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반의 관계 동사 교수 방안 연구 - 관계 반의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Antonymy Verb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Relative Antonym-

우리말글
약어 : 우리말글
2017 vol.75, pp.201 - 227
DOI : 10.18628/urimal.75..201712.201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우리말글학회
160 회 열람

이 연구는 반의 관계에 있는 동사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의어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상보 반의어, 등급 반의어, 관계 반의어로 나뉜다. 그 중에서 관계 반의어는 다시 역의 관계, 역행 관계, 대척 관계, 대응 관계로 나누고 있는데, 그 중에서 역의, 역행 관계의 반의어가 사용된 문장은 동사의 의미뿐만 아니라 통사적 구조의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를 보이는 유형을 반의 관계에 있는 동사가 문장에서 쓰일 때 조사가 교체되는 경우, 조사는 교체되지 않으면서 그 논항자리에 오는 명사의 의미 부류가 다른 경우, 논항의 수가 다른 경우로 구별하였다. 이러한 관계의 동사들을 한국어 교재나 한국어 사전의 예문에서 찾아 본 결과, 문장에서 꼭 필요한 논항을 생략하거나 수식어와 같은 부가어를 필요 이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제시어의 의미와 문형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제시된 세 가지 유형에 대한 실제적인 한국어 교수 방안과 기계적 연습에서 자유로운 작문 연습으로의 단계적 활동을 교사용 지침서와 수업자료를 통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수 방안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는 반의어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문형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al plan of antonymous relation verbs. Types of antonyms are generally divided into complementary antonyms, gradable antonyms, and relational antonyms. The relational antonyms are again divided into reciprocal relations, regressive relations, relative relations, and correspondence relations. The sentences containing reciprocal and regressive relational antonyms have shown the changes in meanings but also in the syntactic structures. I have classified the sentences containing the antonymous relation verb into 3 types; one is using a replaced particle, another is with the same particle but using a noun from a different semantic class, and the other is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arguments. After looking up these verbs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dictionaries, I found out that they often omitted the essential argument in sentences or sometimes suggested adjuncts like modifiers more than necessary. As a result, student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se verbs and the related sentence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udents with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sentence patterns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tonyms by presenting practical teaching methods of this type and step - by - step activities from mechanical practice to free writing practice.

반의 관계, 관계 반의어, 역행 관계, 역의 관계, 조사, 교체, 의미 부류, 논항
antonymy, relative antonym, reverse, converse, particles, alternation, semantic classes, argument

  • 1. [단행본] 구본관 / 2015 / 한국어 문법 총론 Ⅰ / 집문당
  • 2. [단행본] 국립국어원 / 1999 / 표준국어대사전 / 두산동아
  • 3. [학술지] 김미령 / 2004 / 격교체 양상에 따른 동사 분류에 대한 연구 -‘-에/를’ 교체 동사의 특성과 분류를 중심으로- / 한국어학 (25) : 161 ~ 25 kci
  • 4. [학술지] 김진해 / 2007 / <표준국어대사전>의 관련어 정보와 어휘관계 기반 사전 기술 / 한국어 의미학 / 24 : 23 ~ kci
  • 5. [학술지] 김현권 / 2003 / 동사 항목과 의미 기술 / 국어사전학 / 2 : 221 ~
  • 6. [학술지] 남승호 / 2003 /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교체 / 어학연구 / 39 (1) : 111 ~ 1
  • 7. [단행본] 배주채 / 2014 / 한국어의 어휘와 사전 / 태학사
  • 8. [단행본] 연세대학교 / 1998 / 연세한국어사전 / 두산동아
  • 9. [단행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 2015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 연습 –초·중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 10. [학술지] 유현경 / 2012 / <연세 한국어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비교 연구 ―언어사전으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 한글 (295) : 35 ~ 295 kci
  • 11. [단행본] 유현경 / 2009 /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 역락
  • 12. [학술지] 유현경 / 2003 / 국어 사전과 ‘사전 문법’ / 한국사전학 / 1 : 89 ~
  • 13. [단행본] 윤평현 / 2013 / 국어의미론 강의 / 역락
  • 14. [단행본] 이광호 / 2004 / 국어 어휘 의미론 / 월인
  • 15. [학위논문] 이우승 / 200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위한 어휘 교육 방안
  • 16. [학위논문] 이유경 / 2011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의 의미 교육 방안 : 동사를 중심으로
  • 17. [학술지] 이희자 / 2006 / 국어사전의 ‘관련어’ 연구 / 한국사전학 / 7 : 161 ~
  • 18. [학술대회] 임형재 / 2012 / 한국어 학습사전의 미시구조와 풀이말 구성의 실제 /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59 ~
  • 19. [단행본] 전수태 / 1990 / 반의어사전 / 한신문화사
  • 20. [학술지] 전수태 / 1995 / 반의어의 사전 처리에 대하여 / 한남어문학 / 20 : 225 ~
  • 21. [단행본] 전수태 / 1997 / 국어 반의어의 의미 구조 / 박이정
  • 22. [단행본] 한국어세계화재단 / 2006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 신원프라임
  • 23. [학위논문] 정혜경 / 2011 / 효율적인 한국어 어휘 확장 교육 방안 연구 : 희비표현 감정형용사의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 24. [단행본] 홍종선 / 2009 / 국어사전학 개론 / 제이앤씨
  • 25. [단행본] M. Lynne Murphy / 2008 / 의미관계와 어휘사전 : 반의관계, 동의관계, 기타 계열들 /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