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17-18세기 지방유생의 과거응시 여건에 대한 재론: 『과거등록(科擧謄錄)』의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사학연구
약어 : History of Education
2013 vol.23, no.1, pp.85 - 114
DOI : 10.18105/hisedu.2013.23.1.004
발행기관 : 교육사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교육사학회
209 회 열람

본 연구는 ‘별시는 예고 없이 실시되기 때문에 지방유생에게 불리하였다’는 기존의 통설이 타당한지 검토하였다. 이러한 통설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는 비정규 과거시험은 자의적으로 실시가 결정되고, 공지기간도 촉박하였으며, 지방유생을 배제하려고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주장을 검토하기 위하여 『과거등록』의 기사를 중심으로 시험 실시의 결정 과정, 시험의 공지, 조정의 여러 가지 조치 등을 확인하였다. 자료들을 통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는 비정규시험이 자의적으로 실시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시험의 실시 사유와 실시 사유에 따른 시험의 규모는 어느 정도 관례적으로 정해져 있어 유생들이 시험 실시에 대한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했다. 선행연구에서는 시험의 공지기간이 매우 짧았다고 주장하지만, 여러 시험의 예에서 볼 때 시험의 공지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지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조정에서는 지방유생들이 시험에 응시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다양한 조치를 취하였다. 그러므로 당시 지방유생들이 서울에서 응시하는 것이 여러모로 불편할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불합리한 제도로 인해 불이익을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本論文的目的在于再論以前的成說:別試(非正規科擧考試)是突然擧辨的,所以對地方儒生有所不利。以前的硏究主張了非正規科擧有任意的實行決定、緊迫的考試公告、排除地方儒生等問題。爲了檢査這种成說以『科擧謄彔』內容爲中心証實考試的決定過程、考試的公告其間、政府采取的各种措施等。 通過檢査一些資料我們可以細究以下的內容。雖然成說主張了′非正規科擧考試是任意地實行′,但是考試的實行理由和按照實行理由的考試种類有一定的常規,所以地方儒生門能預計是否實行考試、考試的种類等。雖然成說主張了′非正規科擧考試的公告時間很緊迫′,但是這篇論文証實了公告時間比較充分。而且当時朝鮮政府采取了各种各樣的措施,以對地方儒生應試上有所幇助。總而言之当時地方儒生在考試應試上有所不便,但是不可以主張’不合理的制度引起了地方儒生的損失。

과거(科擧), 별시(別試), 『과거등록(科擧謄錄)』, 『조하등록(朝賀謄錄)』, 지방유생

  • 1. [단행본] / 科擧謄錄
  • 2. [단행본] / 承政院日記
  • 3. [단행본] / 朝鮮王朝實錄
  • 4. [단행본] / 朝賀謄錄
  • 5. [학술지] 김경용 / 2004 / 조선시대 과거제도 시행의 법규와 실제 / 교육법학연구 / 16 (2) : 1 ~ 2 kci
  • 6. [학술지] 박현순 / 2009 / 17세기 과거 응시자 증가 현상에 대한 고찰 / 사학연구 (93) : 89 ~ 93 kci
  • 7. [학술지] 박현순 / 2012 / 조선후기 文科에 나타난 京鄕 간의 불균형 문제 검토 / 한국문화 (58) : 3 ~ 58 kci
  • 8. [단행본] 송준호 / 1981 / 과거제도를 통해 본 중국과 한국, In 과거 –역사학대회 주제토론- / 일조각
  • 9. [단행본] 이성무 / 1994 / 한국의 과거제도 / 집문당
  • 10. [학술지] 이원재 / 1998 / 조선 전기 별시 연구 / 연세교육연구 / 11 (1)
  • 11. [단행본] 이원재 / 2001 / 과거공부를 알아야 우리 교육이 보인다 / 문음사
  • 12. [단행본] 정구선 / 2010 / 조선의 출셋길, 장원급제 / 팬덤북스
  • 13. [단행본] 차미희 / 1999 / 조선시대 문과제도연구 / 국학자료원
  • 14. [학술지] 차미희 / 2006 / 과거 길 / 역사비평 (75) : 213 ~ 75 kci
  • 15. [단행본] 한영우 / 2013 / 과거, 출세의 사다리 : 족보를 통해 본 조선 문과급제자의 신분이동 (태조~선조 대) / 지식산업사
  • 16. [단행본] 한춘순 / 2003 / 세조~성종대 과거에 관한 일 고찰, In 조선시대 과거와 벼슬 / 집문당 : 109 ~
  • 17. [인터넷자료]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
  • 18. [인터넷자료] / 서울신문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