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문화산업이 발달하면서 문학작품이 다양한 콘텐츠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어떠한 콘텐츠든지 감상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태로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상호작용 콘텐츠는 실상 감상자의 행위를 제약하기에 효과적으로 제작되지 못한다면 감상자들과 유리되기 쉽다. 우리나라에서 문학의 상호작용 콘텐츠는 주로 테마파크나 전시관의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느낌과 체험보다 앎을 우선시하여 감상자들을 구경꾼으로 전락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감상자의 실존적 상황에 부합하는 콘텐츠 기획이 필요하다. 그에 대해 박경리의 <토지>를 예로 들어 논한다. 말하기 양식인 <토지>는 그동안 TV 드라마, 만화 등의 보여주기 양식과 문학관, 문학공원 등의 상호작용 양식으로 각색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장편 역사소설 <토지>는 감상자의 세대, 지역 등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가령, 간도에 <토지> 문학관이나 문학공원을 만든다면 하동의 ‘박경리 문학관’이나 원주의 ‘<토지> 문학공원’과 기획을 달리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무엇보다 간도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상황에 부합해야 할 것이다. <토지>의 2부부터 전개되는 간도에서의 이야기는 평사리 주민들이 간도로 이주해서 정착, 귀향하는 서사와 독립운동가들이 일제와 투쟁하며 방랑하는 서사로 구성된다. 그것을 조선족의 역사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조선족 형성서사이자, 선조들의 항일 희생서사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상자들의 실존적 상황에 따라 서사의 초점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문학작품의 상호작용 콘텐츠를 기획할 때 그에 맞는 작품의 재해석은 성공적인 콘텐츠 제작의 열쇠가 될 것이다.

키워드

토지, 상호작용 콘텐츠, 각색, 감상자의 실존, 간도, 이주서사, 방랑서사, 조선족 형성서사, 항일 희생서사

참고문헌(15)open

  1. [단행본] 박경리 / 2012 / 토지(5-20) / 마로니에북스

  2. [단행본] 김희경 / 2016 / 테마 공간의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 / 커뮤니케이션북스

  3. [단행본] 박영희 / 2016 / 우리가 지켜내야 할 민족교육의 새 이름 두만강 중학교 / 작은숲

  4. [학술지] 박지선 / 2007 / 프랑스 테마파크 콘텐츠 현황과 기획의 스토리텔링 체계 / 한국프랑스학논집 59 : 245 ~ 266

  5. [단행본] 설용수 / 2004 / 재중동포 조선족 이야기 / 미래문화사

  6. [단행본] 성병오 / 2015 / 중국 속의 이방인—연변을 들여다보다 / 도어즈

  7. [단행본] 연변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 2002 / 중국 조선족 역사‧문화 산책 / 한림대학교 출판부

  8. [단행본] 유현준 / 2015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을유문화사

  9. [단행본] 임계순 / 2004 /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 현암사

  10. [단행본] 최혜실 / 2008 /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 / 글누림

  11. [학술지] 태지호 / 2009 / 테마파크의 ‘가상성’을 통한 관객성에 관한 연구 / 인문콘텐츠 (14) : 207 ~ 228

  12. [단행본] 토지학회 / 2015 / 토지와 공간 / 마로니에북스

  13. [단행본] 한주 / 2017 / 조선족 재발견 / 유아이북스

  14. [단행본] 린다 허천 / 2017 / 각색 이론의 모든 것 / 앨피

  15. [단행본] 에드워드 렐프 / 2008 / 장소와 장소상실 / 논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