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訥齋 朴祥(1474-1530)은 높은 수준의 문학적 성취로 인해 후인들에게 호남시단의 祖宗으로 칭송을 받는 인물이다. 訥齋가 남긴 賦작품은 모두 12편이고, 내용과 형식 모두 다양하다. 訥齋는 녹록치 않았던 그의 삶 속에서 형성된 개인의 心懷를 다양한 체제의 賦작품 속에 오롯이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訥齋의 賦작품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은 그의 정신지향과 문학세계를 온전히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한 축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작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가 어떤 서술방식으로 작품 속에 형성되는지에 주목하여 訥齋의 賦작품이 지니는 문학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訥齋 朴祥의 心懷가 문학 작품 속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究明하는 데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賦가 지닌 문학성을 개별 작품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訥齋가 賦작품 속에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주요하게 사용하고 있는 서술방식은 抒情的 표현, 敍事的 구조, 議論的 전개, 寓言의 運用 등이다. 그리고 한 작품에 한 가지 방식만을 활용하기 보다는 이 네 가지 요소를 혼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일수록 한 작품 내에 서로 다른 요소들이 조화롭게 안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訥齋의 賦작품은 다양한 서술방식을 조화롭게 활용하여 시대를 불문하고 다른 문인들의 賦 작품들보다 작품의 성취도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인다. 이것은 訥齋가 지닌 뛰어난 문학적 역량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訥齋 賦작품이 15-16세기 賦문학 전개과정에서 지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15-16세기에 창작된 賦작품들은 訥齋의 작품처럼 형식과 내용 모두 다양하다. 특히 주제의 측면에서 현실모순에 대한 고발과 풍자, 지배층 내부의 대립과 갈등으로 인한 개인의 慷慨⋅鬱憤 등의 정조, 일상에서의 哀悼의 情恨, 道家的 超越과 遊仙의 追求 등 이전 시기보다 훨씬 다채로운 양상을 띤다. 訥齋 賦작품은 그가 생존했던 시기의 이러한 賦 창작경향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訥齋 賦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검토는 그러한 창작경향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訥齋 朴祥, 賦문학, 서술방식, 抒情的 표현, 敍事的 구조, 議論的 전개, 寓言의 運用

참고문헌(19)open

  1. [단행본] 朴祥 / 訥齋集, In 韓國文集叢刊 18 / 民族文化推進會

  2. [단행본] 司馬遷 / 屈原賈生列傳 / 史記

  3. [단행본] 李濟臣 / 淸江先生詩話 / 淸江先生鯸鯖瑣語

  4. [단행본] 許筠 / 惺叟詩話, In 惺所覆瓿稿 / 民族文化推進會

  5. [기타] / 弘齋全書

  6. [학술지] 김동하 / 2010 / 訥齋 朴祥의 賦 硏究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26) : 81 ~ 110

  7. [보고서] 金銀洙 / 1993 / 訥齋 賦文學의 硏究, 訥齋 朴祥의 文學과 義理 精神

  8. [단행본] 김정녀 / 2005 / 조선후기 몽유록의 구도와 전개 / 보고사

  9. [학술지] 김진경 / 2006 / 韓國 辭賦에 나타나는 悲哀의 情緖 / 동방한문학 30 (30) : 341 ~ 370

  10. [단행본] 박은숙 / 2004 / 16세기 호남한시 연구 / 월인

  11. [학술지] 신태영 / 2007 / 訥齋 朴祥의 賦 硏究 ­- 유가적 충의와 장자적 초탈 / 온지논총 (17) : 205 ~ 236

  12. [학술지] 安秉卨 / 1984 / 先秦寓言의 特質 / 語文學 3

  13. [학위논문] 梁承敏 / 1996 / 寓言의 서술방식과 소통적 의미

  14. [단행본] 윤승준 / 1999 / 動物寓言의 傳統과 寓話小說 / 月印

  15. [학술지] 尹柱弼 / 1987 / 楚辭收容의 문학적 전개와 비판적 역사의식 / 한국한문학연구 9

  16. [단행본] 尹柱弼 / 2004 / 동아시아 우언론과 한국의 우언문학 / 집문당

  17. [단행본] 尹海玉 / 1997 / 朝鮮時代 寓言 寓話小說 硏究 / 박이정

  18. [단행본] 陳蒲淸 / 1994 / 중국의 우언문학사 / 소나무

  19. [단행본] 陳必祥 / 1995 / 한문문체론 / 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