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대략적 수 민감도(approximate number sense)란 수량에 대하여 대략적인 비교와 덧셈 등의 기본적인 조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선행 연구들은 수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해 두 개의 점 집합의 수량을 비교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보고한 수 민감도 수치에는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는데 이는 수량 과제 비교의 형식의 차이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수 민감도 측정에 더 적절한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수량 비교 과제는 서로 다른 색깔의 두 점 집합이 서로 섞여서 제시되는 혼재형(intermixed) 형식과 두 점 집합이 나란히 제시되는 병렬형(side-by-side) 형식이었다. 혼재형 수량 비교 과제는 각 색깔 집합의 수량을 추정할 때, 억제 조절 능력, 선택적 주의 및 시공간 작업 기억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수량 변별 외에 추가적인 인지 처리를 요구하는 과제는 수량 비교 수행의 개인차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구성 타당도의 저하), 수량 변별 능력이 마땅히 예측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도 저조할 가능성이 있다(예측 타당도의 저하).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따른 수 민감도 측정치의 차이를 관찰하고 수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혼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통한 수 민감도는 병렬 형식에서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며, 선행 연구에서 예측한 수 민감도 발달 추이를 고려할 때 지나치게 과소 추정된 값이었다. 나아가 두 가지 제시 형식에 의해 측정된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는데, 혼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통해 산출된 수 민감도는 수학 성취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예측 타당도 역시 낮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수 민감도 측정 시 혼재 형식보다 병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사용하는 것이 구성 타당도와 예측 타당도가 더 높다고 판단된다.

키워드

대략적 수 민감도(수 민감도), 수량 비교 과제, 억제 조절, 수학 성취도

참고문헌(35)open

  1. [단행본] Dehaene, S. / 2011 / The number sense : How the mind creates / OUP USA

  2. [학술지] Dehaene, S. / 2001 / Precis of the number sense / Mind & Language 16 (1) : 16 ~ 36

  3. [학술지] Dehaene, S. / 2004 / Arithmetic and the brain /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14 (2) : 218 ~ 224

  4. [단행본] Brannon, E. M. / 2010 / Behavioral signatures of numerical cognition. Primate Neuroeth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 144 ~ 159

  5. [학술지] Brannon, E. M. / 1998 / Ordering of the numerosities 1 to 9 by monkeys / Science 282 (5389) : 746 ~ 749

  6. [학술지] Izard, V. / 2009 / Newborn infants perceive abstract numbers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25) : 10382 ~ 10385

  7. [학술지] Jordan, K. / 2005 / Monkeys match the number of voices they hear to the number of faces they see / Current Biology 15 (11) : 1034 ~ 1038

  8. [학술지] Pica, P. / 2004 / Exact and approximate arithmetic in an Amazonian indigene group / Science 306 (5695) : 499 ~ 503

  9. [학술지] Xu, F. / 2000 / Large number discrimination in 6-month-old infants / Cognition 74 : B1 ~ B11

  10. [학술지] Libertus, M. E. / 2010 / Stable individual differences in number discrimination in infancy / Developmental science 13 (6) : 900 ~ 906

  11. [학술지] Halberda, J. / 2008 / Developmental change in the acuity of the"number sense" : The approximate number system in 3-, 4-, 5-, and 6-year-olds and adults / Developmental psychology 44 (5) : 1457

  12. [학술지] Halberda, J. / 2012 / Number sense across the lifespan as revealed by a massive Internet-based sampl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 (28) : 11116 ~ 11120

  13. [단행본] Goldstein, E. B. / 2010 / Sensation and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4. [학술지] Halberda, J. / 2008 / Individual differences in non-verbal number acuity correlate with maths achievement / Nature 455 (7213) : 665 ~ 668

  15. [학술지] Lourenco, S. F. / 2012 / Nonsymbolic number and cumulative area representations contribute shared and unique variance to symbolic math competenc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 (46) : 18737 ~ 18742

  16. [학술지] Libertus, M. E. / 2013 / Is approximate number precision a stable predictor of math ability? /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 : 126 ~ 133

  17. [학술지] Halberda, J. / 2006 / Multiple spatially overlapping sets can be enumerated in parallel / Psychological Science 17 (7) : 572 ~ 576

  18. [학술지] Libertus, M. E. / 2012 / Intuitive sense of number correlates with math scores on college-entrance examination / Acta Psychologica 141 : 373 ~ 379

  19. [학술지] Libertus, M. E. / 2011 / Preschool acuity of the approximate number system correlates with school math ability / Developmental science 14 (6) : 1292 ~ 1300

  20. [학술지] Inglis, M. / 2011 / Non-verbal number acuity correlates with symbolic mathematics achievement : But only in children /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8 (6) : 1222 ~ 1229

  21. [학술지] Ansari, D. / 2007 / Linking visual attention and number processing in the brain : The role of the temporo-parietal junction in small and large symbolic and nonsymbolic number comparison /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9 (11) : 1845 ~ 1853

  22. [학술지] Price, G. R. / 2012 / Nonsymbolic numerical magnitude comparison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fferent task variants and outcome meas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rithmetic achievement in adults / Acta psychologica 140 (1) : 50 ~ 57

  23. [단행본] Baddeley, A. D. / 1986 / Working memory / Oxford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Gilmore, C. / 2013 / Individual Differences in Inhibitory Control, Not Non-Verbal Number Acuity, Correlate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 PloS one 8 (6) : e67374

  25. [학술지] Fuhs, M. W. / 2013 / ANS acuity and mathematics ability in preschoolers from low‐income homes : contributions of inhibitory control / Developmental science 16 (1) : 136 ~ 148

  26. [학술지] Cantlon, J. F. / 2009 / Beyond the number domain /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3 (2) : 83 ~ 91

  27. [학술지] van Dijck, J. P. / 2011 / A working memory account for spatial-numerical associations / Cognition 119 (1) : 114 ~ 119

  28. [학술지] Tosto, M. G. / 2014 / Why do we differ in number sense? Evidence from a genetically sensitive investigation / Intelligence 43 : 35 ~ 46

  29. [학술지] Ansari, D. / 2007 / Linking visual attention and number processing in the brain : The role of the temporo-parietal junction in small and large symbolic and nonsymbolic number comparison /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9 (11) : 1845 ~ 1853

  30. [단행본] 성태재 / 1995 / 타당도와 신뢰도 / 학지사

  31. [학술지] DeWind, N. K. / 2012 / Malleability of the approximate number system: effects of feedback and training /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6

  32. [학술지] Hurewitz, F. / 2006 / Sometimes area counts more than number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3 (51) : 19599 ~ 19604

  33. [학술지] Mazzocco, M. M. / 2011 / Impaired acuity of the approximate number system underlies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y(dyscalculia) / Child development 82 (4) : 1224 ~ 1237

  34. [학술지] Piazza, M. / 2010 / Developmental trajectory of number acuity reveals a severe impairment in developmental dyscalculia / Cognition 116 (1) : 33 ~ 41

  35. [학술지] Leibovich, T. / 2013 / Comparing performance in discrete and continuous comparison tasks /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7 (5) : 899 ~ 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