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불교서사의 하나인 금동전승은 사찰, 고승 등에 연관된 일화를 추적하는 일반적인 불교 전승담에 비해 여러 변별점을 지닌다. 즉, 널리 알려진 명승 중심의 인물담이나 절의 연혁을 알리는 창사담의 기능을 넘어서는 국면을 보여주게 된다. 이에 따라 여기서는 금동캐릭터의 형성 배경, 그리고 각편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대결구도의 특성에 주목하기로 한다. 금동은 상상의 소산이라기보다는 고려 시기 정상 궤도를 이탈하고 있는 문제적 불자를 염두에 둔 캐릭터에 가깝다. 금동전승 각편들에서 폭넓게 삽입되는 금동/명승의 대결적 배치는 정/사의 경계를 보여줌은 물론 사(邪)에 대한 정(正)의 승리에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한 서사전략과 무관치 않다. 대결담으로서 금동전승은 정법, 조각, 신술 등 3 가지의 우열 다툼으로 전개되며 시대에 따른 전승 담당층의 관심이 투영되고 있다. 초기 전승에 속하는 정법대결에서 금동은 세속 생활을 청산한 재가 불자로 비치지만 반불적 행태가 탄로 나면서 명승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고 양자(兩者)는 대립, 대결의 위치에 선다. 이같은 금동/명승 대결구도는 고려 당대 현실에서 문제시되던 불자, 신앙 행태를 고발하기 위한데 목적을 둔다. 조선 초기를 거쳐 17세기에 등장한 각편부터는 명승/금동의 대결에서 초점화의 대상이 불교 문화재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난다. 명승이 빼어난 솜씨로 삼불상 혹은 묘길상을 조각한 후 금동도 경쟁심에서 50(60)불상의 조각에 나서게 된다. 하지만 거칠고 볼품없는 불상은 그가 명승에 비해 하수(下手)임을 입증할 뿐이다. 한층 시기심이 높아진 금동은 신술을 앞세워 명승의 불상을 도괴(倒壞)하려 들지만 이 역시 상황을 앞서 간파한 명승에 의해 수포로 돌아가고 도리어 금동이 죽음을 맞게 된다. 신술 대결담에 이르면 전승 당대의 상황이 사라지는 대신 의인적(擬人的) 상상력에 기반한 지형, 지물의 연기담으로 서사의 성격이 변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키워드

금동전승, 나옹, 지공, 대결담, 호불유자(好佛儒者), 정법대결, 조각대결, 신술대결.

참고문헌(36)open

  1. [기타] / 高麗史 卷 95, 列傳 卷第21 / 蔡洪哲傳

  2. [기타] / 高麗史 卷105, 列傳 卷第18 / 鄭僐傳

  3. [기타] / 高麗史 卷105, 列傳 卷第18 / 李承休傳

  4. [기타] / 高麗史 卷107, 列傳 卷第20 / 權㫜傳

  5. [기타] / 高麗史 卷116, 列傳 卷第24 / 李嵒傳

  6. [기타] / 高麗史 卷116, 列傳 卷第29 / 李琳傳

  7. [기타] / 高麗史 卷95, 列傳 卷第8 / 李資玄傳

  8. [기타] / 高麗史 卷99, 列傳 卷第12 / 林民庇傳

  9. [단행본] 金龜柱 / 東遊記 /

  10. [단행본] 金 楺 / 游楓嶽記

  11. [단행본] 南孝溫 / 遊金剛山記

  12. [단행본] 朴泰茂 / 遊金剛山記行

  13. [단행본] 裵龍吉 / 金剛山記

  14. [단행본] 法 宗 / 遊金剛錄

  15. [단행본] 徐有本 / 金剛一萬二千峯應製代舍仲

  16. [단행본] 宋秉璿 / 東遊記

  17. [단행본] 申光洙 / 黃鶴歌

  18. [단행본] 申翊聖 / 遊金剛內外山諸記

  19. [단행본] 申佐模 / 鳴淵

  20. [단행본] 申楫 / 關東錄下

  21. [단행본] 魚有鳳 / 遊金剛山記

  22. [단행본] 柳夢寅 / 涅槃山奇奇菴沙彌敬允序

  23. [단행본] 李萬敷 / 金剛山記

  24. [단행본] 象秀 / 東行山水記

  25. [단행본] 李世龜 / 東遊錄

  26. [단행본] 李源祚 / 鳴淵

  27. [단행본] 李 冑 / 金骨山錄

  28. [단행본] 李震相 / 地藏庵

  29. [단행본] 李夏坤 / 東遊錄

  30. [단행본] 李玄錫 / 東遊錄

  31. [단행본] 崔有海 / 嶺東山水記

  32. [단행본] 楓 溪 / 白花寺

  33. [단행본] 許 薰 / 東遊錄

  34. [단행본] 混 元 / 1989 / 佛敎全書 卷11 / 동국대 출판부

  35. [단행본] 洪敬謨 / 海嶽記

  36. [학술지] 김승호 / 2019 / 금강산의 사찰전승에서 聖의 引入과 俗의 배척 양상 - 聖境지향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 101 : 99 ~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