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에게 자율적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들의 시험불안 및 학습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남학생 2명으로 단일피험자 설계에 의한 사례 연구를 18회기 동안 추진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적 협동학습은 고등학교 과정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적이다. 둘째, 자율적 협동학습은 고등학교 과정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키워드

자율적 협동학습, 시험불안, 학습태도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 2001 / 심리척도 핸드북 Ⅱ / 학지사

  2. [학위논문] 김경희 / 2002 / 초등사회과에서 협동을 위한 협동학습의 효과

  3. [학술지] 김은주 / 2001 /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협동학습 중심의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기호연구 /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4. [학위논문] 박신정 / 2006 /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뇌성마비 학생의 학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5. [학위논문] 박연숙 / 2004 / 협동학습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또래수용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6. [학위논문] 이경연 / 2005 / 협동학습이 정서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7. [단행본] 김성연 / 2007 / 협동학습모형 탐색 / 학지사

  8. [단행본] 전헌선 / 2006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대구대학교 출판부

  9. [단행본] 정문성 / 2002 /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 교육과학사

  10. [단행본] 정문성 / 1998 / 열린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 형설출판사

  11. [학위논문] 정진숙 / 2004 / 신문활용교육을 통한 협동학습이 뇌성마비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12. [학위논문] 조은이 / 2001 / 초등실과교육에서 자율적 협동학습이 아동의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13. [학술지] 황경열 / 1997 / 행동적, 인지적, 인지-행동 혼합적 시험불안 감소훈련의 효과 비교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과 심리치료 9 (1) : 57 ~ 80

  14. [단행본] Bowers,B. / 2006 / Child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milies Search for Specialized Care and Cooperative Childcare Partnerships. in Infant and Young Children / Aspen Publishers inc

  15. [단행본] Cruickshank,W.M / 1976 / Cerebral Palsy / Syracuse University

  16. [학술지] Fore,C. / 2006 /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educational reform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 Reading Improvement 43 (1)

  17. [단행본] Johnson D.W. / 1991 / Learning together and alone:cooperative,competition,and individualization / Prentice - Hall

  18. [단행본] Johnson,D.W. / 1985 / The internal dynamics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s. In Learning to cooperate,cooperating to learn / Plenum

  19. [단행본] Kagan / 1994 / Cooperative Learning / Kagan Cooperative Learning

  20. [단행본] Kagan,S / 1985 / Dimensions of cooperative classroom structures. In Learning to cooperative,cooperating learn / Plenum

  21. [학술지] Lancioni G E. / 2001 / Cooperative task performance and preferences of people with multiple disabilities /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2 (3)

  22. [학술지] Proctor, P. / 2007 / Comparing two cooperative small group formats used with physical therapy and medical students. in Routledge Taylor and Francis Group /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4 (1)

  23. [단행본] Slavin,R.E / 1990 / Cooperative Learning:Theory,research,and practice / Prentice-Hall

  24. [단행본] Slavin.R.E / 1983 / Cooperative learning /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