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사무직 초기 경력자들의 직무열의와 조직 애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학제적 관점의 접근방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초기 경력자들의 경력정체성, 경력계획, 직무열의 및 조직애착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경력정체성, 경력계획과 조직애착 사이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의 사무직 초기 경력자 3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235명의 응답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직 초기경력자의 경력정체성, 경력계획, 직무열의 및 조직애착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경력정체성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력계획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무열의는 조직애착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경력정체성과 조직애착 사이에서 직무열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력계획과 조직애착 사이에서 직무열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미래 후속 연구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find effective interventions to enhanc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attatchment of office worker of initial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identity, career planning, work engagement, organizational attachment of office workers of initial career.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between career identity and organizational attachment, career planning and organizational attachment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office workers of initial career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 via online survey. 235 responses were analyzed for structural equ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findings from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Both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planning had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positively. Work engagement had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positively. Career identity and career planning had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with mediation effect of work engagement.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참고문헌 (5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600-001836273