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유인석의 『우주문답』에 담겨 있는 역학 이론을 분석하는 글이다. 『우주문답』에는 역학 이론이 많지 않지만 원회운세론, 원형이정, 박괘와 복괘, 「낙서」 이론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첫머리의 원회운세론과 결론 부분의 「낙서」이론은 이 책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우주문답』에 나타난 핵심사상은 ‘중화사상’과 ‘대일통사상’이다. 이 두 사상을 축으로 20세기 중화와 이적, 유학과 서학 등 문명충돌에 대한 이야기가 『우주문답』이다. 유인석은 중국과 조선이 쇠망하는 것을 보고 천지의 운세가 궁금해졌다. 지금이 소강절이 말하는 천지가 닫히는 때가 아닐까 하는 우려와 아닐 거라는 기대를 함께 가지고 원회운세론을 언급했다. 그는 천지시종의 기간 129,600년과 달리 세차운동 기간 26,000년을 언급하면서 조선의 운세를 말했고, 10,800년을 3등분하여 희망의 시간이 있음을 말했다. 이는 본인뿐만 아니라 전국의 의병대원들, 조선의 백성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려는 것이었다. 그는 『주역』 64괘에서 모든 것이 소멸되는 박괘 다음은 만물이 회복되는 복괘가 됨을 거론하여, 조선(小中華) 패망을 상징하는 박괘 다음은 중국 부활과 大中華를 상징하는 복괘가 되고, 그 복괘에서 소중화 조선도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과 함께 ‘중화사상’을 말했다. 또 하나 핵심사상인 ‘대일통사상’은 「낙서대연국도」를 통해 나타냈다. 「낙서대연국도」가 말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는 중국 중심의 세계통일이다. 이 사상을 나타내기 위해 11세기 송대 도서상수학에서 「낙서」를 가져왔고, 그것을 20세기 조선의 관점에서 업그레이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그림은 화서학파에 연원이 있다. 결국 「낙서대연국도」로 표상되는 ‘대일통사상’은 ‘중화사상’과 표리를 이루어 유인석뿐만 아니라 화서학파 전체의 정신적 표상이라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유인석은 원회운세로 희망을, 박괘와 복괘로 중화사상을, 「낙서대연국도」로 대일통사상과 중화사상을 말했다. 이처럼 유인석의 역학사상과 그의 핵심사상은 정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유인석의 20세기 ‘문명충돌론’은 오늘날 21세기에도 유효한 충돌 명제로 생각된다. 그러나 충돌공간이 지구촌 안과 밖으로 넓어지고, 충돌 내용도 ‘미래충돌’로 채워졌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유인석, 『우주문답』, 원회운세, 「낙서대연국도」, 대일통사상, 중화사상

참고문헌(39)open

  1. [기타] / 周易

  2. [기타] / 宇宙問答

  3. [기타] / 性理大全

  4. [기타] / 周易傳義大全

  5. [기타] / 皇極經世書

  6. [기타] / 易學啓蒙

  7. [기타] / 律呂新書

  8. [기타] / 洪範皇極內篇

  9. [기타] / 毅菴集

  10. [기타] / 華西集

  11. [기타] / 省齋集

  12. [기타] / 皇極一元圖

  13. [단행본] 곽신환 / 2005 / 조선조 유학자의 지향과 갈등 / 철학과 현실사

  14. [단행본] 高懷民 / 1997 / 邵子先天易哲學 / 臺灣 荷美印刷

  15. [단행본] 高懷民 / 2011 / 소강절의 선천역학 / 예문서원

  16. [단행본] 금장태 / 1998 / 북한강유역의 유학사상 /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한림대학교출판부

  17. [단행본] 邵康節 / 2011 / 황극경세 1권 / 대유학당

  18. [단행본] 楊景磐 / 2006 / 皇極經世演繹 / 中國國際廣播音像出版社

  19. [단행본] 유인석 / 2002 / 유인석의 20세기 문명충돌 이야기 宇宙問答, 사)의암 유인석선생 기념사업회 / 강원도민일보사

  20. [단행본] 한국사상사연구회 / 2004 / 조선유학의 학파들 / 예문서원

  21. [학술지] 구완회 / 1997 / 을미의병기 湖左義陣(堤川義兵)의 編制 / 朝鮮史硏究 6 : 93 ~ 118

  22. [학술지] 金度亨 / 1978 / 의암 유인석의 정치사상 연구 / 한국사연구 25 : 105 ~ 145

  23. [학위논문] 金炯瓚 / 1991 / 毅菴 柳麟錫의 哲學 연구

  24. [학술지] 김형찬 / 1995 / 毅菴 柳麟錫의 哲學硏究 / 栗谷思想硏究 2 : 497 ~ 455

  25. [학술지] 방용식 / 2016 / 유인석(柳麟錫)의 문명인식과 위기대응론 고찰 - 「우주문답(宇宙問答)」을 중심으로 / 한국학 39 (2) : 179 ~ 206

  26. [학위논문] 柳漢喆 / 1997 / 柳麟錫 義兵 연구

  27. [학위논문] 유효헌 / 2020 / 의암 유인석의 국제정치관과 '중화'사상

  28. [학술지] 윤대식 / 2014 / 한국 위정척사의 보수응변(保守應變) - 유인석(柳麟錫)의 국권(國權) 관념 변화를 중심으로 - / 한국인물사연구 (21) : 387 ~ 424

  29. [학위논문] 윤용남 / 1983 / 화서학파 心說에 관한 연구

  30. [학술지] 李東于 / 1977 / 義兵將 유인석 義兵運動考 / 成大史林 2 : 5 ~ 29

  31. [학술지] 이선경 / 2019 / 의암 유인석의 심설과 의리실천 / 유교사상문화연구 (77) : 109 ~ 140

  32. [단행본] 이애희 / 1987 / 강원의병운동사 / 강원의병운동사연구회 : 202 ~ 223

  33. [학위논문] 이종상 / 2002 / 毅菴 柳麟錫의 哲學思想 硏究

  34. [학술지] 張勝求 / 1997 / 柳麟錫의 哲學思想 硏究 / 東洋哲學硏究 17 : 213 ~ 242

  35. [학술지] 조희영 / 2016 / 數學的 人文學 관점으로 본 蔡沈의 象數思想 - 蔡沈의 『洪範皇極內篇』을 중심으로 / 대동문화연구 (96) : 165 ~ 190

  36. [학술지] 조희영 / 2017 / 『구수략(九數略)』, 송대 도서상수학으로 짜인 조선수학서 -인문학적 지평에서 / 한국학 40 (1) : 105 ~ 132

  37. [학술지] 조희영 / 2020 / 徐命膺의 <<皇極一元圖>>에 나타난 易學思想 분석 - 소강절 역학과 서명응 역학의 영향과 관련하여 - / 규장각 (57) : 73 ~ 106

  38. [학술지] 최상익 / 2017 / 의암(毅菴) 의병 투쟁의 사상적 배경 - 낙서대연국도(洛書大衍局圖)를 중심으로 - / 의암학연구 15 : 5 ~ 26

  39. [학술지] 함영대 / 2011 / 〈宇宙問答〉과 柳麟錫의 文明意識 / 태동고전연구 27 : 103 ~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