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漢文의 理解 - 漢文의 讀解’ 領域의內容 要素와 成就基準 分析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Reading Comprehension Section of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漢文敎育論集
약어 : 한문교육논집
2016 no.46, pp.93 - 121
DOI : 10.17963/ccek.2016..46.93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한문교육학회
127 회 열람

‘漢文의 讀解’는 ‘漢字와 語彙’와 함께 ‘漢文의 理解’ 領域의 核心 槪念으로 제시된 것이다. ‘漢文의 讀解’는 ‘일반화된 지식’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 ‘화자(話者)가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은 뜻이 있는 단위들이면서 읽을 때 음의 변화가 일어난다.’, ‘한문은 글의 내용과 형식에 유의하여 읽어야 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등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일반화된 지식’들의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 ‘漢文知識’ 領域의 ‘文章’과 ‘讀解’ 領域의 ‘읽기’, ‘理解’의 내용과 일정하게 조응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漢文의 理解’ 領域의 核心 槪念 ‘漢文의 讀解’의 범위가 2009 改定 敎育課程의 ‘讀解’ 領域보다도 더 넓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漢文의 讀解’는 그 범위가 2009 改定 敎育課程의 ‘讀解’ 領域의 中領域 ‘읽기’, ‘이해’를 모두 포함할 뿐만 아니라 거기에 더해 ‘漢文知識’ 領域의 中領域 ‘文章’까지도 아울러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이글은 먼저 2015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漢文의 理解’ 영역의 핵심 개념 ‘漢文의 讀解’의 內容 要素를 槪觀하고, 이어서 ‘漢文의 讀解’의 成就基準을 이전 교육과정 성취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Reading Comprehension of Classical Chinese is the main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long with Sino-Korean Character and Vocabulary. The curriculum suggests four statement as ‘general acknowledgement’ as follows: (1) There is a certain formula to combine factors which consist of a sentence; (2) There are various kinds of style to express one’s opinion and feeling; (3) Words, phrases and sentences are not only units of meaning but also variables that cause changes in pronunciation when spoken; (4)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ontents and style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Classical Chinese writings properly. Those statements correspond to Sentence of the section of Background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and Reading of the sec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of 2009 Revised Curriculum. It is obvious that Reading Comprehension of Classical Chinese in the section of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of 2015 Revised Curriculum has wider coverage than Reading Comprehension of 2009 Revised Curriculum does, since the former includes both of the latter’s Reading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Sentence in Background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To find this out, we’ll briefly review the contents of Reading Comprehension of Classical Chinese in the section of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of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nalysi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ection compared to the counterparts of previous curriculum.

漢文敎育, 敎育課程, 漢文科 敎育課程, 中學校 漢文, 高等學校 漢文, 核心 槪念, 成就基準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urriculum,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Main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 1.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정보, 환경 / 교육과학기술부
  • 2.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⑬ 한문 / 교육과학기술부
  • 3.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교육과학기술부
  • 4.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 5. [단행본] 교육부 / 1998 /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16]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6. [단행본] 교육부 / 2000 /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7. [기타] 교육부 / 2000 / 초․중․고등학교 국어과․한문과 교육과정 기준 / 교육부
  • 8. [단행본] 교육부 / 2001 /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3 한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9. [기타] 교육부 / 2015 /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 교육부
  • 10.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6 /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안 토론회 / 교육인적자원부
  • 11.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 12.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11. 한문」,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 1 ~
  • 13.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17] 한문 및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 14. [기타] 문교부 / 1988 / 문교부 고시 제87-7호(1987.3.31) 중학교 한문과 교육 과정 해설 / 문교부
  • 15. [보고서] 문영진 / 2006 / 중․고등학교 한문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 16. [기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11 / 2011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공청회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7. [기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15 / 2015 한문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를 위한 공개 토론회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8. [보고서] 장호성 / 2011 / 2011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 19. [보고서] 장호성 / 2015 / 한문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 20. [보고서] 장호성 /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Ⅰ
  • 21. [보고서] 장호성 /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 22. [학술지] 윤재민 / 2007 / 2007년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의 구체적 내용 분석 / 漢文敎育硏究 / 29 (1) : 7 ~ 1 kci
  • 23. [학술지] 윤재민 / 2008 / 2007년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의 읽기 영역 분석 / 漢字漢文敎育 / 1 (21) : 23 ~ 21 kci
  • 24. [학술지] 윤재민 / 2009 / 韓國 初ㆍ中ㆍ高等學校의 漢字ㆍ漢文 敎育 現況 / 漢文敎育硏究 (33) : 51 ~ 33 kci
  • 25. [학술지] 윤재민 / 2011 / 韓國의 漢文科 敎育課程 / 漢字漢文敎育 / 1 (26) : 219 ~ 26 kci
  • 26. [학술지] 윤재민 / 2011 / 漢文科 敎育에서의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 漢文敎育硏究 (36) : 5 ~ 36 kci
  • 27. [학술지] 윤재민 / 2012 / 韓國의 2011年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具體的 內容 分析 / 漢字漢文敎育 / 1 (28) : 397 ~ 28 kci
  • 28. [학술지] 윤재민 / 2012 /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제-‘이해 영역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제’를 포함하여- / 漢文敎育硏究 (39) : 5 ~ 39 kci
  • 29. [학술지] 윤재민 / 2012 / ‘理解’ 領域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內容 分析 / 漢字漢文敎育 / 1 (29) : 235 ~ 29 kci
  • 30. [학술대회] 한국한문교육학회 / 2016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년 동계학술대회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과 적용 방안 탐색”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주관, 한국한문교육학회 주최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년 동계학술대회논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