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4.76.51
3.134.76.51
close menu
KCI 우수
공적이전소득에 따른 사적이전소득의 변화: 기초노령연금 및 기초연금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ublic transfers on private transfers to the elderly: Evidence from the Basic Pension in South Korea
금종예 ( Kum Jong-ye ) , 금현섭 ( Kum Hyunsub )
UCI I410-ECN-0102-2021-300-001150120

본 연구는 자녀 중심의 노후소득 보장이 일반적이었던 우리나라에 공적 노후소득 보장 제도인 기초연금이 도입되면서 자녀로부터의 사적이전소득이 감소하는지, 감소한다면 그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기초연금 수급 여부가 아닌 실제 수급액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2006-2014년 사이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고정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노인가구와 일부 하위집단에서 기초연금 수급에 따라 자녀로부터의 사적이전소득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이전소득 의존도가 낮은 청년 동거 가구에서 기초연금 수급액의 약 35%, 중산층 가구에서 기초연금 수급액의 약 41%에 해당하는 사적이전이 구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초연금이 노인가구의 기존 소득을 부가적으로 보충하지 못하고 사적이전소득을 감소시킴에 따라 정책이 의도한 수준의 소득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d to what extent, public transfers to the elderly crowd out private transfers from children in South Korea, where there is a long tradition of children taking primary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elderly parents. We focus on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the Basic Pension, which is paid to the bottom 70% of people aged 65 or older in terms of income without individual contribution.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data spanning 2006-2014, we conduct fixed effect analyses that account for the endogeneity between each income source and unobservable household characteristics. We find some evidence of crowding-out of private transfers in the total sample and subgroups by income level and living arrangement. Specifically, each won of the Basic Pension leads to a 0.35 won decrease in private transfers from children for the elderly living with adult children or other relatives aged 19-64, and a 0.41 won decrease in private transfers for the elderly of the middle income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despite enormous government spending on the Basic Pension, the amount of income growth of elderly recipients may b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policy intended, because pre-existing private transfers are accordingly reduced.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