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풍류로 행해졌던 공연예술 중 주요한 예술형식인 청가묘무淸歌妙舞, 풍악風樂, 풍월風月에 내재한 선가仙家 지향의 가치관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가란 신선사상을 말한다. 중국의 위진시대에 풍류라는 용어가 통용될 때, 풍류는 현학玄學의 영향을 받았었고, 현학은 도가사상을 중심으로 신선사상을 일부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의 풍류에도 선가 지향이 있는데, 교의적, 종교적 측면이 강했던 신라의 풍류가 고려, 조선에 이르면, 현실사회에 구애받지 않고 신선의 삶을 지향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선가적 지향을 조선후기 풍류에서 행해진 청가묘무, 풍악, 풍월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청가묘무는 풍류놀음 중 훌륭한 노래와 춤에 대한 관용적 표현으로, 맑은 노래와 묘한 춤을 뜻한다. 맑고 높은 소리가 길게 퍼져나가고 여운을 남기는 소리를 청가淸歌라 했고, 동작이 가볍고 비상飛上하는 듯한 춤을 묘무妙舞라 했다. 이러한 가무가 선가 지향을 표현하고 있다. 풍악은 풍류에서 연주하는 악을 말한다. 궁중악이나 제의에서는 악樂이라 하였지만, 풍악이란 풍風을 붙여 분방함을 표방한 음악이다. 그리고 풍악 소리의 느낌을 낭자(浪籍)하다고 했다. 낭자는 왁자지껄하고 시끄러운 것으로, 규칙이 없고 제멋대로인 것이다. 즉 풍악은 질서를 벗어나고자 했던 선가적 특성을 보여준다. 풍월은 시조나 가곡을 말하는데, 율조에 맞춰 시를 읊는 것이다. 원래 풍월은 자연풍광을 뜻하는 것이었으나, 자연을 바라보며 느낀 감상과 소회를 시로 표현하고 노래한 것이니 풍월의 내용들에서 이미 현세초월이나 선가 지향을 알 수 있다.

키워드

풍류(風流, pungryu), 선가(仙家, seonga), 청가묘무(淸歌妙舞, cheonggamyomu), 풍악(風樂, pungak), 풍월(風月, pungwol)

참고문헌(27)open

  1. [단행본] 中文大辭典編纂委員會 / 1962 / 中文大辭典 9冊 / 中國文化硏究所

  2. [기타] / 道德經

  3. [기타] / 史記

  4. [기타] / 三國史記

  5. [기타] / 靑丘永言

  6. [기타] / 抱朴子

  7. [기타] / 漢書

  8. [학위논문] 權斗煥 / 1985 / 朝鮮後期 時調歌壇 硏究

  9. [단행본] 민족문화추진회 / 2008 / 국역연행록선집 / 민족문화추진회

  10. [단행본] 류재건 / 2008 / 里鄕見聞錄 卷6 / 문학동네

  11. [단행본] 신광수 / 1999 / 石北集 9卷 / 민족문화추진회

  12. [단행본] 신은경 / 1999 /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 보고사

  13. [단행본] 안민영 / 2003 / 金玉叢部 / 박이정

  14. [단행본] 양 인리우 / 1999 / 중국고대음악사 / 솔출판사

  15. [단행본] / 1960 / 연행록선집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6. [학술지] 오태석 / 2001 / 위진남북조 문예사조론 / 중국어문학 (38)

  17. [단행본] 이능화 / 1992 / 朝鮮解語花史 / 동문선

  18. [단행본] 장사훈 / 1977 / 한국전통무용연구 / 일지사

  19. [단행본] 조경아 / 2002 / 조선후기 문집의 음악사료 / 민속원

  20. [단행본] 정재서 / 2005 / 불사의 신화와 사상 / 민음사

  21. [단행본] 정현석 / 2002 / 敎坊歌謠 / 보고사

  22. [학술지] 조석래 / 1987 / 於于柳夢寅의 문학에 나타난 神仙思想 / 도교와 한국사상

  23. [단행본] 조재삼 / 2008 / 교감 국역 松南雜識 10권 / 소명출판

  24. [단행본] 최정동 / 2005 / 연암 박지원과 열하를 가다 / 푸른역사

  25. [단행본] 허경진 / 2007 / 녹파잡기 / 김영사

  26. [단행본] 한흥섭 / 2003 /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 책세상

  27. [단행본] 許愼 / 1973 / 說文解字注 / 藝文印書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