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국내외의 정책 딜레마적 상황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계된 다중적 딜레마(multi-layered policy dilemma)에 직면한 ‘상대적 약소국’ 한국은 외교정책의 딜레마적 위기 상황을 쉽게 극복하지 못한 채, 정책적 선호나 결정한 정책을 공개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다중적 딜레마 상황이 본질적으로 변화한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딜레마적 상황을 직접 해소하지 못하는 한국이 자신의 정책 선호를 공개하고 입장을 분명하게 밝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비난 회피 기재’의 확보 여부에 주목하였고, 한국이 THAAD 배치를 공개한 사례와 AIIB 가입을 발표한 사례를 선정하여 비난 회피 기재의 적실성 및 작동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한국은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강대국처럼 딜레마적 구조를 직접 해체하거나 타개하지는 못하지만, ‘비난 회피 기재’를 확보하게 될 때 선택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거나 ‘핑곗거리’로 활용하면서 국내외로부터 발생하는 비난을 회피하거나, 정치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논리를 전개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이 다중적 딜레마로 인해 유보하고 있던 외교정책의 공표를 위하여 ‘비난 회피 기재’를 활용하였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분석적 유용성을 얻을 수 있었다.

‘A relatively weak state’ in the ‘multi-layered policy dilemma’ that constitutes the significantly complex situation of intertwini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dilemmas cannot easily decide or even declare its foreign policy. In general, the question is whether or not a relatively weak state can overcome the multi-layered policy dilemma. A weak state, however, is unlikely to dismantle the structure of a multi-layered policy dilemma, but great powers can. This paper examines how the weak state can operate within a multi-layered policy dilemma in order to reveal its foreign policy decisions and policy preferences. Here, a ‘criticism-evasion’ can be crucial to the foreign policy declaration of the weak state. A criticism-evasion, however, is not easy to obtain; it depends on the occurrenc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hanges, which are unrelated to the cause of the multi-layered policy dilemma. This paper stresses that the top decision-maker of the weak state can reveal the preferred foreign policy by avoiding political blame if he or she obtains the criticism-evasion in the multi-layered policy dilemma. Specifically, a criticism-evasion can play a role in emphasizing an ‘ineluctability’ or being an ‘excuse’ for foreign policy declarations. The case studie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THAAD deployment and its AIIB joining can shed light on whether the government can sidestep external and internal political blame through the criticism-evasion. Therefore, this series of analyses can contribute to extracting the comparably clear-cut implication that the weak state’s foreign policy declaration focuses on evading criticism in a multi-layered policy dilemma.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외교정책결정의 다중적 딜레마와 약소국의 정책선택 및 공개의 한계
Ⅲ. 한반도 내 THAAD 시스템 배치와 한국외교정책의 다중적 딜레마
Ⅳ. 중국 주도의 AIIB 설립과 참여 요구에 대한 한국외교정책의 다중적 딜레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40-000324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