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최초의 야담집으로 알려진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의 『어우야담(於于野談)』을 대상으로, 여기에 수록된 일화에 형식화된 다양한 글쓰기 양식을 지식인의 문화적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재사유함으로써, 서사 장르가 어떻게 사대부의 제도적 문의 양식을 다양하게 포섭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증했다. 첫째, 『어우야담』은 유몽인 자신은 물론 다양한 신분, 조건, 지역, 세대, 연령에 있는 사람들의 경험과 관찰, 전언, 전문, 참조, 인용 등을 폭넓게 반영했다. 이는 세간의 여론을 수정하고 기록된 역사를 수정하려는 사찬 역사, 또는 만록의 글쓰기 양식을 서사적으로 차용한 결과다. 둘째, 일상생활의 지식과 풍속, 정보를 폭넓게 수렴하여 백과전서적으로 기술하되, 인간과 세태, 역사를 은유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우언적 수사를 활용했다. 셋째, 역사, 사회, 문화, 예술, 인물 등에 대한 판단과 성찰을 비평적 글쓰기로 수행했다. 넷째, 사대부에게 익숙한 생애사 서술 양식인 전기, 행장, 유사 형식을 차용하되, 신분, 젠더, 이념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폭넓은 관심을 보임으로써, 사대부의 사고 경계를 확장하는 역할을 했다. 다섯째, 이러한 다양한 글쓰기 양식을 ‘서사’ 양식 안에 포용하거나 변주함으로써, 허구성의 개념을 뛰어넘는 서사성의 다양한 기능과 역동적 양태에 대한 다각도의 실험을 수행했다. ‘이야기’라는 장르에 매개된 개인적, 사회적, 역사적 차원의 상상력과 창의적 관점은 사대부 문인에게 훈련되고 체화된 실증성과 논리성과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다양한 글쓰기 양식을 변주하고 팽창시키는 문학적이고도 문화적 동력으로 작용했다.

키워드

어우야담, 유몽인, 서사, 박물학, 비평

참고문헌(40)open

  1. [단행본] 유재건 / 1997 / 이향견문록 / 민음사 : 1 ~ 775

  2. [단행본] 유몽인 / 2006 / 어우야담 / 돌베개 : 1 ~ 858

  3. [학술지] 강상순 / 2010 /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 고전과 해석 9 : 195 ~ 226

  4. [학술지] 김기동 / 1974 / 불교소설 ‘최척전’ 소고 / 불교학보 11 : 177 ~ 190

  5. [학술지] 김상일 / 1999 / 정몽주의 인물됨과 그 전승 / 동악어문학 34 : 151 ~ 231

  6. [학술지] 김선아 / 2009 / 『於于野談』 소재 귓신담 一考 / 국어문학 46 : 195 ~ 222

  7. [학술지] 김인호 / 2010 / 정몽주 숭배의 변화와 위인상(僞人象) / 역사와 현실 (77) : 249 ~ 280

  8. [학술지] 김재용 / 2005 / 이야기 연쇄와 주제 범주화의 상호성에 대한 시론적 접근 - <<어우야담>> 소재 귀신담을 중심으로 -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9 (2) : 91 ~ 117

  9. [학술지] 김준형 / 2009 / 사실의 기록과 야담의 진실성 / 동방한문학 (39) : 53 ~ 88

  10. [학위논문] 류경숙 / 1989 / 於于詩話 硏究: 於于野談 文藝篇을 中心으로

  11. [학술지] 박희병 / 1985 / 야담(野譚)과 한문단편(漢文短篇) 장르 규정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 한국한문학연구 8 : 321 ~ 326

  12. [학술지] 신익철 / 2010 /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 한국학 33 (3) : 7 ~ 34

  13. [단행본] 안대회 / 2000 / 조선후기시화사 / 소명출판 : 1 ~ 296

  14. [학술지] 양승민 / 2000 / <최척전>의 창작 동인과 소통 과정 / 고소설연구 9 : 67 ~ 113

  15. [학위논문] 吳景煥 / 1988 / 「於于野譚」硏究: 後代 野談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16. [학위논문] 원방초 / 2017 / 조선후기 야담에 재현된 이계 서사의 고찰: 요재지이 와의 대비를 겸하여

  17. [학술지] 유권석 / 2012 / 『於于野談』 소재 妓女譚의 形象化 硏究 / 어문론집 52 : 285 ~ 308

  18. [학술지] 유영대 / 1985 / 유자광 실사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 / 우석어문 2 : 31 ~ 44

  19. [학술지] 유형동 / 2014 / 호남 인물 유자광 이야기의 전승양상과 의식 / 어문론집 59 : 177 ~ 206

  20. [학술지] 윤승준 / 2012 /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 포은학연구 9 : 155 ~ 184

  21. [학술지] 윤혜신 / 2007 / <어우야담> 소재 귀신담의 귀신과 인간의 교류방식과 특징 / 민족문학사연구 (34) : 206 ~ 239

  22. [학술지] 윤혜신 / 2009 / 『어우야담』소재 귀신담의 귀신욕망과 욕망의 실현방법 / 열상고전연구 (29) : 363 ~ 401

  23. [학술지] 이강옥 / 2017 / 단형서사장르와 고소설, 이분법을 넘어서 / 고소설연구 (44) : 5 ~ 30

  24. [학술지] 이월영 / 2010 / 『어우야담』 소재 인물담 연구 (1) / 어문연구 63 : 171 ~ 195

  25. [학술지] 이월영 / 2011 / 『어우야담』 소재 인물담 연구(2) / 어문연구 67 : 121 ~ 147

  26. [학술지] 이채경 / 2016 / 18세기 야담(野談)의 글쓰기 양상 - 야담의 구성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 / 동방학 (34) : 359 ~ 390

  27. [학술지] 임완혁 / 2009 / 筆記에서 事實의 意味 -『鶴山閑言』을 통해 본- / 동방한문학 (39) : 89 ~ 120

  28. [학술지] 임유경 / 2015 / 어우 유몽인의 우언 연구 / 이화어문논집 35 : 173 ~ 199

  29. [학위논문] 임혜진 / 2007 / 『어우야담』의 비판의식과 『우언』연구

  30. [학술지] 정솔미 / 2018 / 「薛生傳」과 야담 <薛生 이야기> 비교 연구 - 傳과 野談의 거리 / 국문학연구 (37) : 281 ~ 310

  31. [학위논문] 조융희 / 1999 / 17세기 전기 시화집 연구 : 「성수시화」「지봉유설」「청창연담」「제호시화」

  32. [학술지] 조창록 / 2009 / 記事의 양식적 특성과 작품 세계 / 동방한문학 (39) : 7 ~ 26

  33. [학술지] 진재교 / 2002 / 韓國 漢文敍事樣式의 層位와 變貌: 傳, 野談, 記事를 中心으로 / 대동문화연구 40 : 101 ~ 135

  34. [학위논문] 차진아 / 2009 / 야담집 소재 귀신담의 문학교육적 활용방안 : 『어우야담』과 『청구야담』을 중심으로

  35. [학술지] 최기숙 / 2002 / 불멸의 존재론, 한의 생명력과 귀신의 음성학: 18ᆞ19세기 야담집 소재 '귀신'과 '자살'일화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16 : 313 ~ 355

  36. [학술지] 최기숙 / 2005 / 18?19세기 '複數 창작 전'의 창작 경위와 글쓰기 방식-흔적, 기억, 창조: '언어적' 인간의 탄생과 棲息 / 고전문학연구 (27) : 289 ~ 327

  37. [학술지] 최기숙 / 2009 / 조선시대 사대부 문인의 ‘환상’ 인식과 문학적 향유 / 문학교육학 (30) : 29 ~ 65

  38. [학술지] 최기숙 / 2017 / 여종과 유모: 17~19세기 사대부의 기록으로부터-‘일상ㆍ노동ㆍ관계’와 윤리 재성찰을 위하여 / 국어국문학 (181) : 105 ~ 162

  39. [학술지] 함동주 / 2003 / 일본 역사수정주의의 내셔널리즘과 타자 인식 / 일본사연구 17 : 23 ~ 40

  40. [학술지] 현혜경 / 2017 / 『어우야담』 소재 귀신담의 서사 전개 양상과 의미 / 韓國古典硏究 (36) : 221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