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정규논문

고려 철화청자의 기원 :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철화청자와의 비교 연구

The Origin of the Korea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of the Changsha kiln and the Yue kiln

한국학연구
약어 : -
2013 no.45, pp.5 - 40
DOI : 10.17790/kors.2013..45.5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167 회 열람

본 논문은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로 나누어 각각의 기원과 고려 철화청자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고려철화청자의 기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 성과를 고찰하고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에 대한 현지답사와 자료 수집을 통해 시각적 특징과 기법 등에 대해 보다 면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장사요는 고려철화청자의 산화철 장식 기법과 장사요의 산화철 유하채 기법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고려철화청자의 제작 배경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 한반도로 유입된 장사요 자기를 모본으로 고려청자에 유하채 기법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았으나 생산 시기의 차이와 조형적 이질감 등으로 쉽게 결론을 내기는 어려웠다. 다음 월주요는 고려청자 발생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주목되지만 당송대 월주요에서 생산된 철채 청자의 수가 워낙 미량이어서 확실한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월주요 사룡구 요지에서 청자철화장고가 출토된 점과 소위 월주요계에 속하는 절강성의 온주(溫州) 구요(甌窯)나 강서(江西) 홍주요(洪州窯) 등이 모두 송원대까지 철화청자를 활발히 생산하였고 한반도에 유입되었을 가능성 또한 높은 점 등을 고려하여 고려 철화청자와 영향 관계가 있음을 유추하였다. 다음 서촌요는 철화문양이 12세기 고려 철화청자 문양과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기원에 관해 편년 차이가 심해 이를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호남성 일대 송대 백매요와 형산요, 영전요의 자기에 모두 서촌요식의 화훼문이 등장하였고 북방 요주요에도 유사한 문양이 보이므로 고려철화청자에 등장하는 문양이 서촌요가 아닌 이들 가마로부터 전래되어 다양한 채회 방식으로 구현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려철화청자의 발생은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 같은 중국 특정 요장과 고려청자 요장과의 일대 일의 단선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단계와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그 밖의 남방계 요장 등의 복합적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origin of the Korea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of the Changsha kiln and the Yue kiln, the Xichun kiln. For the research, I explored the previous study on this field and executed the field survey of the Chinese kilns and analysed the decoration methods 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at wares. Firstly, I supposed that Koryo potters made th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by modeling the ceramics of the imported Changsha kiln i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gap of production date and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Koryo celadons and Changsha wares made that assumption uncertain. Secondly, I investigated that the potters of Yue kiln which took a great affect on the production of Koryo celadon in the beginning, had made a few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during the Tang and Northern Sung Dynasty. Even so, celadon drum with iron painted decoration, similar to the Koryo celadon drum, was excavated in the Silongkou Yue kiln site. Thus I assumed that Yue kiln could be related to the origin of Koryo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Thirdly, I found that the floral motifs of series of Xicun kiln that were supposed to be affected by the Yaozhou kiln in Northern China had the common style with Koryo iron painted celadon of the 12th century. But some excavation in Korea showed that at least from the 10th century, Koryo iron painted celadon appeared, it is hardly to say that Xicun kiln should be the origin of Koryo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Finally, I concluded that Changsha kiln and Yue kiln including more Chinese kilns on various ways might be engaged in the making Korea iron painted celadon.

철화청자, 장사요, 월주요, 서촌요, 청자장고, 고려청자
철화청자(Celadon underglaze iron decoration), 장사요(Changsha kiln), 월주요(Yue kiln), 서촌요(Xicun kiln), 청자장고(Celadon drum), 고려청자(Koryo celadon)

  • 1. [단행본] 姜敬淑 / 1989 / 韓國陶磁史 / 一志社
  • 2. [단행본] 高裕燮 / 1977 / 高麗靑瓷 / 삼성문화재단
  • 3. [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2001 / 신라왕경발굴조사보고서Ⅰ(유물도판)
  • 4. [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2002 / 신라왕경발굴조사보고서Ⅰ(본문)
  • 5. [단행본] 국립대구박물관 / 2004 / 우리 문화 속의 중국도자기
  • 6. [보고서] 김재열 / 2003 / 龍仁西里高麗白磁窯 發掘調査報告書Ⅱ
  • 7. [학술지] 박지영 / 2008 / 고려시대 도자기장고 연구 : 완도해저 출토 청자장고를 중심으로 / 해양문화재 (1)
  • 8. [학위논문] 서유리 / 2008 / 고려 철화청자의 발생과 특징
  • 9. [학술지] 신준 / 2011 / 중국 장사요의 편년과 한국 출토 장사요 자기 연구 / 야외고고학 (12) : 95 ~ 12 kci
  • 10. [학술지] 윤용이 / 1997 / 고려 철화청자의 기원과 발전 / 大東文化硏究 / 32
  • 11. [단행본] 이종민 / 2007 / 고려 청자장고 연구, In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靜齋 金理那敎授 정년퇴임기념 미술사논문집- / 靜齋 金理那 敎授 정년퇴임기념 미술사논문집 간행위원회
  • 12. [학술지] 장남원 / 2006 / 高麗時代 鐵畵磁器의 成立과 展開 / 美術史論壇 / 18
  • 13. [단행본] 장남원 / 고려중기 청자 연구 / 혜안
  • 14. [학술지] 鄭良謨 / 1986 / 高麗靑磁의 硏究 / 考古美術 / 171ㆍ172
  • 15. [단행본] 鄭良謨 / 1989 / 高麗靑磁, In 高麗靑磁名品特別展 / 국립중앙박물관
  • 16. [단행본] 曺基正 / 1987 / 綠靑磁小考, In 無等陶窯 / 土炻陶磁文化硏究所
  • 17. [학위논문] 崔 健 / 1981 / 高麗鐵繪靑磁의 硏究
  • 18. [단행본] 최건 / 1996 / 鐵畵靑磁의 特徵과 展開, In 湖林博物館所藏品選集 Ⅲ / 호림박물관
  • 19. [단행본] 崔淳雨 / 1981 / 高麗陶磁의 編年, In 韓國의美4-靑磁 / 中央日報
  • 20. [학술지] 西田宏子 / 1981 / 高麗鐵繪靑磁에 대한 考察 - 鐵繪靑磁의 盤을 中心으로 / 美術資料 / 29
  • 21. [기타] 南卓 / 羯鼓錄
  • 22. [단행본] 廣東省博物馆 / 1982 / 廣東省西沙群岛北礁发现的古代陶瓷器——第二次文物调查简报续篇, In 文物资料總刊(6) / 文物出版社
  • 23. [단행본] 廣州市文物管理委員會 / 1987 / 廣州西村窯 / 香港中文大學中國考古藝術中心
  • 24. [학술지] 權奎山 / 2008 / 洪州窯瓷器流布初探 / 中國歷史文物 (03)
  • 25. [학술지] 張福康 / 1986 / 長沙窯彩瓷的研究 / 矽酸鹽學報 (03)
  • 26. [학술지] 謝明良 / 2002 / 記黑石號(Batu Hitam)沉船中的中國陶瓷器 / 美術史研究集刊 (13)
  • 27. [단행본] 葉喆民 / 2003 / 隋唐宋元陶瓷通論 / 紫禁城出版社
  • 28. [학술지] 王莉英 / 1978 / 故宮博物院藏唐黑釉藍斑花鼓和元藍釉描金匜 / 文物 (11)
  • 29. [단행본] 栗建安 / 2013 / 福建晉江磁灶窯の靑釉褐彩器, In 李秉昌博士祈念韓國陶磁硏究報告 /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 30. [학술지] 陸明華 / 2002 / 試述高溫銅紅釉彩的起源和發展—從長沙窯出土相關瓷器談起 / 上海博物館集刊 (9)
  • 31. [단행본] 陸明華 / 2003 / 長沙窯有關問題硏究, In 中國古陶瓷硏究 第九輯 / 紫金城出版社
  • 32. [학술지] 李剛 / 2006 / 中國古代外銷青瓷管窺 / 東方博物 (04)
  • 33. [단행본] 林士民 / 2007 / 越窯衰落原因的探索, In 2007中國ㆍ越窯高峰論壇論文集 / 文物出版社
  • 34. [학술지] 李輝柄 / 1950 / 河南魯山段店窯 / 文物 (05)
  • 35. [단행본] 慈溪市博物館 / 2002 / 上林湖越窯 / 科學出版社
  • 36. [단행본] 張浦生 / 2002 / 關於中國古代彩瓷研究的幾個問題, In 邛窯古陶瓷研究 / 中國科學技術大學出版社
  • 37. [단행본] 長沙窯課題組編 / 1996 / 長沙窯 / 紫禁城出版社
  • 38. [단행본] 長沙窯編輯委員會 / 2004 / 長沙窯綜述卷․作品卷壹․作品卷貳 / 湖南美術出版社
  • 39. [학술지] 張天琚 / 2006 / 關於銅紅釉瓷器起源問題的思考 / 東方博物 (4)
  • 40. [단행본] 浙江省文物管理委員會 / 2002 / 寺龍口越窯址 / 文物出版社
  • 41. [단행본] 浙江省博物館 / 2000 / 浙江紀年瓷 / 文物出版社
  • 42. [단행본] 周麗麗 / 2006 / 關於南京出土早期青釉釉下褐彩器幾個問題的思考, In 中國古陶瓷研究 第12輯 / 紫禁城出版社
  • 43. [학술지] 周世榮 / 1985 / 湖南古窯址調查之二-彩瓷 / 考古 (30)
  • 44. [학술지] 周世榮 / 1982 / 長沙唐墓出土瓷器研究 / 考古學報 (04)
  • 45. [학술지] 周世榮 / 1990 / 長沙古瓷窯的彩釉彩繪裝飾 / 考古 (06)
  • 46. [단행본] 周世榮 / 2003 / 湖南陶瓷, In 湖南古墓與古窯址 / 嶽麓書社
  • 47. [단행본] 周世榮 / 2003 / 湘陽白梅窯, In 中國古陶瓷研究 第九輯 / 紫禁城出版社
  • 48. [단행본] 周少華 / 2007 / 倫‘越窯與’越窯系, In 2007中國ㆍ越窯高峰論壇論文集 / 文物出版社
  • 49. [단행본] 朱鐵權 / 2010 / 廣州西村窯彩繪瓷無損分析檢測, In 光譜實驗室 第05期 / 科學出版社
  • 50. [학술지] 秦大樹 / 2001 / 論“窯系”概念的形成、意義及其局限性 / 文物 (05)
  • 51. [학술지] 陳堯成 / 1991 / 甌窯褐彩青瓷的初步研究 / 南方文物 (04)
  • 52. [단행본] 馮先銘 / 1987 / 從兩次調查長沙銅官窯所得到的幾點收獲, In 中國古陶瓷論文集 / 紫禁城出版社ㆍ兩木出版社
  • 53. [단행본] 馮素閣 / 2005 / 論西村窯與耀州窯靑瓷的裝飾藝術, In 中國耀州窯國際學術討論會文集 / 三秦出版社
  • 54. [단행본] 黄文宽 / 1958 / 廣州西村古窑遗址 / 文物出版社
  • 55. [단행본] 黃靜 / 2005 / 廣東宋代外銷瓷及其與耀州窯的關系, In 中國耀州窯國際學術討論會文集 / 三秦出版社
  • 56. [단행본] 野守健 / 1944 / 高麗靑磁の硏究 / 淸閑舍
  • 57. [단행본] 長谷部樂爾 / 1978 / 鐵繪靑磁ㆍ鐵彩手ㆍ鐵釉, In 世界陶磁全集 18高麗 / 小學館
  • 58. [단행본] 伊藤郁太郞 / 1997 / 高麗靑磁の鐵繪と鐵彩, In 高麗靑磁の鐵繪と鐵彩 朝鮮陶磁シリ-ズ-9 /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