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47.87
3.133.147.87
close menu
KCI 등재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와 반성성 - 「온에어」를 중심으로 -
Meta Television Drama and Reflexivity - Focusing on On air -
주현식 ( Ju Hyunshik )
UCI I410-ECN-0102-2021-800-000479552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의 메타언어란 텔레비전 세계 자체를 설명하기 위해 TV 드라마 텍스트에 사용된 반성적 장치들을 일컫는다.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텔레비전 드라마라 할 수 있는 「온에어」는 자신이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임을 명시적으로 표방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논의는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로서 「온에어」의 미학적 성과와 의의를 가늠하려 시작된다.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반성적 장치가 드러내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인공성과 그로 인한 서사적 불연속성을 실제 인물의 카메오 출현, 상호텍스트성 그리고 극중극 등 인물, 대사, 구조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의 의미 생산은 또한 의미 수용의 양상과 깊이 연루된다. 그래서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의 허구적 세계의 생산이 어떻게 실제 경험 세계에서의 시청자의 수용과 긴밀히 연결되면서도 복합적 양상을 띠게 되는지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고찰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생산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는 「온에어」의 세계는 허구일지라도 허구를 넘어 허구와 실제를 횡단한다. 「온에어」의 내용이 텔레비전 드라마 자신의 구성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동시에 그 관심은 시청자를 끌어들이면서 텔레비전 드라마 자기 자신의 외부를 지향하게 된다. 시청자가 「온에어」의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 현실을 실제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 현실과 얼마든지 관련지을 수 있는 까닭에서다. 텍스트의 패러독스란 바로 이점을 지칭한다. 그러나 시청자가 극중 세계에 밀착하거나 동일화되는 양상만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온에어」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어떻게 생산되는 지를 다루고 있지만 한편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텍스트 생산 과정에 대한 비평적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텍스트 제작 현실의 관행이 「온에어」에서 비판될 때 시청자는 극중 세계 외부로 물러나 생소화 효과를 경험하면서 이성적 사유를 거듭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청자는 극중 세계 내부에 있다가 외부로 물러나오는 식의 궤적을 반복한다. 시청자의 패러독스는 이점을 가리킨다.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 「온에어」에서 시청자는 공동생산자로서 작가이자, 텔레비전을 보는 시청자이며, 동시에 극중 세계에서 제기된 텔레비전 산업 현실의 문제를 고찰하는 비평가로서의 위상 등을 점하는 것으로 다변화되는 셈이다.

The meta-language in the meta-television drama refers to reflexive devices used in the TV drama text to describe a television world itself. On Air which can be called a television drama on a television drama may be asserted as a meta-television drama. This paper begins with a discussion trying to reveal the aesthetic significance and limits of On Air as a meta television drama. The first section raises issues around narrative discontinuity and artificiality suggested from reflexive devices in the meta television drama such as cameo appearances, intertextuality and drama on drama. The production of meta-television text's meaning is also deeply involved in the acceptance of meta-television text's meaning. The second section thereby examines how components of fictional universe in the meta television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udience's acceptance in the real world and develop a critical claim for thinking about their complex relationship. Although the story of On Air deals with fictional universe related to television drama production, it even goes beyond the fiction and crosses the border between the fictional and the actual world. The more contents of On Air is tilted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ir own TV shows, the more it is attracting viewers external to the TV drama. Because it reminds viewers that fictional narrative of the television drama production of On Air is associated with the actual reality of a television drama production. The paradox of text refers to this point. However, the viewers do not only come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fictional world. As a meta-television drama, On Air deals with how to produce a television drama. Moreover, it critically comments about a television drama production process. When the existing conventions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are criticised in On Air, viewers are set outside the fictional world, perceive the fictional world as defamilized, and do rational thinking about the prior norms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Viewers generate move-trajectory comprised of a series of random steps outside-inside the fictional world. The paradox of viewers refers to this point. In the meta-television drama On Air, viewers are television readers, writer as co-producer and, at the same time, critics to intensely grip the issues of television industry.

1. 서론
2.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텔레비전 드라마 : 인공성과 불연속성 드러내기
3. 허구와 실제 사이에서 : 텍스트의 패러독스, 시청자의 패러독스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