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우리 사회에는 ‘경선을 통한 상향식 공천 즉 공천 과정에서 ‘포괄성’과 ‘분권화’를 확대시키는 공천의 민주화가 정당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필요조건’이라는 믿음이 확산되어 있다. 이 글은 이 같은 믿음에 대한 의문, 즉 정당의 ‘상향식 공천제’가 과연사회 전체 민주주의 진전에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그리고 정당 공천 방식은우리 사회 전체의 민주주의가 진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하였다. 첫째, 정당 공천 방식의 유형화 기준에 관해 간단히 정리한다. 그리고 후보 공천 제도의 민주화가 민주주의의 핵심적 목표와 가치 실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다른 국가정당의 경험에 대한 기존의 실증적 연구들을 정리한다. 둘째, 2014년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이 운용한 공천 방식은 어떠한 유형이 있었는지를 정리했다. 셋째, 실제 양대정당의 상향식 경선 과정 결과와 쟁점들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실증적 자료와 언론 보도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후보 선정 방식 민주화는 경쟁성, 대표성, 참여라는 민주주의 가치 증진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점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정당 공천 제도 개선을 위해 어떠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간단히 논의하였다.

키워드

정당 공천 방식, 상향식 공천, 경선, 민주주의, 대표성

참고문헌(29)open

  1. [학술지] 강원택 / 2012 /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와 해결 방안: 당내 민주화와 국민참여경선을 중심으로 / 계간 민주 5

  2. [학술지] 김민정 / 2012 / 상향식 공천제와 여성의 대표성 / 아시아여성연구 51 (1) : 37 ~ 70

  3. [학술지] 김용호 / 2009 / 최근 대선 ․ 총선 ․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 선거관리 (55)

  4. [학술지] 길정아 / 2009 / 한국정당의 분권화 및 포괄성에 관한 비교연구: 제18대 총선의 후보자 공천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연구 18 (1) : 83 ~ 117

  5. [학술지] 박경미 / 2008 / 18대 총선의 공천과 정당조직: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을 중심으로 / 한국정당학회보 7 (2) : 41 ~ 64

  6. [학술지] 박경미 / 2012 / 여성할당제의 적용 요인 연구: 제19대 총선의 여성 지역구 후보의 정당 공천 / 의정연구 18 (3) : 73 ~ 103

  7. [학술지] 윤종빈 / 2012 / 19대 총선 후보 공천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쟁점: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을 중심으로 / 한국정당학회보 11 (2) : 5 ~ 37

  8. [단행본] 임채진 / 2014 / 이슈와 논점 / 국회입법조사처

  9. [학술지] 전용주 / 2010 / 한국 정당 후보 공천제도 개혁의 쟁점과 대안 / 현대정치연구 3 (1)

  10. [학술대회] 전용주 / 2014 / 정당공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한국정당학회 춘계학술회의 발표문

  11. [학술대회] 전용주 / 2014 / 2014년 지방선거의 제도적 쟁점과 개선방안: 공천문제를 중심으로 / 내나라연구소 학술회의 발표문

  12. [학술지] 조진만 / 2012 / 여론조사 공천의 이론적 쟁점과 기술적 과제, 그리고 정당의 선택 / 의정연구 18 (2) : 131 ~ 155

  13. [학술지] 조현옥 / 2010 / 한국 여성정치할당제 제도화 과정 10년의 역사적 고찰 / 동향과 전망 (79) : 110 ~ 139

  14. [학술지] 지병근 / 2010 / 후보선출권자의 개방과 분권화가 대안인가? / 현대정치연구 3 (2)

  15. [인터넷자료] Ashiagbor, Sefakor / Political Parties and Democracy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Selecting Candidates for Legislative Office / National Democratic Institute

  16. [학술지] Baldez, Lisa / 2003 / Primaries vs. Quotas: Gender and Candidate Nomination in Mexico, 2003 / Latin American Politics and Society 49 (3)

  17. [단행본] Dalton, Russell / 2002 / Parties without Partisans: Political Change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 Oxford University Press

  18. [단행본] Hazan, Reuven / 2010 / Democracy within Parties: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d Their Political Consequences / Oxford University Press

  19. [단행본] Herrson, Paul / 1997 / Passages to Power:Legislative Recruitment in Advanced Democraci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학술지] Hix, Simon / 2004 / Electoral Institutions and Legislative Behavior: Explaining Voting Defection in the European Parliament / World Politics 56 (2)

  21. [학술지] Holland, Martin / 1981 / The Selection of Parliamentary Candidates: Contemporary Developments and Their Impact on the European Elections / Parliamentary Affairs 34 (1)

  22. [단행본] Jones, Mark / 2008 / Pathway to Power: Political Recruitment and Candidate Selection in Latin America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3. [학술지] Kenig, Ofer / 2009 / Democratization of Party Leadership Election: Do Wider Selectorates Produce More Competitive Contests? / Eral Studies 28 (2) : 2

  24. [단행본] Kittilson, Miki Caul / 2006 / Challenging Parties, Changing Parliaments: Women and Elected Office in Contemporary Western Europe /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5. [단행본] Maisel, Sandy / 2001 / Congressional Primaries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 Rowman and Littlefield

  26. [학술지] Rahat, Gideon / 2001 /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 Analytical Framework / Party Politics 7 (3)

  27. [학술지] Rahat, Gideon / 2007 / The Personalizaton(s) of Politics: Israel 1949-2003 / Political Communications 24 (1) : 1

  28. [학술지] Rahat, Gideon / 2008 / Democracy and Political Parties: On the Easy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Competition and Representation / Party Politics 16 (6)

  29. [학술지] Scherlis, Gerardo / 2008 / Machine Politics and Democracy: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Argentine Party System / Government and Opposition 4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