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각문이라는 관청의 역할을 의례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고려의 의례 정비 과정에 대한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각문의 직제를 정리하면서 그 도입과 설치 시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에 성종대에 각문이 설치되었으며, 직제도 이때에 대부분이 갖추어졌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무엇보다 각문은 송의 각문, 인진사의 직제를 합친, 곧 관제상 송제의 영향으로 등장한 관사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각문의 역할을 의례상 역할과 공간, 건축물로서의 기능으로 나누어 살폈다. 각문의 관원들은 국왕이 임석하는 각종 의례에서 행례관(行禮官)으로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한편으로 각문이라는 건물 자체는 궁궐 건축의 일부로서, 그 건물이나 뜰은 연회, 상소 등의 정치 행위가 이루어지는 물리적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이 경우는 각문이라는 관사의 역할과는 분명히 구별된다. 각문 관원의 행례관 역할은 국와의 임석(臨席)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이루어져서 국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례 관사로서 각문의 등장 과정은 성종대 이래 송제의 도입 과정에서 비롯하였음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키워드

국가의례, 각문, 궁궐, 건덕전, 정전, 조회, 유교적 의례, 합문지후, 개보통례

참고문헌(16)open

  1. [학술지] 구산우 / 2015 / 고려시기 제도와 정책의 수용과 배제-成宗代 華風과 土風의 공존과 갈등을 중심으로- / 한국중세사연구 (42) : 99 ~ 135

  2. [학술지] 김보광 / 2014 / 고려 성종․현종대 太祖配享功臣의 선정 과정과 의미 / 사학연구 (113) : 43 ~ 82

  3. [단행본] 김창현 / 2011 /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 / 경인문화사

  4. [단행본] 김창현 / 2011 /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 / 경인문화사

  5. [학술지] 김창현 / 2011 / 『고려사』 예지의 구조와 성격 / 韓國史學報 (44) : 37 ~ 83

  6. [단행본] 김철웅 / 2007 / 한국중세의 吉禮와 雜祀 / 경인문화사

  7. [보고서] 박성진 / 2012 / 고려궁성 서부건축군의 건물지군 배치관계 검토

  8. [단행본] 朴龍雲 / 2009 / 『高麗史』 百官志 譯註 / 신서원

  9. [단행본] 세오 다쓰히코 / 2006 /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 / 황금가지

  10. [학술지] 오치훈 / 2018 / 高麗 田柴科와 唐 官人永業田의 분급대상 비교 / 민족문화연구 (81) : 41 ~ 74

  11. [학술지] 이진한 / 1997 / 高麗時代 參上ᆞ參外職의 區分과 祿俸 / 韓國史硏究 99·100

  12. [학술지] 최재영 / 2017 / 隋唐長安城 東宮의 구조와 성격 - 魏晉南北朝 都城의 東宮과 연관하여 / 역사와 세계 51 : 65 ~ 96

  13. [단행본] 하워드 J. 웨슬러 / 2005 /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 고즈윈

  14. [단행본] 妹尾達彦 / 2014 / アフロ․ユーラシア大陸の都市と國家 / 中央大學出版部

  15. [학술지] 松本保宣 / 2008 / 唐代の閤門の様相について―唐代宮城における情報傳達の一齣(その2)― / 立命館文学 608

  16. [단행본] 張文昌 / 2012 / 制禮以教天下: 唐宋禮書與國家社會 / 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