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A Study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Chinese Public Organizations : Focusing on the Appointment and Promotion Process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State Owned Enterprise Manager of P. R. China

인문사회과학연구
약어 :
2020 vol.63, no.3, pp.31 - 76
DOI : 10.17939/hushss.2020.63.3.002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용한 논문 수 :   -  
49 회 열람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operating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and Chinese public organizations have been their typic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recruitment schemes for long periods of time.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recruitment schemes of Chinese public organizations have been adop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CCP(Chinese Communist Party organization), public organizations, and SOEs(State Owned Enterprises) consistently and coherently. As China's economic and political influences over the world have been growing, the systematic research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would be of great value, since not onl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recruitment system of Chinese SOE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but also this system of Chines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could be understood more clearl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help us to understand how the cadres and senior managers are promoted and recruited.

중국 공공기관은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장기간 실시하였으며 특별한 인적자원 육성 및 선발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식 인적자원 육성 및 선발제도는 중국 정부, 당조직, 공공기관과 정부투자기업의 하부조직에서 최고위층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이며 일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간부를 선발하는 기준이 기술관료에서 도덕적 간부로 변화되고 있다. 중국에서 최근 정부의 기능이 변화되고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중국 각급기관에서는 당위원회가 지도하고 당위원회 조직부서와 정부인사부서가 간부를 선발하고 관리하고 있다. 향후에도 중국공산당은 핵심 간부의 선발, 임용 등 분야에서 공산당이 간부를 관리하는 원칙을 지켜나갈 것이다. 중국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중국 정부와 공공기관의 인력관리체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비단 중국 국유기업에 대한 연구의 차원이 아닌 중국 정부조직, 중국 당조직 및 중국 공공기관의 인력 육성 및 선발 체제를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가치와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중국 정부조직 및 중국 공공기관의 간부와 고위층 인사들은 어떻게 육성되고 선발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실무적 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China, Human Resources, Operation, Cadre, Public Organizations
중국, 인적자원, 운영, 간부, 공공조직

  • 1. [학술지] 이미숙 / 2011 / 일본어의 新語에 나타난 社會・文化的, 言語學的 특징 연구 -2005년∼2008년을 대상으로- / 일본연구 (48) : 223 ~ 48 kci
  • 2. [학술지] 李賢正 / 2014 / 日本語と韓国における新語の対照研究:混種語における外来要素を中心に / 広島大学大学院国際協力研究科: 広島大学学術情報リポジトリ : 11 ~
  • 3. [학술지] 大槻美智子 / 2003 / 語種と略語:補説 / 大谷女子大国文 / 33 : 77 ~
  • 4. [학술지] 玉村文郎 / 2002 / 日本語語彙の研究 / 国立国会図書館 / 31 : 102 ~
  • 5. [단행본] 米川名彦 / 1989 / 新語と流行語 / 南雲堂
  • 6. [학술지] 邓秀梅 / 2012 / 日语新语流行语的构词法(上) / 东北亚外语研究 / 11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