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開化期의 몇몇 西洋人과 한국어음운론

Korean Phonology by several Westerners at the Period of Enlightenment

우리말글
약어 : 우리말글
2014 vol.62, pp.101 - 125
DOI : 10.18628/urimal.62..201409.101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우리말글학회
135 회 열람

본고에서는 개화기 서양인들의 관찰 속에 드러난 한국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음운목록 및 그 음가는 현대국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모음의 음가를 면밀하게 검토해 본 결과 ‘외, 위’의 음성 실현은 단순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음운배열과 관련된 특징으로 3가지를 검토한다. ㉮ 음절말의 ‘ㅅ’은 ‘ㄷ’으로 발음되지만 또다른 ‘ㅅ’이 후행하면 ‘ㄷ’이 아닌 ‘ㅅ’으로 발음된다. ㉯ 음절말의 ‘ㄹ’은 후행음절이 ‘ㅎ’으로 시작할 때 ‘r’로 실현된다. ㉰ 음절말 자음군으로 ‘ㄺ, ㄼ, (ㄻ)’이 가능하다. 특징적인 음운과정으로 ‘움라우트, j계 상승이중모음의 변화’을 검토한다. 먼저 움라우트형이 ‘Vi’로 표기된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및 움라우트의 성격 규정과 관련해서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 다음으로 j계 상승이중모음은 변자음 뒤에서는 단모음으로 축약되며 ‘ㅅ, ㅈ’ 뒤에서는 탈락하는 변화가 꽤 활발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Korean phonological features revealed by several westerners' observations at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respect to phonological inventory and phonetic values of phonemes, Korean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Current Korean are much alike. Phonotactic features are as follows; ⓐ Syllable-final consonant 'ㅅ(s)' has, generally, the sound of 't', but it becomes 's' before another 's'. ⓑ ‘ㄹ(l)’ has the sound of [r] when between a vowel and the ‘ㅎ(h)’. ⓒ As finals, double consonants are possible: lk, lp, and (lm). As characteristic phonological process, there are 'umlaut' and 'change of j-type rising-diphthongs'.

개화기, 서양인, 음운목록, 음가, 음운배열, 음운과정
Period of Enlightenment, westerner, phonological inventory, phonetic value, phonotactics, phonological process

  • 1. [단행본] 高永根 / 1976 / 韓國語文論叢(又村姜馥樹博士回甲紀念論文集) / 螢雪出版社 : 21 ~
  • 2. [단행본] 高永根 / 1977 / 歷代文法大系 23 / 塔出版社
  • 3. [단행본] 高永根 / 1983 / 歷代文法大系 08 / 塔出版社
  • 4. [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 2003 / 표준 발음 실태 조사Ⅱ
  • 5. [단행본] 金敏洙 / 1977 / 歷代文法大系 11 / 塔出版社
  • 6. [단행본] 김성근 / 1995 / 조선어 어음론 연구 / 사회과학출판사
  • 7. [단행본] 金完鎭 / 1971 /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 一潮閣
  • 8. [학술지] 김현 / 2011 / 경음화의 발생: 비어두 무성무기음의 음소적 인식 / 國語學 (62) : 107 ~ 62 kci
  • 9. [학술지] 김세환 / 2005 / 청송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 국어연구 / 180
  • 10. [단행본] 梅田博之 / 1983 / 韓國語의 音聲學的 硏究 / 螢雪出版社
  • 11. [학술지] 문승재 / 1997 / 국어의 ‘ㅅ’ 음가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 / 말소리 / 33 : 11 ~
  • 12. [학술지] 백두현 / 1997 / 19세기 국어의 音韻史的 고찰-母音論 / 韓國文化 / 20 : 1 ~
  • 13. [단행본] 柳洪烈 / 1962 / 高宗治下西學受難의 硏究 / 乙酉文化社
  • 14. [학술지] 이경희 / 1999 / 한국어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의 음향적 특성 / 한국어학 / 10 : 47 ~
  • 15. [단행본] 李基文 / 1961 / 國語史槪說 / 民衆書館
  • 16. [단행본] 李崇寧 / 2011 / 心岳李崇寧全集 13(語學史Ⅰ) / 한국학술정보(주) : 527 ~
  • 17. [단행본] 이현복 / 2002 / 한국어 표준발음사전 / 서울대학교출판부
  • 18. [단행본] 이호영 / 1996 / 국어음성학 / 태학사
  • 19. [단행본] 이희승 / 1959 / 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綴字法 統一案 講義) / 신구문화사
  • 20. [단행본] 전광현 / 1997 /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근대 국어) / 국립국어연구원 : 7 ~
  • 21. [단행본] 정승철 / 1999 /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개화기 국어) / 국립국어연구원 : 7 ~
  • 22. [학술지] 鄭寅承 / 1937 / “ㅣ”의 逆行同化 問題 그 原理와 處理方法 / 한글 / 5 (1) : 1 ~ 1
  • 23. [학술지] 정인호 / 2010 / 中世語 ‘ㅆ, ㆅ’에 대한 考察 / 진단학보 (110) : 241 ~ 110 kci
  • 24. [학술지] 鄭熙俊 / 1938 / 에카르트와 한글 / 한글 / 6 (8) : 6 ~ 8
  • 25. [단행본] 趙聖祉 / 1968 / 英語音聲學 / 新雅社
  • 26. [단행본] 崔明玉 / 1982 / 月城地域語의 音韻論 / 嶺南大學校出版部
  • 27. [단행본] 崔銓承 / 1986 / 19세기 후기 全羅方言의 음운현상과 그 역사성 / 翰信文化社
  • 28. [학술지] 한성우 / 2005 / 『普通學校 朝鮮語讀本』 音聲資料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 어문연구(語文硏究) / 33 (3) : 29 ~ 3 kci
  • 29. [단행본] 홍승오 / 1989 / 불어음성학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30. [단행본] 前間恭作 / 1977 / 韓語通 / 塔出版社 : 32
  • 31. [단행본] Catford, J. C. / 1977 / Fundamental Problems in Phonetics / Indiana University Press
  • 32. [단행본] Eckardt, P. A. / 1977 / Koreanische Konversations-Grammatik mit Lesestücken und Gesprächen / 塔出版社 : 23
  • 33. [단행본] Jones, D. / 1918 / An Outline of English Phonetics / W. Heffer & Sons Ltd
  • 34. [단행본] Ramstedt, G. J. / 1979 / A Korean Grammar / 塔出版社 : 18
  • 35. [단행본] Ridel, Félix-Clair / 1977 / Grammaire Coréenne / 塔出版社 : 19
  • 36. [단행본] Ross, J. / 1979 / Corean Primer / 塔出版社 : 2
  • 37. [단행본] Roth, P. L. / 1979 / Grammatik der Koreanischen Sprache / 塔出版社 : 25
  • 38. [단행본] Scott, J. / 1983 / English-Corean Dictionary / 塔出版社 : 10
  • 39. [단행본] Underwood, H.G. / 1977 / 韓英文法 / 塔出版社 : 11
  • 40. [단행본] Underwood, H. H. / 1977 / 鮮英文法 / 塔出版社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