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문제해결 과정으로의 사고력 연습은 ‘요약하기→문제 정의하기→논지 세우기→해결책 구체화하기’와 같이 단계화 할 수 있다攀 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각 단계마다 자신의 사고 내용을 적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학습 독서를 위한 전략인 KWL(H)표 만들기와 같은 전략을 적용해 보아도 된다. KWHL에 대해서는 이성영(2006), 한철우 외(2001) 등을 참조할 수 있다.攀攀. 요약 단계에서는 화제(topic)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입장(attitude)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problem) 형성은 관심을 가지는 문제의 주요 논점을 정의하거나, 또는 요구되는 작문 과제(논제)를 고려하면서, 사회문화적으로 쟁점이 될 만한 문제의 주요 논점이나 갈등 요인을 조작적으로 정의(operational definition)한다. 다음으로 논지(thesis)는 화제에 관해 자신이 진실이라고 믿고 글에서 뒷받침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화제에 대한 주장으로서(원진숙 외 역, 1998:297), 주제문을 작성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은 논지를 보다 구체화 하는 단계로서, 앞서 제기한 문제들, 즉 쟁점들의 차이를 생각하면서 쟁점에 따른 구체적인 해결책을 만드는 과정이다. 다음은 이러한 과정에 따라 개략적인 글쓰기를 한 예시문이다.화 제인간과 사회요약하기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집단을 이루며 살아가지만, 오히려 군중 속에서 더 소외를 느낀다. 문제(쟁점) 정의한국은 10년 새 자살률이 2배로 늘어났다; 필연적으로 집단을 이뤄 살아가는 인간은 왜 현대 사회에서 더 소외감을 느끼는가?논지 세우기‘인간 소외’란 어떤 인간이 자신의 선택이나 활동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외적 강제에 의해 객체로 전락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효율성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고도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생산 활동의 객체로 자리매김되며, 한 개인의 가치는 그 개인이 생산해낼 수 있는 경제력으로 가늠되고 있다.해결책을 수립하기(방안을 항목화하기)인간을 경제적 능력만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즉, 사회는 사랑 즉, 나눔과 공생의 정신에 따라 모든 사회의 구성원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 보장제도와 공적 부조를 체계화해야 한다. 그리고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각 개인이 현재의 자신을 인정하고 경제적 능력으로써가 아닌 다른 다양한 창조적 활동으로써의 자신의 모습을 평가해야 한다. 이로써 자신에게 가치를 부여하는 정신적 성숙이 필요하다.

키워드

학교 독서, 교과 독서, 주제 중심, 자기 선택적 독서, 독서목록, 학교 독서 프로그램

참고문헌(39)open

  1. [학술지] / 1999 / 비판적 사고의 교과적 접근 8 (2)

  2. [학술지] / 1995 / 국민독서실태 조사

  3. [학술지] / 2003 / 활동 중심 읽기 교육의 내용 연구

  4. [학술지] / 1997 / 독자들의 반란-대안문학이 왜 필요한가? (2)

  5. [학술지] / 2002 /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13 (4)

  6. [학술지] / 2002 /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대한 연구-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접근-

  7. [학술지] / 1996 / 독서 개념의 현대적 조명

  8. [학술지] / 2005 / 고등학교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9. [학술지] / 2005 / 내용교과 독서가 교과학습에 미치는 영향

  10. [학술지] / 1996 / 학습 사회와 독서

  11. [학술지] / 2000 /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03)

  12. [학술지] / 2003 / 사고와 표현

  13. [학술지] / 2001 / 읽기 지도의 이해

  14. [학술지] / 2005 / 교과독서의 의미와 방향

  15. [학술지] / 1993 / 독서교육의 이론과 방법

  16. [학술지] / 2006 / KWL의 국어교육적 가치 27집

  17. [학술지] / 2001 /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18. [학술지] / 1997 / 읽기 교육의 이해

  19. [학술지] / 2005 / 독서이력철의 구성과 평가 방안 (14)

  20. [학술지] / 2001 / 과정 중심 독서지도

  21. [학술지] / 2002 / 문학 중심 독서지도

  22. [학술지] / 2007 / 학교현장 독서지도 어떻게 할 것인가?

  23. [학술지] / 19741994 / How to Read

  24. [학술지] / 1999 / Literacy research and practice:What's hot, What's not, and Why 52

  25. [학술지] / 2005 / Critical thinking, thoughtful writing:A Rhetoric with Readings

  26. [학술지] / 1996 /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processes and intervention

  27. [학술지] / 2005 / Creating Literacy:instruction for all student

  28. [학술지] / 1983 / Strategies of Discourse Comprehension

  29. [학술지] / 1980 / Is There a Text in This Class? The Autbority of Interpretative Communities

  30. [학술지] / 2000 / Trends in Reading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Ⅲ

  31. [학술지] / 2000 / Discourse and sociocultural studies in reading Ⅲ

  32. [학술지] / 1986 /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

  33. [학술지] / 1978 / Toward a Model of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34. [학술지] / 1985 / Linguistic Processes in Sociocultural Practice

  35. [학술지] / 1984 / Learning to read like a writer Becoming readers in a complex society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144 ~ 173

  36. [학술지] / 1995 / Understanding Curriculum

  37. [학술지] / 1994 / Reading as a Meaning-Construction Process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 996 ~ 1056

  38. [학술지] / 2001 / Teaching content reading and writing

  39. [학술지] / 2000 / Reading Strategies and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