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 편의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표준화되며, 소멸하는가? <일타홍 이야기>는 물음에 대해 일정한 해답을 준다. 해답을 찾기 위한 전제로, 모든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에 기초해 있다는 상식에 둔다. <일타홍 이야기>의 원천 역시 실재한 역사적 사실에서 출발한다. 김명시가 편찬한 『무송소설』이 <일타홍 이야기>가 실사임을 방증하기 때문이다. 『무송소설』에는 심희수가 사랑한 기생 부생이 일찍 죽었고, 그 후에도 평생토록 부생을 잊지 못했다는 내용을 담았다. <일타홍 이야기>의 원천이었다. 사실은 방사형으로 번진다. 이야기 속 주인공에 대한 사실과 허구가 혼용되고, 이야기 집단의 도덕규범에 따라 주인공에 대한 평가도 더해지면서 극적으로 바뀐다. 그 흔적이 『교거쇄편』과 『이야기책』 등에 남았다. 방사형으로 퍼져나간 이야기는 어느 순간 전형적인 틀을 갖추게 된다. 일종의 표준틀이 만들어지는데, <일타홍 이야기>의 표준은 임방의 『천예록』에서 비롯된다. 『천예록』은 액자구성을 취해 ‘만남-이별-재회-죽음’이라는 본이야기를 담았다. 본이야기는 전대의 다양한 이야기를 수합 정리한 것이다. 표준이 만들어지면 일화는 더 이상 방사형으로 번지지 못한다. 표준 안에서 약간의 변화가 있을 뿐이다. 물론 『금계필담』처럼 비주류를 따른 사례도 있지만, 대부분은 표준틀 안으로 수용되었다. 표준이 바뀌는 경우도 있다. 그것은 일상의 개입에서 비롯된다. 일상은 타자의 이야기를 자기 문제를 환치하는데, 『동패락송』 계열이 그러했다. 일상의 문제는 독자로 하여금 내면화하는 구성을 취하게 하며, 내면화는 잠재된 욕망을 자극한다. 욕망은 작품의 변이로 이어지기도 한다. 『동패락송』 계열을 준용하면서도 일타홍의 죽음을 지우거나, 일타홍이 다른 사람 집에 의탁하는 내용을 삭제한 야담집들이 존재하는 것도 내면화 도정에서 발생한 욕망이 작동한 결과였다. 또한 그것은 야담이 자기갱신을 하는 현상이기도 했다. 자기갱신 과정에서 급속하게 전개된 매체 변환은 <일타홍 이야기>를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었다. 매체 변환은 ‘집’으로 향유되던 야담의 독서 방식을 바꾸었다. 바뀐 독서 방식은 독자에게 개별 작품을 유기적으로 읽도록 요구했다. 전체 안에서 부분의 의미를 읽는 방식이 아닌, 하나의 개별 작품을 꼼꼼하게 읽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전근대 작품을 근대문학으로 전환하기에는 당시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작가의 역량에 문제가 있었다. 어정쩡한 텍스트 생성은 바로 그런 이율배반적 상황의 단면을 담은 결과물이었다. 이와 달리 다른 한편에서는 전근대 야담 향유 방식을 그대로 준용하기도 했다. 연활자본 야담집의 간행이 그 예라 하겠다. 변화와 수용, 전혀 다른 두 방향이 공존했던 것이다. 그러나 <일타홍 이야기>는 새로운 표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소멸하였다. 중세의 감수성을 근대의 틀 안에 억지로 집어넣는 것은 소멸로 가는 당연한 수순이었다.

키워드

야담, 일타홍 이야기, 심희수, 야담의 형성/표준화/변전/소멸, 무송소설, 교거쇄편, 이야기책, 천예록, 송천필담, 금계필담, 동패락송, 계서잡록, 기문총화, 계서야담, 근대전환기 야담

참고문헌(85)open

  1. [단행본] 姜斅錫 / 1925 / 大東奇聞 / 한양서원

  2. [기타] ⾦明時 / 撫松小說, 버클리대본

  3. [단행본] 南⿓翼 / 1982 / 箕雅 / 아세아문화사

  4. [단행본] 南夏正 / 2017 / 東巢漫錄 / 혜안

  5. [단행본] 朴健會 / 1921 / 朝鮮野說 拍案驚奇 / 조선도서주식회사

  6. [단행본] 朴健會 / 1928 / 半萬年間 朝鮮野談集 / 영창서관

  7. [단행본] 白⽃鏞 / 2021 / 東廂記纂 / 휴머니스트

  8. [단행본] 宋淳夔 / 1923 / 奇人奇事錄 上下 / 문창사

  9. [단행본] 申鼎言 / 1960 / 한국야담사화전집 7 / 동국문화사

  10. [단행본] 沈 𨫃 / 2009 / 松泉筆談 1~3 / 보고사

  11. [단행본] 柳夢寅 / 2006 / 於于野談 / 돌베개

  12. [단행본] 劉在建 / 2008 / 里鄕⾒聞錄 / 글항아리

  13. [인터넷자료] 任相元 / 郊居瑣編

  14. [단행본] 任 埅 / 2005 / 天倪錄 / 성균관대출판부

  15. [단행본] 池松旭 / 1913 / 텬연뎡 / 신구서림

  16. [단행본] 崔永年 / 1918 / 實事叢談 / 조선문예사

  17. [단행본] 洪⿓漢 / ⻑洲集』 25권

  18. [인터넷자료] 매일신보 / 국립중앙도서관

  19. [단행본] 이신성 / 2000 / 揚隱闡微 / 보고사

  20. [단행본] 정환국 / 2022 / 정본 한국야담전집 (전10권) / 보고사

  21. [기타] / ⾒睫錄 (연세대본)

  22. [기타] / 溪⻄野談 (천리대본)

  23. [기타] / 溪⻄雜錄 (일사문고본)

  24. [기타] / 鷄鴨漫錄 (서울대본)

  25. [기타] / 古今笑叢 (동양문고본)

  26. [기타] / 古談 (김준형본)

  27. [기타] / 紀聞叢話 (연세대본)

  28. [기타] / 記聞叢話(국도본)

  29. [기타] / 紀聞叢話鈔 (국도본)

  30. [기타] / 奇異不說 (영남대본)

  31. [기타] / 東野輯事 (국도본)

  32. [기타] / 東稗集 (천리대본)

  33. [기타] / 東稗追錄 (정명기본)

  34. [기타] / 選諺篇 (장서각본, 규장각본)

  35. [기타] / 醒睡叢話 (연민본)

  36. [기타] / 宋思齋新定廟記 (최민열본)

  37. [기타] / 瑣語 (연세대본)

  38. [기타] / 於于野談 (천리대본)

  39. [기타] / 月下僊傳 (고려대본)

  40. [기타] / 利野耆冊 (국도본, 고려대본)

  41. [기타] / 천예록 (정명기본)

  42. [기타] / 靑邱野談 (버클리대본)

  43. [기타] / 叢話 (천리대본)

  44. [기타] / 荷潭漫錄 (천리대본)

  45. [기타] / 海東奇話 (고려대본)

  46. [기타] / 海東異蹟 (버클리대본)

  47. [단행본] 강영순 / 2013 / 알아줌, 그 성취와 애정의 서사 / 보고사

  48. [학술지] 강진옥 / 1997 / 야담 소재 신소설의 개작양상에 나타난 여성수난과 그 의미 / 이화어문논집 15 : 255 ~ 295

  49. [학술지] 강현조 / 2013 / <단발령(斷髮嶺)>과 <금상첨화(錦上添花)>의 전래 서사 수용 및 변전 양상 연구 / 열상고전연구 (38) : 101 ~ 133

  50. [학술지] 고은지 / 2008 / 1930년대 오락물로서 역사의 소비 / 대중서사연구 (19) : 191 ~ 224

  51. [학술지] 권기성 / 2019 / 라디오에 방송된 근대야담의 일면(一面) : 『조선야담대해(朝鮮野談大海)』 1책을 대상으로 / 민족문학사연구 (70) : 67 ~ 101

  52. [학술지] 김영준 / 2000 / 이야기책 소고⑴ / 한국문학논총 26 : 85 ~ 107

  53. [학위논문] 金埈亨 / 1998 / 紀聞叢話系 野譚集의 文獻學的 硏究

  54. [학술지] 김준형 / 1998 / 옥소선이야기의 변이양상과 의미 / 한국민속학 (30) : 265 ~ 288

  55. [단행본] 김준형 / 2004 / 한국패설문학연구 / 보고사

  56. [학술지] 김준형 / 2005 / 19세기말-20세기초 야담의 전개양상 / 구비문학연구 21 : 165 ~ 208

  57. [학술지] 김준형 / 2006 / 천예록 원형재구와 향유양상 일고 / 한국한문학연구 37 : 459 ~ 501

  58. [학술지] 김준형 / 2008 / 근대전환기 야담의 전대 야담 수용 태도 / 한국한문학연구 (41) : 595 ~ 631

  59. [학술지] 김준형 / 2009 / 사실의 기록과 야담의 진실성 / 동방한문학 (39) : 53 ~ 88

  60. [학술지] 김준형 / 2015 / 근대전환기 야담을 보는 시각 - 『한성신보』를 중심으로 - / 한국문학연구 (49) : 122 ~ 154

  61. [학술지] 김준형 / 2022 / 야담 수재 어머니와 자식, 주체의 전환과 통증의 깊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4) : 97 ~ 131

  62. [단행본] 김천혜 / 1990 / 소설 구조의 이론 / 문학과지성사

  63. [학위논문] 남궁윤 / 2020 / 청구야담의 전변과정과 편제양상 연구

  64. [단행본] 서정문 / 2008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고서해제, Ⅹ권 / 평민사

  65. [단행본] 이강옥 / 1998 / 조선시대 일화 연구 / 태학사

  66. [학술지] 이상현 / 2007 / ≪天倪錄≫, ≪조선설화 : 마귀, 귀신 그리고 요정들≫ (Korean Folk Tales : imps, ghost and fairies) 所載 <玉簫仙·一朶紅 이야기>의 재현양상과 그 의미 / 한국언어문화 (33) : 29 ~ 54

  67. [학위논문] 이승은 / 2016 / 18세기 야담집의 서사지향과 서술방식

  68. [학술지] 이승은 / 2013 / 활자본 야담집 기인기사록의 편찬의식과 의미 / JKC 24 : 39 ~ 60

  69. [학술지] 이승은 / 2021 / 근대전환기 잡지에 수용된 야담의 존재양상 / JKC 53 : 237 ~ 267

  70. [학술지] 이신성 / 1991 / 일타홍 이야기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 / 한국한문학연구 14 : 139 ~ 180

  71. [단행본] 이신성 / 1994 / 천예록 연구 / 보고사

  72. [학술지] 이신성 / 1994 / 양은천미 소재 여성인물야담에 대하여 / 부산한문학연구 8 : 145 ~ 170

  73. [단행본] 이윤석 / 2001 / 구활자본 야담의 변이양상 연구 / 보고사

  74. [단행본] 임형택 / 1985 / 동패락송 외 5종 / 아세아문화사

  75. [단행본] 임형택 / 2012 / 한문서사의 영토 / 태학사

  76. [단행본] 정명기 / 1996 / 한국야담문학연구 / 보고사

  77. [학술지] 정명기 / 2008 / 筆記, 野談集에의 受容 樣相 -『郊居瑣編』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연구 (41) : 565 ~ 593

  78. [단행본] 정명기 / 2019 / 한국야담의 자료와 전승 / 보고사

  79. [학위논문] 정보라미 / 2021 / 한글본 야담 연구

  80. [학술지] 정출헌 / 2020 / 『東稗洛誦』의 전대 이야기 수용 양상 -전대 문헌 수재 「朴震憲」과 「楊士彦 모친」을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연구 57 : 287 ~ 321

  81. [학술지] 진재교 / 1996 / 천예록의 작가와 저작연대 / 서지학보 17

  82. [단행본] 한원영 / 1990 / 한국 개화기 신문연재소설 연구 / 일지사

  83. [단행본] 로버트 단틴 / 1996 / 고양이 대학살 / 문학과지성사

  84. [단행본] 무라카미 하루키 / 2018 / 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 / 문학동네

  85. [단행본] Alastair Fowler / 1974 / New Directions in Literary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