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 교수 학습 방법 및 그에 관한 연구의 실태를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망과 지향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첫째, 문학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는 교육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이론 연구들은 현장 지향성을 높여야 하고, 이론의 적합성은 실천을 통해 검증되어야 하며, 현장 연구를 통해 교육 현상 자체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도모해야 한다. 둘째, 문학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한, 문학이 문학교육을 견인한다는 관점보다는 문학교육을 통해 문학이 존재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문학이 본질상 인문학적 속성과 예술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면 그 둘 중 어느 것도 취사선택, 혹은 차등적 대우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구체적인 문학 교수 학습의 목표에 따라서만 중심이 이동할 따름이다. 넷째, 문학관을 실체와 속성 중심으로 나누고, 문학교육은 다시 그 각각을 ‘객관주의적 관점에 입각한 교수자 해설 중심’과 ‘구성주의적 관점에 입각한 학습자 활동 중심’으로 구분하여, 거시적 미시적 목표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하도록 한다. 다섯째, 필자의 수업 현장을 바탕으로 활동 중심의 교수 학습 실천 사례를 보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주체적 구성주의 활동을 고무하기 위해 문화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고 아우르는 수렴적이고 발산적인 상호텍스트성 활동을 적극적으로 시도해 보았다.

키워드

실체 중심 문학교육, 속성 중심 문학교육, 해설 중심 문학교육, 활동 중심 문학교육, 상호텍스트성

참고문헌(10)open

  1. [단행본] 김대행 / 2000 / 문학교육원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2. [학술지] 김성진 / 2004 / 문학 교수학습 방법론 연구 / 국어교육학연구 (21) : 231 ~ 254

  3. [단행본] 로이스 타이슨 / 2012 / 비평이론의 모든 것 / 앨피

  4. [단행본] 박인기 / 2009 / 제4부 제7장 문학교육, In 국어교육학개론 / 삼지원

  5. [학술지] 염은열 / 2009 /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 문학교육학 (28) : 193 ~ 222

  6. [학술지] 정재찬 / 2006 / 국어 수업 비평론 / 국어교육학연구 (25) : 389 ~ 420

  7. [학술지] 정재찬 / 2006 / 현대시 교육의 방향 / 문학교육학 (19) : 387 ~ 410

  8. [학술대회] 최병우 / 2012 / 문학교육학의 이론적 범주와 문학교육의 방법 / 제62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9. [단행본] 최지현 / 2007 /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 역락

  10. [학술지] 최지현 / 2012 /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 이론의 실천성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 새국어교육 (89) : 429 ~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