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중국 Wei Hai 지역 유치원교사의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생각과 실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pective and practice of childhood art 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wei hai area, China

유아교육연구
약어 : -
2019 vol.39, no.4, pp.213 - 239
DOI : 10.18023/kjece.2019.39.4.009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유아교육학회
49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중국 유치원교사의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생각과 실천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유아예술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이해하고, 중국유아예술교육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Wei Hai시에 근무 중인교사 8명으로 반구조적 면담연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을 코딩하고 범주화를 통해, 주제를 도출하고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의 경력이 상관없이 유아예술교육의 필요성을 모두 깊이 인식하고 있었으나 예술 및 예술교육의 의미에 대해 교사들의 예술적 소양에 따라 서로 다른 생각을 보이기도 하였다. 둘째, 유아예술교육의 실제 모습은 유치원교육과정으로서의 예술교육, 기념일과 축하공연으로의 예술교육, 특색 혹은 특기교육으로의 예술교육으로 실행되고 있었다. 교사들은 이와 같은 자신들의 유아예술교육 실행방식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으며, 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바램으로 예술적 환경 및 정책적 지원, 학부모의 열려있는 마음자세와 긍정지원, 유기적인 직무교육 필요,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천의 협력, 예술적 소양 증진을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을 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의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실태를 직시하여 상상력이 풍부한 유아의 천성을 존중하고, 예술교육의 주 참여자로 교사가 예술적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환경적 제도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value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listening to the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perspective and practice,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 Chinese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depth interview study was conducted with eight teachers working in Wei Hai city. The collected data was coded and categorized, drawing the subject and interpreting the meaning.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ed for ar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e participants appeared divided into two branches depending on their artistic aptitude for art and art education. Second, art education was carried out as following: art education as a kindergarten education course, art education as a anniversary and celebration performance, and art education as a characteristic 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ten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roviding performing ar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y cited their own efforts to provide artistic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open-mindedness and positive support for parents, organic job training needs, cooperation in theory and practice of prospective teachers’ curricula, and enhancing artistic aptitude. This study proposed that an urgent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tus of young children’s art education in China. Young children’s imaginative nature needs to be respected, and teachers should be allowed to cultivate artistic sophistication as the main participants of art education.

유아예술교육, 중국유아교육, 미적체험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hinese early childhood education, aesthetic experience

  • 1. [학술지] 구분옥 / 2007 / 니체의 미학과 ‘삶’중심의 예술교육론 / 초등교육연구 / 20 (2) : 1 ~ 2 kci
  • 2. [학술지] 김기표 / 2016 / 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 / 평화학논총 / 6 (2) : 62 ~ 2
  • 3. [단행본] 김영천 / 2012 / 질적연구방법론Ⅰ / 아카데미프레스
  • 4. [단행본] 김이산 / 2004 / 똑똑한 그림책 / 현암사
  • 5. [학술지] 김진엽 / 1999 / 미술교육과 미학 / 美學(미학) (27) : 63 ~ 27 kci
  • 6. [학위논문] 김희진 / 2017 / 유아교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
  • 7. [학위논문] 권윤지 / 2012 / 유아 미술교육에서의 물감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8. [학술지] 박낙규 / 2002 / 대학 예술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II) -미래적 모형의 제시 / 美學(미학) (32) : 523 ~ 32 kci
  • 9. [학술지] 박낙규 / 2000 / 대학 예술 교육의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Ⅰ) / 예술문화연구 / 10 (1) : 299 ~ 1
  • 10. [학술지] 박주원 / 2017 /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과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8 (1) : 360 ~ 1 kci
  • 11. [학술지] 박향원 / 2012 / 심미적 유아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유아교육연구 / 32 (5) : 495 ~ 5 kci
  • 12. [학술지] 서현석 / 2015 /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방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5 (10) : 283 ~ 10 kci
  • 13. [학술지] 심숙영 / 2015 /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11 (4) : 109 ~ 4 kci
  • 14. [학술지] 양은주 / 2007 /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기초한 ‘예술적 교사’ 이해-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 교육철학연구 (40) : 109 ~ 40 kci
  • 15. [학술지] 양혜련 / 2011 /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8 (1) : 327 ~ 1 kci
  • 16. [학술지] 윤선진 / 2010 / 학부모 이해 : 소비자권력이 된 학부모 / 교육학논총 / 13 (1) : 19 ~ 1
  • 17. [단행본] 이경화 / 2018 / 유아교사론(유아교사-되기 운동) / 학지사
  • 18. [학술지] 이소현 / 2004 / 무용에서의 신체의 미적 체험 : 현상학적 이해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2 (1) : 359 ~ 1 kci
  • 19. [보고서] 이연선 / 2013 / 미래공교육 연구보고서 2013: 한국 공교육 미래방향 제안
  • 20. [학위논문] 이윤좌 / 2012 / 유아 동시 활동의 특징과 시적 표현의 의미 연구 : K유치원 열매반을 중심으로
  • 21. [학위논문] 이은교 / 2011 / 내러티브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 조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22. [학위논문] 이정금 / 2017 / 교사의 상상력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재구성 과정 연구
  • 23. [단행본] 이홍우 / 1984 / 교육의 목적 / 교육과학사
  • 24. [학술지] 임부연 / 2014 /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육아지원연구 / 9 (1) : 127 ~ 1 kci
  • 25. [학위논문] 왕일소 / 2015 / 중국상고신화(中國上古神話)와 유아예술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활성화방안 : 중국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26. [학술지] 장기범 / 2010 / 배경과 실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정체성 / 음악교육공학 (11) : 25 ~ 11 kci
  • 27. [학위논문] 전경미 / 2012 /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 28. [학위논문] 정예진 / 2013 / 예술교육측면에서 본 유아교사의 예술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 29. [학술지] 최소자 / 2000 / 한국과 중국의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연구 / 연구논문집 / 27 (2) : 427 ~ 2
  • 30. [단행본] 한명희 / 2002 / 교육의 미학적 탐구 / 집문당
  • 31. [학술지] 홍은주 / 2005 / 초등교사의 예술교육 지도방법과 개선방안 인식 / 예술교육연구 / 3 : 49 ~
  • 32. [단행본] Colbert, C. / 1997 /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ally approproate practice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33. [단행본] Davies, B. / 2017 / 어린이에게 귀기울이기-‘이기’와 ‘되기’ / 창지사
  • 34. [단행본] Eisner, E. W. / 2007 / 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 / 아카데미프레스
  • 35. [단행본] Facer, K. / 2011 / Learning futures: Education,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 Routledge
  • 36. [단행본] Greene, M. / 2011 / 블루 기타변주곡 / 다빈치
  • 37. [학술지] Hui, A. / 2014 /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enhancement in young children in Hong Kong / Educational Psychology / 1 (13)
  • 38. [단행본] Olsson. L, M. / 2017 /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운동 과 실험 / 살림터
  • 39. [단행본] Pacini-Ketchabaw, Kind / 2017 / Encounters with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Routledge
  • 40. [단행본] Sullivan, O. / 2006 / Art encounters Deleuze and Guattari / Palgrave Macmillan
  • 41. [단행본] Read, H. / 2007 / 예술을 통한 교육 / 학지사
  • 42. [학술지] 馬琰 / 2015 / 审美敎育:幼兒藝術敎育的核心理念 / 內江師範学院学报 / 3 (30) : 110 ~ 30
  • 43. [학위논문] 邓俊超 / 2004 / 生态学观照下的幼儿艺术教育理论研究
  • 44. [학술지] 李垣锦 / 2016 / 舞蹈教育对幼儿身心发展的作用分析 / 戏剧之家 / 12 : 226
  • 45. [학위논문] 李歡 / 2017 / 新中国幼儿园艺术教育价值取向的嬗变与反思(1949-2012)
  • 46. [학위논문] 李晶晶 / 2009 / 長沙市家長對幼兒實施家庭藝術敎育的現狀調査硏究
  • 47. [학술지] 刘晓娟 / 2010 / 基于审美的幼儿艺术 / 基于审美的幼儿艺术 / 23 (8) : 47 ~ 8
  • 48. [학위논문] 刘迎杰 / 2005 / 幼兒藝術敎育的生成問題硏究
  • 49. [학위논문] 柳志紅 / 2003 / 幼兒藝術敎育与科學敎育의融合硏究
  • 50. [학술지] 高丽萍 / 2015 / 幼儿艺术教育实践中"考级热"现象探讨——基于"本能的缪斯"视角 / 淄博师专学报 / 3 : 14 ~
  • 51. [학술지] 贡畅 / 2016 / 幼儿绘画教育中存在的问题与对策 / 长春教育学院学报 / 32 (2) : 60 ~ 2
  • 52. [학술지] 郭声健 / 2002 / 艺术教育中的异化问题 / 湖南师范大学科学学报 / 01
  • 53. [인터넷자료] 教育中国-中国网 / 严格教师资格准入制 守住幼教"持证上岗 底线
  • 54. [학술지] 屈玉霞 / 2006 / 山东省幼儿艺术教育现状分析 / 學前敎育硏究 / 2 : 69 ~
  • 55. [학술지] 王爱华 / 2018 / 农村幼儿艺术教育发展现状研究 / 农村经济与科技 / 29 (2) : 245
  • 56. [인터넷자료] 威海市人民政府 / 有问有答-询问教师资格证事项
  • 57. [학술지] 王一小 / 2016 / 中国上古神话与儿童艺术教育的契合性调查研究 / 枣庄学院学报 / 33 (6)
  • 58. [학술지] 王峥 / 2014 / 接受美学 : 幼儿艺术教育实施的新视角 / 學前敎育硏究 / 12 : 55 ~
  • 59. [단행본] 中國敎育部 / 2012 / 3-6歲 兒童學習与發展指南
  • 60. [학술지] 周媛 / 2015 / 游戏精神导向下的幼儿艺术教育探索 / 基础教育研究 / 16 : 85 ~
  • 61. [학술지] 陈艳蓉a / 2010 / 幼儿藝術敎育中的游戏及相互关系 / 吉林省教育学院学报 / 2 (26) : 49 ~ 26
  • 62. [학술지] 陈艳蓉b / 2010 / 游戏精神"视野中的幼儿艺术教育内容 / 今日科苑 : 227 ~
  • 63. [학술지] 沈雯 / 2003 / 走出幼儿艺术教育的誤區 / 厦門教育学院学报 / 5 (3) : 74 ~ 3
  • 64. [학술지] 孫媛 / 2017 / 幼儿艺术教育存在的问题及對策 / 産業与科技论坛 / 16 (20) :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