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251.22
18.226.251.22
close menu
KCI 등재
광주 주변부 공간의 변화와 이주민의 장소성 연구
A Study on Space Changes in the Vicinity of Gwangju and Placeness of Immigrants
한정훈 ( Han Jeong-hoon )
UCI I410-ECN-0102-2021-800-000487334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학강정 갱생지구’로 지정되어 도시 빈민들의 거주 지역으로 출발한 광주광역시 학동을 공간적 배경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후반과 1960~80년대 농촌을 떠나 광주로 이주한 학동 사람들의 구술생애담을 대상으로 학동의 다중적 장소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학동은 일제의 식민도시 광주가 구성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주변부 공간이다. 그래서 학동은 민족적 차별과 식민경제의 모순을 함께 내재한 공간이 되었다. 해방 이후와 산업근대화 시기에는 외국에서 돌아온 전재민, 농촌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학동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학동 사람들은 광주에서 타자적 존재로 인식되었고, 왜곡된 시선과 소문 속에서 사회적 배제의 대상이 되었다. 그럼에도 학동 사람들은 그들만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스스로의 결핍을 해소하고자 했고, 이 과정에서 결핍 해소의 성공과 실패 등 다양한 경험을 했다. 학동은 거주 주체들에 의해서 다중적 장소성을 적층하게 되었고, 학동 사람들은 나름의 장소애를 지니게 되었다. 현재 학동은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할 목적으로 새 아파트가 건설되었다. 하지만 아파트는 높은 분양가로 인해서 기존의 학동 사람들을 수용할 수 없게 되었다. 국가와 자본이 개입된 공간의 자본화가 현재의 학동 사람들을 새로운 배제와 소외의 상황으로 몰아가고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Hak dong in Gwangju Metropolitan - City, which was designated as ‘Hakgangjeong Rehabilitation Distri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tarted as a residential area of the urban poo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ak-dong's multiple placeness in the oral life stories of the Hak-dong people who migrated to Gwangju after leaving Japan in the latter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 the period of 1960s and 1980s. Hak-dong is a vicinity space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up of the Japanese colonial city Gwangju. Thus, Hak-dong became a space that embraces the ethnic discrimination and contradictions of the colonial economy. After the liberation and in the period of industrial modernization, war refugees who came from foreign countries, people who migrated from rural areas began to live in Hak-dong. Hak-dong people were perceived as being other people in Gwangju, and were subject to social exclusion in distorted eyes and rumors. Nevertheless, the people of Hak-dong tried to solve their own deficiencies by forming their own social network, and in this process they had various experiences such as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deficiency relief. In this process, Hak-dong was laminated by subjects with multiple placeness, and the Hak-dong people came to have their own topophilia. At present, a new apartment complex has been built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poor housing environment of Hak-dong. However, due to the high housing price, apartments cannot accommodate the existing Hak-dong people. The capitaliza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state and capital are involved is driving the current Hak-dong people into a new exclusion and alienation situation.

Ⅰ. 서론
Ⅱ. 식민 지배의 흔적과 이주의 계기들
Ⅲ. 정착의 고착과 시선의 포획
Ⅳ. 탈출과 회귀의 장소, 균열된 토포필리아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