2) : 101 ~ 111

  7. [학술지] 박명희 / 2005 /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 초등과학교육 24 (4) : 345 ~ 350

  8. [학술지] 박종원 / 1999 /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찰 행동 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3) : 487 ~ 500

  9. [학술지] 배진호 / 2013 / 초등학생의 인지 양식에 따른 식물 관찰 능력 및 관찰 유형 / 생물교육 41 (2) : 225 ~ 238

  10. [학술지] 신동훈 / 2006 /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 초등과학교육 25 (4) : 339 ~ 351

  11. [학술지] 양일호 / 2010 /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 특성 분석 : MEG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8) : 1097 ~ 1109

  12. [학술지] 이혜정 / 2010 /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관찰지식 생성에 대한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1) : 13 ~ 26

  13. [학술지] Ahtee, M. / 2009 / Primary school student teachers' views about making observations / Nordic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 (2) : 128 ~ 141

  14. [단행본] Chadwick, B. / 1994 / Science in perspective: Book 1 / Science Press

  15. [학술지] Covil, M. / 2002 / Science skills The building blocks / Investigating 18 (4) : 27 ~ 30

  16. [학술지] Helmier, C. H. / 1986 / The nature of scientific observation / School Science Review 68 : 28 ~ 35

  17. [학술지] Hodson, D. / 1986 / The nature of scientific observation / School Science Review 68 : 28 ~ 35

  18. [학술지] Macro, C. / 2004 / Questions and questioning : Working with young children / Primary Science Review 83 : 4 ~ 6

  19. [단행본] Martin, M. / 1972 / Concepts of science education: A philosophical analysis keystones of education series / Scott, Foresman and Company

  20. [단행본] Morgan, C. T. / 1975 / Introduction to Psychology / McGraw-Hill

  21. [단행본] Ostlund, K. L. / 1992 / Science Precess Skills: Assessing Hands in Student Performance /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2. [단행본] Simpson, R. D. / 1981 /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 A Guide for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 John Wiley &Sons

  23. [학술지] William, F. M. / 2001 / The Expectancy effect in Secondary school biology laboratory instruction /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3 (4) : 246 ~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