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Study on the Self Care of Music Therapist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예술치료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0권 제2호 통권 제35권 (2020.11)바로가기
  • 페이지
    pp.43-64
  • 저자
    주향기, 소혜진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84003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car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usic therapists currently active in the field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s. As a result, music therapists‘ self-care experiences derived three domains and 26 categories. The emerged domains include: a) self-care motivation; b) personal self-care experience; c) professional self-care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music therapists underwent self-knowledge and self-acceptance through self-care experiences, which allowed them to experience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growth. In addition, music therapists who engaged in self-care felt that they grew to understand their clients better and was found to promote client-centered intervention. Therefore, music therapists’ self-care has value as a developmental task for the growth of a music therapist, both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music therapist’s self-care experiences and raised the importance of it.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self-care strategies and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임상에서 3년 이상, 현재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면담자 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은 ‘자기 돌봄의 동기’, ‘개인적 자기 돌봄 경험’, ‘전문적 자기 돌봄 경험’의 3개 영역과 26가지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음악치료사들은 자기 돌봄을 통하여 자기성찰을 하고 자신을 이해 및 수용하여 주체적 삶의 태도와 타인과 의 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며 개인적인 성장을 하였다. 또 음악치료사의 개인적 성장은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켜 내담자 중심 개입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은 음악치료사의 성장을 위한 발달과업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을 고찰하고, 자기 돌봄 의 중요성을 제고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자기 돌봄 전략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
2. 연구 참여자
3. 윤리적 고려
4. 연구 동기
5. 연구자, 평정자, 감수자
6. 자료수집 및 연구절차
Ⅲ. 연구결과
1. 자기 돌봄의 동기
2. 개인적 자기 돌봄 경험
3. 전문적 자기 돌봄 경험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주향기 [ Hyangki Joo | 익산시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팀원 ]
  • 소혜진 [ Hyejin So | 전주대학교 예술심리치료학과 조교수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예술치료학회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 설립연도
    2001
  • 분야
    사회과학>심리과학
  • 소개
    예술치료학에 관한 연구활동과 학술적인 지식의 향상 및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권익을 보호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국예술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Arts Therapy]
  • 간기
    연3회
  • pISSN
    1738-8805
  • 수록기간
    2001~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512 DDC 61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20권 제2호 통권 제35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