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 이 글은 주로 법학적성시험의 읽기 및 쓰기 문항에 관해 소개하고, 가능한 문제점을 진단한 다음,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고 있다.2. 법학적성시험의 전체 시험 과목은 ‘언어 이해’, ‘추리 논증’, ‘논술’ 등 3과목이다.3. ‘언어 이해’의 인지적 영역은 ‘분석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로 구분된다.4. 법학적성시험에서, 사회과학 영역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다른 과목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생긴다.5. 논술 시험의 분량을 정량화하는 것은 어렵지만 적어도 2,500에서 3,000자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제재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논술 문항의 출제가 필요하다. 6. 법학 전문대학원의 설립이 ‘개혁’과 관련해서 제기된 것임을 감안하여 법조계 내부의 합리성과 사회 전체의 합리성은 절충되어야 한다.7. 법학적성시험으로 인하여 대학 내부의 지적 지형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해서는 주의 깊게 연구되어야 한다.8. 좋은 문항이 개발되어 대학 문화와 인문학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키워드

법학적성시험, 언어 이해, 추리·논증, 논술, 인문학의 활성화

참고문헌(13)open

  1. [학술지] 고형일 / 1987 / 지식의 상품화 현상에 대한 기호언어학적 분석 / 교육사회학 탐구

  2. [기타] 교수신문 / 2007 / ?미국?일본의 로스쿨 운영?, 『교수신문』 2007년 12월 10일

  3. [단행본] 김주훈 / 2006 / 법학적성시험 기초 연구 결과발표 공청회 자료집(연구자료:CRM 2006-15)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보고서] 김주훈 / 2006 / 법학적성시험 연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연구보고 CRE 2006-5)

  5. [학술지] 노명완 / 2006 / 읽기 평가틀에 대한 비교 연구 / 교육과정평가연구 9 (1)

  6. [기타]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 2005 / 일본의 법과대학원 설치?운영 실태-국외 출장 보고

  7. [학술지] 조윤형 / 2007 / 수능 언어 영역의 ‘평가목표’ 진술 연구 / 교육과정평가연구

  8. [학술지] 최진아 / 2001 / ?傳奇로 읽은 唐代 남성의 욕망-愛情類 傳奇를 중심으로? / 중국소설논총 9

  9. [단행본] 미야자키 이치사다 / 1996 / 중국의 시험지옥-科擧 / 청년사

  10. [단행본] 뮐러 / 2005 / 법텍스트와 텍스트 작업 / 법문사

  11. [단행본] 플루타르코스 / 1994 / 플루타르크 영웅전 / 범우사

  12. [단행본] 임마누엘 칸트 / 1992 / 세계 시민적 관점에서 본 보편사의 이념, 『칸트의 역사 철학』 / 서광사

  13. [단행본] 江口勇治 / 2007 / 세계의 법교육 I / (주)한국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