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동양극장>은 1930년대부터 1948년까지의 대중 극장과 연예인을 다룬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이 작품은 소재와 접근방식에서 2000년대 이전의 역사드라마와 변별된다. <동양극장>은 모던한 공간 속에서 활동하는 대중연예인의 일상을 낭만적으로 호출한다. 이 작품은 주목받지 못했던 대중연예인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공간, 직업관, 실제 사건, 인물의 견해를 선택과 집중을 통해 묘사하였다. 또한 <동양극장>은 대중연예계의 리얼리티 강조를 위해 극중극, 자막, 사진, 흑백영상, 내레이션과 같은 기법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들 시청각적인 테크놀로지는 객관성 획득을 위한 전략적 도구이지만, 사실을 미화하거나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동양극장>의 내용과 형식을 통해 확인되는 것은 대중연예계의 일상도 역사의 한 부분임을 인식시키려고 노력했다는 점이다. 이는 역사드라마의 지평을 넓히는 선도적인 시도였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과도한 목적성과 의미부여로 인해 스토리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지 못한 한계를 노출하였다. 또한 대중에게 그러한 노력이 인지되지 못했던 것은 접근방식의 낯설음 때문이었다. 하지만 <동양극장>은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에서 부각되지 않았던 개인의 일상과 사적인 영역들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을 시도한 작품이었으며, 이후 미시 일상을 다루는 기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키워드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동양극장, 1930년대, 대중 연예계의 기원, 미시적 일상, 카페(다방), 황철, 차홍녀

참고문헌(34)open

  1. [기타] 김종창 / 2001 / 동양극장-바람과 별의 노래 / KBS2, 28부

  2. [기타] / 1924 / 도시정책 / 동아일보

  3. [기타] / 1931 / 경성, 앞뒤골 풍경 / 혜성

  4. [기타] / 1936 / 끽다점 연애풍경 / 삼천리

  5. [기타] / 1937 /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 삼천리 제7권 10호

  6. [기타] / 1937 / 지명연극인들이 결성극단 중앙무대를 창립 / 동아일보

  7. [기타] 김성칠 / 1935 / 도시와 농촌과의 관계 7 / 동아일보

  8. [기타] 현민 / 1938 / 현대적 다방이란? / 조광

  9. [기타] 이봉구 / 1964 / 한국최초의 다방 - 카카듀에서 에리자까지 / 세대

  10. [기타] / 1971 / 서울 새 풍속도(100) 자동차시대(1) / 경향신문

  11. [기타] 이정근 / 2001 / 근대연극인들, 그 파란만장한 역정 / KBS 저널

  12. [단행본] 강옥희 / 2006 / 식민지 시대의 대중예술인 사전 / 소도

  13. [단행본] 고설봉 / 1990 / 증언연극사 / 보양

  14. [단행본] 김수진 / 2009 / 신여성, 근대의 과잉 / 소명출판

  15. [단행본] 김영무 / 1998 / 동양극장의 연극인들 / 동문선

  16. [단행본] 박진 / 1966 / 세세년년 / 경화출판사

  17. [단행본] 박천홍 / 2003 /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 / 산처럼

  18. [단행본] 소래섭 / 2011 /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 웅진지식하우스

  19. [단행본] 장유정 / 2008 / 다방과 카페, 모던보이의 아지트 / 살림

  20. [단행본] 주창윤 / 2005 / 텔레비전 드라마 장르․미학․해독 / 문경

  21. [단행본] 이상우 / 2012 /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 소명출판

  22. [단행본] 테사 모리스-스즈키 / 2006 / 우리안의 과거 / 휴머니스트

  23. [학술지] 강승엽 / 2001 / TV 다큐멘터리 영상물에 있어서 나레이션과 인터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4 (1)

  24. [학술지] 김남석 / 2012 / 동양극장의 극단 운영 체제와 공연 제작 방식 연구 - 1935년 11월 창립부터 1939년 극단 아랑 분화 직전까지 - / 한어문교육 26 : 325 ~ 352

  25. [학위논문] 김백영 / 2005 / 일제하 서울에서의 식민권력의 지배전략과 도시공간의 정치학

  26. [학술지] 문경연 / 2013 / 식민의 시대, 애도의 드라마 -<경성 스캔들>을 중심으로- / 한국극예술연구 (41) : 345 ~ 378

  27. [학술지] 박노현 / 2011 / 텔레비전 드라마와 스토리텔링 -미니시리즈 <다모>와 <추노>의 서사 전략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 (41) : 309 ~ 343

  28. [학술지] 박상완 / 2012 /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조선왕조 500년-풍란> 연구 / 한국언어문화 (48) : 39 ~ 69

  29. [학술지] 손유경 / 2002 / 1930년대 茶房과 ‘文士’의 자의식 / 한국현대문학연구 (12) : 93 ~ 124

  30. [학술지] 송효정 / 2009 / 모던 경성(京城)과 감각의 공간 / 한국문예비평연구 (29) : 293 ~ 320

  31. [학술지] 양근애 / 2008 / TV 드라마 <대장금>에 나타난 ‘가능성으로서의 역사’ 구현 방식 / 한국극예술연구 (28) : 309 ~ 343

  32. [학위논문] 엄국천 / 2000 / 배우 황철 연구

  33. [학술지] 윤석진 / 2012 /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의 장르 변화 양상 고찰 1 / 한국극예술연구 (38) : 301 ~ 323

  34. [학술지] 이다운 / 2013 / TV드라마와 내레이션 -2000년대 미니시리즈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극예술연구 (41) : 319 ~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