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연구 - 예체능 과정 설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ticularization of High School Curricula - Focus on the installation of art or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to a ‘core’ school within school district -

교육방법연구
약어 : -
2009 vol.21, no.2, pp.119 - 141
DOI : 10.17927/tkjems.2009.21.2.119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방법학회
52 회 열람

본 연구는 일반계고 교육과정의 다양성과 효율성 제고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학생들의 요구가 많은 예체능 과정 설치를 통한 다양화와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를 통하여 내실 있는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에 모든 학생들이 원하는 과정을 개설해 줄 수 없는 현실을 고려하면 학교는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인근 학교와 교육과정 개설에서 역할분담하는 방향으로 그 교육과정은 특성화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예체능 과정 진학 학생들을 위해 지역내 특정 학교를 거점 학교로 정해 예체능 과정을 설치하고 학생들을 집중 배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러한 교육과정 특성화를 위해서는 교․강사의 배정과 학교 시설 여건 개선, 학생의 진로별 수용 등이 필요하나 단위학교의 역량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교육당국의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고교 졸업 후 대학이나 사회로 나가는 분야를 고려하여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계열, 과정, 교과, 과목을 잘 정비하고, 전문적으로 가르칠 교사를 수급하며, 학생을 전략적⋅계획적으로 수용하고, 시설과 설비를 갖추어 주는 일은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를 위한 필요조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enlarging the kinds of courses of academic high schools by installing the ‘core’ school with particularized curriculum such as arts or physical education course tracks as well as academic tracks. For last 60 years Korean general high school have operated two track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rack, and natural science track. Two traditional tracks did not meet the needs of students and society. Survey were administered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sking about the curricular needs of new tracks.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the simulation of allocating students and teachers, and install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urricular tracks was finished. About 30% of middle school graduates want to go to core high schools with particular track rather than traditional tracks.

일반계 고교 교육과정 특성화, 예체능 교육과정, 거점학교, 진로교육
particularized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 arts or physical education course tracks, core high schools, career education

  • 1. [보고서] 강영혜 / 2006 / 교과특기자 육성교 시범운영사업평가연구
  • 2. [보고서] 경기도교육청 / 2007 / 고교 교육과정 특성화교 운영보고서
  • 3.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수학 과학 중점학교 2012년까지 100개교 지원 계획 보도자료
  • 4. [기타]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 2007 / OECD 교육지표 /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 5. [학술지] 김경호 / 2004 / 인문계고등학교 예체능계열 과정의 학교간 연계교육을 위한 시설계획에 대한 연구 / 한국교육 / 31 (1) : 343 ~ 1 kci
  • 6. [기타] 박덕규 / 2002 / 학교군내 예ㆍ체능 특별 프로그램 편성ㆍ운영에 관한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 7. [학술지] 성열관 / 2004 / 마그넷 스쿨을 통한 교육과정 혁신 방안 고찰: 뉴욕 센트럴 파크이스트 중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발전연구 / 20 (1) : 89 ~ 1
  • 8. [단행본] 소경희 / 2000 /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9. [기타] 유지선 / 2007 / 스웨덴의 고교 17개 프로그램과 한국에의 시사점
  • 10. [기타] 이형민 / 2007 / 프랑스의 교육제도와 교육과정
  • 11. [학술지] 홍후조 / 2001 /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상의 이해와 오해 / 교육과정연구 / 19 (1) : 197 ~ 1
  • 12. [학술지] 홍후조 / 2002 /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특성화 방안 연구-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연구 / 20 (3) : 6 ~ 3 kci
  • 13. [학술지] 홍후조 / 2005 / 일반계 고교에서 상이선택 교육과정의 실현 방안 연구 / 교육과정연구 / 23 (4) : 175 ~ 4 kci
  • 14. [기타] 홍후조 외 / 2009 /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1차)
  • 15. [보고서] 홍후조 / 2008 / 새 교육과정 체제에서 일반계 고등학교 특성화 방안
  • 16. [학위논문] 황지현 / 2007 / 중학생의 고교 진학 후 학습 경향 조사 연구
  • 17. [단행본] Castle, F / 2006 / Specialist Schools-what do we know / Research and Information on State Education.
  • 18. [단행본] Jesson, D / 2005 / Educational outcomes and value added by specialist schools / Specialist Schools and Academies Trust
  • 19. [단행본] Powell, A. G / 1985 / The Shopping Mall High School: Winners and Losers in the Educational Marketplace / Houghton Mifflin
  • 20. [인터넷자료] Skolverket / http://www.skolverket.se / Upper Secondary School, The Swed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
  • 21. [단행본] Ulla,J / 2003 / Frame Factors, Structures, and Meaning Making in Shifting Foci of Curriculum research in Sweden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