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531.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이 인지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The Effect of Korean Adolescents’ Community Social Capital on Self-esteem: The Longitudinal Research Using Latent Growth Model

  • 17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인지하는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자아존중감의 궤적을 살펴보고,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초4 패널 데이터 가운데 4차(중1), 6차(중3), 7차년(고1)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의 무조건 모형을 통해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자아존중감의 궤적을 파악하였고, 조건모형을 통해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하게 낮아졌고,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낮아졌다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자아존중감의 초기값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율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종단적 변화 양상과 예측변인으로써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adolescent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through a longitudinal research. The data was draw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 longitudinal panel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grader(wave 4, wave 6, wave 7). The trajectory of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were analyzed through the unconditional model of the latent growth modelling, and the effect of community social capital on self-esteem was analyzed through the conditional model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elf-esteem had decreased over time. Also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ommunity social capital has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Second,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di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change in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ssible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are provided.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