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해방 이후 한국 정치학자들은 이념적 측면에서 사회민주주의적 경향이 주류였다. 이러한 경향은 전쟁 발발 이후 급격히 변화했다기보다는 냉전의 진영 논리가 확산되는 가운데 ‘자유주의적’ 경향이 좀 더 강화되는 형태로 나타났다. 전후(戰後) 다수의 정치학자들은 일정한 편차를 보이면서도 야베 데이지(矢部貞治)의 ‘공동체적 민주정’론을 ‘민주주의’론의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그에 따라 자유주의적인 자본주의 질서를 옹호하기 보다는 그로 인해 나타날 계급적 격차와 내적 분열이 극복될 수 있는 사회경제적인 조건을 민주주의 발전의 기초로 중시했다. 또한 이들은 이념적 차이에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서유럽의 정치이념과 체제를 ‘선진적인 것’으로서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소련 공산주의를 러시아의 역사적, 사회경제적 후진성에서 연원하는 독재와 야만, 병리적인 현상으로서 파악하여 반공주의를 주장하였다.

키워드

신도성, 야베 데이지(矢部貞治), 민주주의, 공동체적 민주정, 신상초, 민병태, 한태수, 강상운, 이동화, 민주사회주의

참고문헌(56)open

  1. [기타] / 大學新聞

  2. [기타] / 高大新聞

  3. [기타] / 思想界

  4. [기타] / 國家學會雜誌

  5. [단행본] 姜尙雲 / 1954 / (新稿)政治學槪論 / 唯文社

  6. [단행본] 姜尙雲 / 1948 / 現代政治學槪論 / 文藝書林

  7. [단행본] 梁好民 / 1957 / 共産主義의 理論과 歷史 : 맑스-레닌主義 批判 / 中央文化社

  8. [단행본] 梁好民 / 1962 / 現代政治의 考察 / 思想界社出版部

  9. [단행본] 李鍾恒 / 1954 / 政治學 / 文星堂

  10. [단행본] 閔丙台 / 1958 / 政治學 / 普文閣

  11. [단행본] 朴一慶 / 1955 / 民主政治講話 / 高麗出版社

  12. [단행본] 白尙健 / 1956 / 政治學入門 / 誠美堂

  13. [단행본] 愼道晟 / 1952 / 民主政治의 基礎理論 / 大洋出版社

  14. [단행본] 愼道晟 / 1953 / 民主主義政治學 / 豊文社

  15. [단행본] 申東旭 / 1956 / 社會科學槪論 / 耕文社

  16. [단행본] 申相楚 / 1958 / 現代政治의 諸問題 / 新楊社

  17. [단행본] 尹世昌 / 1952 / 政治學槪要 / 第一文化社

  18. [단행본] 한스 켈젠 / 1953 / 볼쉐위즘 政治理論의 批判 / 進文社

  19. [단행본] 韓太壽 / 1952 / 政治思想史槪說 : 新政治原理의 構想 / 修文館

  20. [단행본] 韓太壽 / 1952 / 政治學槪論 / 自由莊

  21. [단행본] 小野塚喜平次 / 1903 / 政治學大綱(下卷) / 博文館

  22. [단행본] 小野塚喜平次 / 1908 / 歐洲現代立憲政況一斑 / 博文館

  23. [단행본] 小野塚喜平次 / 1926 / 現代政治の諸問題 / 岩波書店

  24. [단행본] 矢部貞治 / 1937 / 政治學講義要旨: 現代政治危機の諸問題

  25. [단행본] ハンスケルゼン / 1932 / 民主政治と獨裁政治 / 岩波書店

  26. [단행본] 矢部貞治 / 1947 / 政治學 / 海口書店

  27. [단행본] 矢部貞治 / 1949 / 政治學 / 勁草書房

  28. [단행본] 矢部貞治 / 1947 / 民主政機構の基礎原理 / 弘文堂

  29. [단행본] 矢部貞治 / 1954 / 民主主義の基本問題 / 弘文堂

  30. [단행본] 남재 김상협선생 전기편찬위원회 / 2004 / 南齋 金相浹 / 한울

  31. [단행본] 마루야마 마사오 / 1998 / 일본의 사상 / 한길사

  32. [단행본] 박태균 / 1995 / 조봉암 연구 / 창작과비평사

  33. [단행본] 사카이 데쓰야 / 2010 / 근대일본의 국제질서론 / 연암서가

  34. [단행본] 서중석 / 2005 / 이승만의 정치이데올로기 / 역사비평사

  35. [단행본] 서중석 / 1999 / 조봉암과 1950년대(상)‧(하) / 역사비평사

  36. [단행본] 이시다 다케시(石田雄) / 2003 / 일본의 사회과학 / 소화

  37. [단행본] 鄭太榮 / 1991 / 曺奉岩과 進步黨 / 한길사

  38. [단행본] 후지이 다케시 / 2012 /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의 사이에서 / 역사비평사

  39. [단행본] 蠟山政道 / 1949 / 日本における近代政治學の發達 / 實業之日本社

  40. [단행본] 源川眞希 / 2009 / 近衛新體制の思想と政治—自由主義克服の時代 / 有志舍

  41. [학술지] 기유정 / 2014 / 근대 한국의 정치학과 그 학적 전환의 논리 1950~1960년대 정치학 개론서의 변천과 그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정치사상연구 20 (1) : 9 ~ 36

  42. [단행본] 白雲善 / 1981 / 1950年代의 認識 / 한길사

  43. [학술지] 李廷植 / 1967 / 韓國政治 및 政治過程 硏究現況 / 韓國政治學會報 2

  44. [학위논문] 신용옥 / 2007 / 대한민국 헌법상 경제질서의 기원과 전개(1945~54년) : 헌법 제·개정 과정과 국가자본 운영을 중심으로

  45. [학위논문] 이상록 / 2010 / 『사상계』에 나타난 자유민주주의론 연구

  46. [학술지] 홍정완 / 2008 / 전후 재건과 지식인층의 ‘道義’ 담론 / 역사문제연구 12 (1) : 43 ~ 84

  47. [학술지] 홍정완 / 2017 / 정부수립 전후 한국 정치학계의 학문 동향과 이념 지형 : 원론서·개론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연구 (83) : 239 ~ 273

  48. [학술지] 황병주 / 2008 / 1950년대 엘리트 지식인의 민주주의 인식 ―조병옥과 유진오를 중심으로― / 사학연구 (89) : 215 ~ 256

  49. [학술지] 大谷伸治 / 2013 / 昭和戰前期の國體論のデモクラシ / 日本歷史 (777)

  50. [학술지] 大谷伸治 / 2015 / 矢部貞治の衆民政論と國體論—講義案の改定をめぐって / 史學雜誌 124 (2)

  51. [학술지] 三谷太一郎 / 1999 / 日本の政治學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求めて : 蠟山政治學に見る第一次世界戰爭後の日本の政治學とその変容 / 成蹊法學 49

  52. [단행본] 松澤弘陽 / 1978 / 共同硏究 轉向(5): 戰後編 (上) / 平凡社

  53. [학술지] 波田永実 / 2003 / 矢部貞治における共同体的衆民政論の展開(Ⅰ) / 流経法學 2 (2)

  54. [학술지] 波田永実 / 2004 / 矢部貞治における共同体的衆民政論の展開(Ⅱ) / 流経法學 4 (1)

  55. [학술지] 波田永実 / 2002 / 矢部貞治における共同体的衆民政論の形成(1) / 流経法學 1 (1)

  56. [학술지] 波田永実 / 2002 / 矢部貞治における共同体的衆民政論の形成(2) / 流経法學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