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本考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1464∼1498)과 그를 모셨던 충청도 목천(木川)에 있었던 도동서원(道東書院)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에 있다. 나아가, 천안(天安)의 발전을 위해 본받아야 할 위인으로서 선비정신의 표상이 되는 탁영의 모습을 재조명하고, 나아가 이제는 흔적만이 남아 있는 도동서원이 복원되어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전통적 도의(道義)교육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15세기 후반 조선의 정치사회는 낡고 병든 보수적 정치세력인 勳舊派를 청산하고 새로운 도덕과 사회질서의 확립을 요구하는 변혁의 시기였다. 이 같은 현실에서 탁영은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士林의 도덕관으로 새로운 정치사회의 질서구현을 위한 선봉자적 역할을 자임하였다. 그는 당대 최고의 인재였다. 유교적 家風 속에서 김종직의 학맥을 계승하였으며, 의리(義理)와 명분(名分)을 강조하는 역사의식의 소유자로 성장하였고, 또 벼슬길에 들어서서는 10여 년간 언관직(言官職)과 시종직(侍從職)을 두루 거치면서 정치 전반에 걸쳐 높은 안목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또한 정치의 요체를 안민(安民)에 두고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추구한 선비로서 항상 민중의 입장에서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그는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하여 국가의 정기를 회복하고 중흥(中興)의 길로 나아가기를 염원하였다. 비록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지만, 짧은 생애 속에서 남긴 탁영의 행적은 시대의 고민과 저항의식을 상징하는 것이 되었으며, 그가 남긴 탁영금(濯纓琴)은 선비의 풍류를 상징하는 보물을 대표하고 있고, 참혹한 변고를 겪고 남아 있는 아주 적은 유저(遺著)만으로도 높은 문학적 평가를 받고 있다. 도동서원은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목천(木川)에 건립된 서원이다. 「탁영연보(濯纓年譜)」에 의하면, 탁영은 24세 되던 성종 18년(1487) 4월에 첫 번째 부인 우(禹)씨를 잃고, 2년 후인 성종 20년(1489) 7월에 호서(湖西) 목천에서 김미손(金尾孫)의 따님 예안 김씨를 두 번째 부인으로 맞이하였는데, 이로부터 인연이 되어 목천(지금의 천안)에 연고를 두게 되었으며, 성종 23년(1492) 작성산(鵲城山) 계곡에 있던 작은 별서(別墅) 인근에 죽림정사(竹林精舍)를 지었다고 한다. 다른 기록에 의하면 이곳에 서원이 서게 된 것은 한강 정구(鄭逑, 1543-1620)가 만년에 강사를 세우려고 터를 닦다가 ‘죽림(竹林)’이라는 석각(石刻)을 발견하고, ‘죽림정사(竹林精舍)’를 지은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처음부터 주자(朱子)를 제향하는 사우를 함께 세웠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차례로 탁영 김일손과 한강 정구를 배향하였으며, 인조 기축년에 이 지역 출신의 후천 황종해(黃宗海, 1579-1642)를 배향하였다. 현재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과 병천면에 걸쳐 있는 은석산의 남동쪽 계곡에는 도동서원(道東書院)이 있었던 서원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처음에는 ‘개목’으로 불렸는데 인조 때 도동서원이 들어선 후 서원리가 됐다가 병천리에 편입되어 현재는 마을 이름으로만 남아 있다.

키워드

탁영 김일손, 무오사화, 도동서원, 죽림정사, 한강 정구, 후천 황종해

참고문헌(18)open

  1. [기타] / 濯纓集

  2. [기타] / 濯纓年譜

  3. [기타] / 朝鮮王朝實錄

  4. [단행본] / 1998 / 탁영 김일손의 문학과 사상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5. [학위논문] 權敬烈 / 1997 / 金馹孫 散文 연구

  6. [학술지] 權敬烈 / 2005 / 탁영 김일손의 문학과 정치적 역할 / 南冥學硏究 (20) : 201 ~ 231

  7. [학술지] 김영숙 / 1997 / 탁영 김일손 詞의 문학적 성격 / 한국한문학연구 20

  8. [학술지] 김윤곤 / 2006 / 탁영 김일손의 현실의식과 그 대응 / 조선사연구 15

  9. [단행본] 김인숙 / 2009 / 조선 4대 사화 / 느낌이 있는 책

  10. [학술지] 문범두 / 2007 / 濯纓 金馹孫의 <續頭流錄>攷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51) : 429 ~ 466

  11. [학술지] 신태영 / 2008 / 濯纓 金馹孫의 不屈의 삶과 賦 / 漢文學報 18 (1) : 281 ~ 306

  12. [학술지] 윤호준 / 1999 / 탁영 김일손의 관처사 묘지명에 대하여 / 남명학연구 9

  13. [학술지] 이구의 / 2009 / 탁영 김일손의 부에 나타난 정신세계1 / 동방사상과 문화 3

  14. [학술지] 이구의 / 2009 / 濯纓 金馹孫의 賦에 나타난 정신세계(Ⅱ) ― 그의 「遊月宮賦」, 「疾風知勁草賦」 「聚星亭賦」를 중심으로 ― / 한국사상과 문화 (48) : 31 ~ 62

  15. [학위논문] 鄭景柱 / 1991 / 成宗朝 新進士類의 時政批判과 그 文學世界

  16. [학술지] 조문주 / 1998 / 탁영 김일손의 기문에 대한 일고찰 / 한문학 논문집 16

  17. [단행본] 한국인물사연구원 / 2010 / 핏빛 조선 4대사화 첫 번째 무오사화 / 도서출판 타오름

  18. [기타] / 이종범의 사림열전, 김일손 당신의 죽음은 하늘의 시샘이었다 / 프레시안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